• 제목/요약/키워드: Yellow-sand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3초

黃砂의 量的推定을 위한 基礎硏究 (Basic Research on the Quantitative Estimation of Yellow Sand)

  • 김동술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21
    • /
    • 1990
  • To quantitatively estimate the effect of yellow sand(loess) fromt he Northern China, various soil sources having similar chemical compositions to yellow sands should be separated and identified. After that, mass contribution for yellow sand can be calculated. The study showed that it was impossible to solve this problem by the traditional bulk analyses. However, particle-by-particle analysis by a CCSEM (computer controlle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gave enormous potentials to solve it. To perform this study, seven soil source data analyzed by CCSEM were obtained from Texas, U.S.A. Initially, each soil date was classified into two groups, coarse and fine particle groups since the particle number distribution showed a minimum occurring at 5.2$\mu$m of aerodynamic diameter. Particles in each group were then classified into one of the 283 homogeneous particle classes by the universal classification rule which had been built by an expert system in the early study. Further, mass fractions and their uncertainties for each class in each source were calculated by the Jackknife method, and then source profile matrix for the 7 soil sources was created. To use the profile matrix in the study of source contribution, it is necessary to test the degree of collinearity among sources. The profiles were tested by the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method. As a result, each soil source characterized by artificially created variables was totally independent each other and is ready to use in source contribution studies as a receptor model.

  • PDF

황사의 확산예측을 위한 기상정보의 시간해상도에 관한 수치연구 (Numerical study on temporal resolution of meteorological information for prediction of Asian dust)

  • 이순환;곽은영;류찬수;문윤섭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10호
    • /
    • pp.891-902
    • /
    • 2004
  • In order to predict air pollution and Yellow-sand dispersion precisely,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sensitivity of meteorological field input interval. Therefore numerical experiment by atmospheric dynamic model(RAMS) and atmospheric dispersion model(PDAS) was performed for evaluating the effect of temporal and spatial resolution of meteorological data on particle disper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Base on the result of RAMS simulation, surface wind direction and speed can either synchronize upper wind or not. If surface wind and upper wind do not synchronize, precise prediction of Yellow-sand dispersion is strongly associated with upwelling process of sand of particle. 2) There is no significant discrepance in distribution of particle under usage of difference temporal resolution of meteorological information at early time of simulation, but the difference of distribution of particles become large as time goes by. 3)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calculated particles distributions in dispersion experiments with high temporal resolution of meteorological data. On the other hand, low resolution of meteorological data occur the quantitative difference of particle density and there is strong tendency to the quantitative difference.

CAPTURE OF YELLOW DUST BLOW BY MODIS DATA

  • Song, Jie;Park, Jong-Geol;Yasuda, Yoshizumi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920-922
    • /
    • 2003
  • Large plumes of yellow send or yellow dust blow out over the Sea of Japan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from mainland of China. In this study, the methodology to capture the perspective on the large Yellow dust storm by using MODIS data is discussed. As the typical image of yellow send, MODIS data obtained of April 8, 2002 were used in this study.

  • PDF

황사와 평상시의 입자크기분포 비교 (Comparisons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s of the Yellow sand and non-Yellow sand in March 2000)

  • 김병곤;김현옥;안준영;김창환;김정호;노혜란;박철진;한진석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4-135
    • /
    • 2000
  • 에어로졸은 인위적으로 발생하거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먼지(토양 발생인 먼지, 생물학적 비해염입자, 유기입자 둥)로 나뉘어지는 데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먼지의 대표적인 사례로 황사를 들 수 있다. 이는 시정악화나 해수성분의 변화, 강수의 pH 변화 등 여러 가지 방면에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Parungo et al., 1995). 동북아시아 지역의 지역적인 특수성으로 인해 미네랄 에어로졸 표면에서의 화학반응 활성화가 황산염이나 질산염의 생성을 유발한다는 여러 가지 보고가 있다. (중략)

  • PDF

태안반도주변에서 춘계 황사 전·후 식물플랑크톤 반응특성과 황사분진 영향평가 (Reaction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Before and After the Yellow Dust Event in Taean Peninsula and Yellow Dust Impact Assessment)

  • 유만호;윤석현;오현주;최중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898-906
    • /
    • 2018
  • 황사가 식물플랑크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황사가 발생한 2006년 4월 22 ~ 26일까지 태안반도 인근해역에서 현장조사 및 생리실험을 수행하였다. 황사발생동안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26{\sim}290{\times}10^3cells{\cdot}L^{-1}$의 범위로 다소 낮은 현존량과 주요 분류군인 돌말류의 증가, 특히 혼합해역의 대표종인 Paralia sulcata와 같은 저서성 돌말류의 증가가 뚜렷하였다. 또한 황사발생 후의 Chl-a 농도는 황사 발생 전의 조석에 따른 Chl-a 농도변화범위를 초과하였다. 황사투여실험에서는 황사투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일차생산력은 점차 감소하였고, 최대 탄소 동화계수 역시 같은 경향을 보였다. 48시간 배양실험에서는 황사투여 초기(T0)에 실험구(test)가 대조구(control)에 비해 낮은 일차생산력을 보였으나, 48시간 후(T48)에는 실험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일차생산력을 보였다. 특히 실험구는 초기보다 48시간 후의 일차생산력이 약 321 %로 크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중국과 인접한 조사해역의 식물플랑크톤은 황사와 함께 수반되는 강한 물리적 환경이 발생초기에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을 일시적으로 저해시킬 수 있으나, 이후 안정적인 수괴가 지속될 경우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잠재적인 요인으로도 파악되었다.

한반도 황해 중부 태안반도 근해 사질퇴적물의 이동 (Transport of Sandy Sediments in the Yellow Sea off Tae-An Peninsula, Korea)

  • 최동림;김성렬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6-77
    • /
    • 1992
  • 태안반도 외해역에서 고해상용 천부지층 기록지상에 나타나는 조류성사퇴들 및 sand waves 발달 특징과 표층 퇴적물의 특성 결과를 조류 분포와 관련하여 사질 퇴적 물의 이동양상을 추정하였다. 조사해역에는 비대칭형 사퇴들이 북동-남서방향이 우세 한 강한 조류방향과 평행하거나 반시계방향으로 약간 빗겨지면서 길게 발달하고 있으 며 대부분의 사퇴들은 남 내지 남동쪽으로 급사면을 가지며 대략 남쪽방향으로 사층리 구조가 발달하고 있는 특징을 가진다. 현세 퇴적층은 사퇴들의 퇴적층 두께와 발달 양 상을 보여주며 분포한다. 이 결과로부터 현세 활동성사퇴들은 남동, 남 그리고 남서쪽 방향의 외해를 향해 퇴적물을 전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동쪽 내지 북동 쪽의 급사면을 갖는 비대칭형 sand waves 가 수심 약 40-60 m를 보이는 일부 지역의 평탄한 해저면에 발달 분포한다. Sand waves 가 발달한 지역의 표층 퇴적물은 세립사 질 퇴적물로서 분급도가 매우 양호하게 나타나며 이들 지역의 사질 퇴적물은 동쪽 내 지 북동쪽 육지를 향해 이동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nsight Sources and Influence of Yellow-sand Events in Spring 2003

  • Zhuanshi He;Kim, Young J.;Kim, Jeong E.;K.O. Ogunjobi;Seong Y. Ryu;Kim, Kyung W.;Lee, Kwon H.;Park, Sung C.;Lee, Chul K.;Park, han S.;Yong M. Noh;Jin S. Jung;Kim, Min J.;Hyun R. Jung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1-282
    • /
    • 2003
  • The significant spring-time phenomenon known as the "Yellow Sand" influences not only regional but also global climate. It′s believed that frequency of yellow-sand events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To investigate the possible factors inducing these special strong weather phenomenon and its impacts on meteorological elements, intensive sampling will be conducted by ADEMRC/KJIST from March to May 2003. Lagrangian trajectory (forward and backward), cluster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satellite remote sense (SRS) techniques will be employed to inspect the mechanisms of yellow-sand. (omitted)

  • PDF

지역 대기질 측정망에 나타난 국내 대기오염도의 최근 동향 -2002년 고농도 사례 및 그 기상 특징 (On the Recent Air Pollution Levels Observed in the Regional Air Monitoring Network -High Air Pollution Concentration Episodes and Their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in 2002)

  • 김철희;박일수;이석조;김정수;진형아;성한규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15-224
    • /
    • 2004
  • We report the high concentration episodes for PM$_{10}$, SO$_2$, NO$_2$, and $O_3$ in many urban areas Korea during 2002. The high concentration episodes are identified based on the National Ambient Air Quality Standards and the observations obtained from the Regional Air Monitoring Network composed of approximately 160 air pollution monitoring stations located in a number of major or big cities in South Korea including Seoul, Pusan, Daegu, and Incheon cit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twenty cases of high concentration episodes in 2002 consists of both ozone warning episodes (6 cases) and high PM$_{10}$ concentration cases (14 cases), and one half of the latter are found to occur in association with the Yellow Sand (Asian Dust) phenomena. The most outstanding characteristics of the reported episodes are the excessively high levels of maximum PM$_{10}$ concentrations during the Yellow Sand period (i.e., exceeding 3,000$\mu\textrm{g}$/㎥ in April, 2002) and their variable occurrence frequencies across seasons. The high ozone concentration episode days are mainly resulting from both the high photochemical reactions and poor ventilations. The high PM$_{10}$ concentration days during non Yellow Sand periods, however, mostly occurred under the influence of synoptic meteorological conditions such as stagnant or slowly passing high pressure centers, and consequently prevailing weak wind speeds over the Korean peninsula. The overall results of our study thus suggest the importance of both synoptic and local meteorological factors for high concentration levels in the major and/or big cities in Korea.n Korea.

GMS-5 인공위성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대기 에어러솔 모니터링 (Monitoring of Atmospheric Aerosol using GMS-5 Satellite Remote Sensing Data)

  • 이권호;김정은;김영준;서애숙;안명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5
    • /
    • 2002
  • 대기중의 에어러솔은 지구복사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며 직 간접적인 복사강제효과로 인하여 기후변화인자로 간주되고 있다. 대기 에어러솔은 대기중 체류시간의 시 공간적 불확실성 때문에 GCM 등의 변수로 사용하기 어려운 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대기 에어러솔의 기후 및 대기복사에 대한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대기 에어러솔의 물리 광학적 성질을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시영역에서의 대기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대기복사전달 모델인 MODTRAN 3 (Moderate Resolution Transmittance)의 모사결과와 GMS-5 위성의 가시영역 채널을 이용하여 황사 에어로졸의 모니터링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황사사례를 중심으로 대기 에어러솔에 의한 대기효과를 정량화하기 위한 GMS-5 위성자료와 이를 시뮬레이션 하기 위한 MODTRAN 3 대기복사전달모델을 사용하였다. MODTRAN 3 시뮬레이션 결과로 위성의 채널 알베도와 에어러솔 광학 두께와의 관계를 계산하여 위성자료에서 에어러솔 광학두께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였다. 후진궤적분석을 통하여 황사를 포함한 공기덩어리가 고비사막으로부터 중국을 거쳐 한반도에 도달하는 것과 이때 에어러솔 광학두께가 증가하는 현상을 지상관측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위성영상에서 보이는 황사영역은 황사의 이동 현상을 시간대별로 잘 나타나고 있고, 지상관측결과의 비교분석은 10% 내의 오차율을 가지는 범위 안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더욱이 같은 황사현상이 발생한 시간대에 한국, 중국과 일본에서 측정된 라이다 관측결과와 모델결과 자료는 황사 에어로졸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으므로 향후 대기에어로졸의 모니터링에 대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황사기간도안 제주, 고산지역에서 호흡성 분진의 입자 분포 특성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ize Distributions of Respirable Particulate During Yellow Sand Episode in Kosan, Jeju Island)

  • Kim, Jeong-Ho;Ahn, Jun-Young;Han, Jin-Seok;Lee, Jeong-Joo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91-96
    • /
    • 2003
  • This study was intended as an investigation of characteristics of background site atmospheric respirable particulate matters(RPM), and fine particles(<2.5 ${\mu}{\textrm}{m}$).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s during the phenomenon of Yellow Sand(YS) occurs from April, 2001. Atmospheric aerosol particulate matter was directly collected on the Jeju island between 1 to 30, April, 2001 using an eight-stage cascade impacter(particle size range: 0.43-11 ${\mu}{\textrm}{m}$), and cyclone separator(cut size: 2.5, 10 ${\mu}{\textrm}{m}$). The episode of YS observed in background monitoring site, Kosan and appeared 2 times at sampling period. The mass concentrations of fine and coarse particles for YS episode were 34.2 and 59.6 $\mu\textrm{g}$/㎥,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mounts compared to 13.3 and 13.0 $\mu\textrm{g}$/㎥ for NonYS(NYS). Most size distributions had two peaks, one at 0.43∼.65 ${\mu}{\textrm}{m}$ and the other at 3.3${\mu}{\textrm}{m}$4.7 ${\mu}{\textrm}{m}$. The result of analysis of water-soluble ion component indicated that sulfate was mainly ion component, but nitrate and calcium 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the YS epis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