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akto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초

약토 시용방법이 인삼 양직묘 뿌리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veral Application Methods of Yakto on Root Yield in Ginseng Seedlings)

  • 이성식;천성기;이장호;안인옥;신성련;최광태;이갑수;이형식;정재동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8권4호
    • /
    • pp.207-210
    • /
    • 2004
  • 본 시험은 약토 시용량을 절약하기 위하여, 약토 시용량을 기준 70(l/칸)보다 줄이고, 부족분을 추비로서 대체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약토의 시용량을 줄이고 추비를 시용한 처리구(25.5l+SD)는 관행(70l)구보다 근직경, 근생체중 및 식재가능묘삼 생산량이 대등하여, 약토를 절감할 수 있는 시용방법으로 제시되었다. 약토의 시용량을 줄이고 추비를 시용한 처리구(25.5l+SD)는 관행(70l)구보다 묘삼뿌리에서 질소, 인산 및 칼리의 함량이 낮았으나, 칼슘과 마그네슘은 차이가 없었다.

유기질비료가 묘삼 지상부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veral Kinds of Composts on Growth Status of Aerial Parts in Ginseng Seedlings)

  • 이갑수;이성식;정재동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7권1호
    • /
    • pp.24-31
    • /
    • 2003
  • 본 시험은 인삼비료인 약토를 대체 하기 위하여 인삼비료인 약토 외에 4종의 퇴비를 공시하여 약토대체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인삼약토 성분기준표’에 비교해 보면 약토퇴비가 기준치와 비슷하여 가장우수 하였고, PL퇴비와 HJ퇴비는 인산, 카리, 칼슘, 마그네슘 및 EC의 함량이 높았고, 팽이버섯퇴비는 인산, 마그네슘 및 EC의 함량이 높았고, 볏짚우분 퇴비는 인산, 카리 및 마그네슘 함량이 높았다. 상치종자를 이용한 발아율 및 초기생육과, C/N율을 이용한 부숙도 판정 시험에서, HJ퇴비, 팽이버섯퇴비 및 볏짚우분퇴비가 약토보다 C/N율은 높았고, 발아율은 낮았으며, 초장은 짧아 부숙이 다소 덜된 것으로 생각된다. 퇴비종류별 묘삼의 지상부 출아율은 약토>팽이버섯퇴비>PL퇴비>HJ퇴비>볏짚우분퇴비 순으로 약토가 가장 양호하였고, 8월 초순의 지상부 생존율은 약토>PL퇴비 >팽이버섯퇴비>HJ퇴비>볏짚우분퇴비 순으로 약토가 가장 양호 하였다. 양직묘 생산을 위해서는 완숙된 퇴비사용의 필요성을 확인 하였고, 앞으로 완숙된 PL퇴비와 팽이버섯퇴비의 검토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약토 시용방법이 인삼 양직묘 지상부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veral Application Methods of Yakto on Growth Status of Aerial Parts in Ginseng Seedlings)

  • 이성식;천성기;이태수;윤종혁;박현석;신성련;최광태;이갑수;주성돈;정재동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8권4호
    • /
    • pp.201-206
    • /
    • 2004
  • 본 시험은 약토시용량을 절약하기 위하여, 약토시용량을 기준 70(l/칸)보다 줄이고, 부족분을 추비로서 대체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약토시용량을 감소한 구(25.5l, 13.3l/칸)는 약토표준시 용구(70l/칸)보다 상토의 무기태질소, 인산, 칼리, 칼슘, 마그네슘 및 염류의 농도가 낮았으나 토양산도는 차이가 없었다. 2003년 5월29일 추비를 3l/칸 시용한 구에서는 각 처리구 모두 상토에서 무기태질소, 인산, 칼리, 칼슘, 마그네슘 및 염류농도가 증가되었다. 약토를 기비로 25.5l/칸 시용하고 추비를 준 처리구(25.5+SD)는 약토표준시용구(70l/칸)보다 6월에 상토에서 무기태질소, 칼리, 마그네슘 및 염류농도는 비슷하였으나 인산과 칼슘함량은 낮았다. 잎내 무기성분함량은 약토기비를 25.5(l/칸)시용하고 추비를 처리한구(25.S+SD)는 약토표준 시용구(70l/칸)보다 질소함량은 낮았으나 인산, 칼리, 칼슘 및 마그네슘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약토기비를 25.5(l/칸)시용하고 추비를 처리한 구(25.5+SD)는 약토표준시용구(70l/칸) 보다 경장이 짧고, 잎선단백화 현상이 $5{\%}$ 정도 더 발생되었으나, 출아율, 생존율, 잎노화율, 엽록소 함량, 경직경 및 엽면적은 차이가 없어서 약토시용량을 줄일 수 있는 경제적인 대안으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고려인삼(高麗人蔘)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의 무기화(無機化) (Mineralization of organic materials applied to Korean ginseng)

  • 홍정국;박훈;박귀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3-19
    • /
    • 1980
  • 1. 삼포(蔘圃) 및 예정야산지토양를 쓴 incubation시험을 통(通)하여 약토, 수용성질소(水溶性窒素)를 뺀 세척약토, 낙엽(落葉)(활엽수(闊葉樹)와 침엽수(針葉樹)), 골분(骨粉)에서 생성(生成)되는 $NH_4-N$$NO_3-N$의 양(量) 및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를 밝혔다. 2. 질소방출총량은 삼포(蔘圃)와 야산지(野山地) 공(共)히 골분구에서 가장 많고 다음이 약토였다. 시간경과에 따른 방출량(放出量)은 야산지(野山地)의 세척약토구와 낙엽구에서 감소(減少)했을 뿐 기타처리구에서는 증가하였다. 삼포(蔘圃) 약토구에서 생성(生成)된 무기질소(無機窒素)의 대부분(大部分)은 $NO_3-N$였으나 기타(其他) 처리구에서는 절반(折半)이 $NH_4-N$였다. 야산지(野山地) 약토구에서도 대부분(大部分)이 $NO_3-N$였으나 기타(其他) 처리구에서는 주(主)로 $NH_4-N$였다. 3. $NH_4-N$ 생성량(生成量)은 삼포(蔘圃) 야산지(野山地) 공(共)히 골분구에서만 시간(時間)이 감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기타(其他) 처리구에서는 감소(減少)하였고 특(特)히 골분구의 값이 높았다. 4. $NO_3-N$ 생성량(生成量)은 삼포(蔘圃)의 어느 처리구에 있어서도 증가하였으나 야산지(野山地)에서는 약토구만 증가하고 기타(其他) 처리구에서는 아주 낮은 값에서 거의 변화가 없었고 특(特)히 약토구의 값이 높았다. 5. 각종(各種)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에서 생성(生成)된 질소량(窒素量)과 인삼(人蔘)에 의한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을 비교(比較)하였다. 약토에는 많은 $NO_3-N$의 공급(供給)이 기대(期待)될 뿐만 아니라 토양비옥도를 높이고 토양미생물활동을 도와주는 역할(役割)이 있는 반면에 골분(骨粉)에는 단지 질소(窒素)의 공급(供給)만 기대(期待)되고 생성(生成)되는 많은 $NH_4-N$은 인삼재배상(人蔘栽培上) 위험할 것으로 생각 되었다.

  • PDF

유기질비료가 묘삼 뿌리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veral Kinds of Composts on Root Yield of Ginseng Seedling)

  • 이갑수;이성식;정재동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7권1호
    • /
    • pp.32-36
    • /
    • 2003
  • 본 시험은 인삼비료인 약토를 대체 하기 위하여 인삼비료인 약토 외에 4종의 퇴비를 공시하여 약토 대체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퇴비종류별 식부가능묘삼의 생산량은 약토>PL퇴비)팽이버섯퇴비 >볏짚우분퇴비>HJ퇴비 순으로 약토가 가장 우수하였다. 퇴비종류별 묘삼중의 무기성분 함량은 약토구는 타 퇴비구에 이해 잎과 줄기에서 칼슘함량이 높았으나 뿌리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PL퇴비구는 잎과 줄기에서 질소함량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HJ퇴비는 잎에서 인산과 카리의 함량이 높았고, 경에서 인산이, 뿌리에서 질소의 함량이 높았고, 팽이버섯퇴비는 잎과 줄기에서 질소와 마그네슘함량이 높았고, 뿌리에서는 마그네슘함량이 높았다. 볏짚우분퇴비는 줄기에서 질소, 카리, 마그네슘 함량이 높았고, 뿌리에서 인산, 카리 함량이 높았다. 우량 양직묘 생산을 위해서는 완숙된 퇴비를 사용하여야 하며, PL퇴비와 팽이버섯퇴비는 약토 다음으로 식부가능 묘삼 생산량이 많아, 완숙시킨 후 재검토가 필요하다.

인삼포상토(人蔘圃床土)의 화학적(化學的) 성상(性狀)에 관(關)한 연구(硏究)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Nursery Soil in Cultivation of Panax ginseng)

  • 임선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8권2호
    • /
    • pp.65-70
    • /
    • 1975
  • 약용식물(藥用植物)인 인삼(人蔘)의 재배(栽培)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특수성(特殊性)이 전래(傳來)되어 오고있다. 인삼(人蔘)은 묘기(苗期)로부터 수확기(收穫期)까지 영양(營養)의 요구성(要求性)이 특수(特殊)하여 상토(床土)의 조제(諸製) 및 본포(本圃)에서의 영양공급(營養供給)을 주(主)로 ‘약토’(藥土)에 의존(依存)하고 있다.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인삼재배포(人蔘栽培圃) 토양(土壤)의 특성(特性)과 약토(藥土)의 성상(性狀)에 대(對)하여 화학적(化學的) 측면(側面)에서 검토(檢討)한 것이다. 묘상토(苗床土)는 토성(土性)이 심(甚)히 거칠며 비옥도(肥沃度)가 몹시 낮고 미숙(未熟)한 원야토(原野土)에 약토(藥土)를 혼합(混合)하여 육묘(育苗)하므로 약토(藥土)의 조성(組成)과 성상(性狀)이 인삼묘(人蔘苗)에 대(對)하여 매우 중요(重要)한 성장요인(生長要因)이 되고 있다. 약토(藥土)는 활엽수엽(闊葉樹葉)을 약간(若干) 부숙(腐熟)시켜 주재(主材)로한 혼성유기물질(混成有機物質)로서 그의 조구성상태(粗構成狀態)를 분석검토(分析檢討)하했고 또한 그의 용해성(溶解性)에 따라 분획(分劃)하였다. 각(各) 획분별(劃分別)로 그의 조성(組成)과 성질(性質)을 추구(追究)하고 상호비교(相互比較)하기 위하여 질소(望素)의 형태별(形態別) 분포(分布), 유기관금기(有機官能基)(-COOH, Phenolic-OH, Alcoholic-OH, $-OCH_3$)의 함유량(含有量), 가시부(可視部)와 적외선부위(赤外線部位)에서의 흡광성(吸光性) 측정(測定). 그리고 가수분해성(加水分解性) 당류(糖類)의 구성상태(構成狀態) 등을 조사(調査)하였으며 한편 약토(藥土)의 Alkali추출물(抽出物)의 성상(性狀)을 전토양부식산(田土壤腐植酸)과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다.

  • PDF

고려인삼(高麗人蔘) 유기질비료의 질소성장(窒素性狀)에 대하여 (Nitrogen fractionation of organic materials applied to Korean ginseng)

  • 홍정국;박훈;이종화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1-97
    • /
    • 1979
  • 1. 인삼(人蔘)의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약토류, 낙엽류(落葉類), 골분(骨粉)) 질소성분(成分)을 그 용해성(溶解性), 형태(形態) 및 함량(含量)에 따라 분석(分析)함으로서 질소성분(成分)의 성상과 유효성에 대해 밝히고자 하였다. 2. 용해성(溶解性)(수용성(水溶性), 플빅산(酸)과 부식산(腐植酸)의 산가수분해성(酸加水分解性), 가성(苛性)소다액(液) 추출성(抽出性))에 따른 질소성분(成分)의 분별결과(分別結果)는 다음과 같다. 약토류는 휴민태(態)>산가수분해(酸加水分解)>비가수분해성(非加水分解性)>수용성(水溶性), 낙엽류(落葉類)는 산가수분해성(酸加水分解性)>휴민태(態)>수용성(水溶性)${\geq}$산비가수분해성(酸非加水分解性), 골분(骨粉)은 산가수분해성(酸加水分解性)${\gg}$수용성(水溶性)>산비가수분해성(酸非加水分解性)의 순(順)이었다. 3. 수용성(水溶性)질소의 형태분석(形態分析)은 약토류와 낙엽(落葉)경우 부식태(腐植態)>아미노태(態)>초산태(硝酸態)(약토류만)>암모니아태(態)>Hexosamine태(態)>아마이드태(態). 골분(骨粉)은 아미노태(態) 부식태(腐植態)>암모니아태(態)${\geq}$아마이드태(態)의 순(順)이었다. 산가수분해성(酸加水分解性)질소 경우, 아미노태(態)>부식태(腐植態)${\simeq}$암모니아태(態)>Hexosamine태(態)의 순(順)이었다. 4. 질소의 용해성별(溶解性別) 및 주요형태(主要形態)(아미노태(態), 부식태(腐植態) 무기태(無機態))의 유효성에 대해 고찰(考察)하였다.

  • PDF

오지그릇용 무연생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adless Raw Glaze for Domestic Earthen Ware)

  • 이희수;정영기;최세영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23
    • /
    • 1976
  • The study is an attempt to prepare the raw graze can replace the lead glaze that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as Korean Kimchi-jars. 1) The batch of the glaze that show the similar properties and appearance of lead-glaze were 40% of Yongin or Anseong Yakto, 40% of Ash and 20% of Anhydrous-Colemanite. It's Seger Formula was {0.86 CaO 0.02 MgO 0.12 KNaO} {0.26 Al2O3 0.0007 Fe2O3} 0.92 SiO2 0.3 B2O3 2) The firing temperature of selected glaze was 950-1050℃. 3) As the content of anhydrous-Colemanite was increased,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was decreased. 4) The color of leadless raw glaze was translucent light yellow. It was possible to obtain the same color as lead glaze by Fe2O3 and MnO2.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