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Xiphoid bon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1초

칼돌기 통증 - 2예 보고 - (Xiphodynia - 2 cases report -)

  • 이승진;김동현;이석열;이철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2호
    • /
    • pp.272-274
    • /
    • 2009
  • 칼돌기 부위에 고통을 느끼는 칼돌기 통증은 흔하지 않은 근골격계 질환으로 전흉부와 상복부, 목, 양측 어깨, 등으로 통증이 방사될 수 있다. 진단에서 중요한 것은 이러한 통증이 칼돌기의 이상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임상적으로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2 증례의 칼돌기 통증 환자를 경험하였는데, 칼돌기 부위를 가볍게 누르면 전흉부와 상복부의 통증이 반복적으로 재생산될 때 진단하였다. 수년간 칼돌기 통증으로 고통 받아 왔던 첫번째 증례 환자에서는 칼돌기 제거수술을 하였고, 두번째 증례 환자에서는 국소마취제를 주사하여 치료하였다.

Location of the umbilicus in Korean women and its changes after breast reconstruction with an ipsilateral pedicled rectus abdominis musculocutaneous flap

  • Oh, Sangho;Jeon, Hyojin;Son, Daegu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5권5호
    • /
    • pp.425-431
    • /
    • 2018
  • Background The umbilicus makes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natural appearance of the abdomen. To date, studies on its position in Korean women are lacking, and no standards have been establish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ition of umbilicus in Korean women and to review changes in its position after ipsilateral pedicled rectus abdominis musculocutaneous (IP-RAM) flap. Methods This research consisted of two studies. In first study, 100 females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with gastroenteritis between 2007 and 2011 were included. In second study, 40 women who underwent IP-RAM flap in the same period were included. Using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we measured the distance between xiphoid process and umbilicus, represented by value a, and the distance between umbilicus and symphysis pubis, represented by value b. Thus, the location of the umbilicus was represented by the ratio a/b.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test and paired t-test. Results In study 1, the mean value of a/b was 1.07. Pearson correlation test reveal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ge and a/b. In study 2, the mean value of a/b was 1.16 in preoperative measurements and 1.01 in postoperative measurements. The paired t-tes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measurements, indicating cephalic migration of the umbilicus after surgery. Conclusions The natural position of the umbilicus showed caudal migration with aging. Additionally, in a comparison of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measurements in patients who underwent IP-RAM flap, cephalic migration of the umbilicus was observed after surgery.

체간부의 사상체질별 형태학적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each constitution's trunk)

  • 홍석철;이수경;이의주;한기환;조용진;최창석;고병희;송일병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01-142
    • /
    • 1998
  • 1. 연구 목적 및 배경 사상의학(四象醫學)에서의 대소음양인(太少陰陽人)의 체질 구분의 근거는 폐비간현(肺脾肝賢)의 각기 다른 장리로 인한 것으로 이는 폐비간현(肺脾肝賢)의 위치와 사상인(四象人) 구분의 근거인 체형기상(體形氣像)까지 이어진다. 이러한 각기 다른 체형기상(體形氣像)은 사상인 체질 구분의 가장 중요한 단서중의 하나로 이를 측정하여 각 체질의 사초(四焦) 체간부(體幹部)를 수기로 측정한 연구가 있었으나 이는 측정상의 오류가 많아 본 연구에서는 삼차원계측기를 이용하여 각 체질별 체간의 삼차원적인 특징을 해부학적 위치를 중심으로 측정하고 둘레, 단면적, 체적 등의 입체적 측정을 통해 체간부의 정량적인 특정을 살펴 체질 구분에 이용하고자 하였다. 2. 연구 방법 체질진단용 설문지 1번, QSCC(II), 맥진, 침진의 진단 방법을 이용하고 사상의학 전문의에 의해 체질 진단된 건강한 20대에서 40대까지의 성인 남자 40명과 여자 20명을 대상으로 Rapid 3D Color Scanner Model 3030 RGB/PS를 사용하여 삼차원 영상을 촬영한 후 해부학적 구조를 근거로 31항목의 체적, 전표 면적, 높이를 측정하고 25가지의 사초 가설을 설정하여 각 체질별 사초의 삼차원적인 특징을 구하였다. 3. 연구 결과 및 결론 1) 체간부 측정 항목의 절대치 (1) 여자의 특징 태음인이 다른 체질에 비해 체간부가 큰 편이고 소음인이 대개의 경우 가장 작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갑상연골점의 목둘레, 흉골상단의 단면적과 전둘레, 경폭에서 소양인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나 소양인이 경부 즉, 체간의 최상부가 가장 둘레가 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유두선 높이의 단면적, 전둘레, 깊이와 중완선높이의 전후둘레의 체간부에서 태음인이 소음인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체간부의 상부는 소음인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골상단의 폭은 소양인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남자의 특징 갑상연골점, 흉골상단, 액와, 유두, 검상돌기, 중완, 하완, 제부, 상전장골극, 치골결합상단 부위에 이르기까지 전 항목에서 태음인의 체형이 가장 크며 소음인의 체형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갑상연골점 높이에서 전후둘레, 폭, 깊이에서 태음인이 가장 크고 소음인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두와 유하간의 수직거리는 소양인이 가장 크고 소음인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사초부위의 절대치의 비교 (1) 여자 상초의 항목 중에서 갑상연골점 높이에서 액와선높이까지의 체적과 흉골상단높이에서 유두높이까지의 체간 상부 체적이 소양인이 가장 작았다. 소양인이 체간 상부가 다른 체질에 비해 작다. 중상초 : 중상초의 항목 중 흉골상단에서 중완까지의 체적과 흉골상단에서 검상돌기까지의 체적에서 태음인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남자 상초, 중상초, 중하초, 하초의 경우 태음인이 소음인보다 체적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체간에서 사초가 차지하는 비율에 대한 고찰 (1) 상초 : 액와에서 상전장골극까지를 사초로 설정할때 상초에 해당하는 액와에서 유두선까지의 높이가 태음인이 소양인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소양인이 액와점에서 유두선 까지의 거리가 체간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중상초 : 갑상연골점에서 치골결합상단을 사초로 설정할때 흉골상단에서 유두까지의 높이와 액와에서 유두까지의 높이에서 태음인이 소양인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갑상연골점에서 상전장골극까지를 사초로 설정한 경우 흉골상단높이에서 유두까지와 액와에서 유두까지의 높이에서 태음인이 소양인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소양인이 중상초의 높이가 체간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중하초 : 흉골상단에서 상전장골극을 사초로 설정할 때 중완에서 제부까지의 체적과 액와에서 상전장골극까지를 사초로 설정할 때 중완에서 제부까지의 체적이 차지하는 비율이 태음인이 소음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중완에서 제부가 체간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소음인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4) 각 체질별 사초의 상관관계 태음인은 상초와 중하초의 상관관계를 체적, 표면적, 높이로 나누어 살펴 보아 대개의 경우 역상관관계를 얻었으며 특히도 표면적의 경우는 상관계수가 -0.9~-1로 나타나 상관정도가 높았다. 소음인과 소양인은 중상초와 하초의 상관관계를 체적, 표면적, 높이로 나누어 살펴 보아 대개의 경우 역상관관계를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