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Xanthine

검색결과 828건 처리시간 0.025초

고콜레스테롤 흰쥐의 간조직 항산화효소계에 미치는 민들레잎 추출물의 영향 (Effect 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Leaf Extracts on Hepatic Antioxidative System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

  • 조수열;오연진;박지윤;이미경;김명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58-463
    • /
    • 2003
  • 흰쥐에게 1% 콜레스테롤과 0.25% 콜산나트륨을 첨가한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식이와 민들레잎 추출물을 분획별(열수추출물군, 에틸아세테이트추출물군, 에테르추출물군)로 나누어 급여하여 민들레 잎이 체내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간조직 중의 cytochrome P-450 함량은 민들레 잎 분획별 추출물 급여에 의한 유의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XO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굴들레잎 열수추출물 급여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간조직 중의 SOD활성은 대조군과 비교시 추출물 급여에 의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 분획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은 반면 catalase활성은 민들레잎 추출물 급여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에틸아세테리트추출물군은 에테르추출물군에 비하여 감소 정도가 유의적이었다. 간조직 중의 GSH-Px와 GST활성은 민들레 잎 추출물 급여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열수추출물군에서 특히 현저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GSH 함량은 추출물 급여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과산화지질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민들레 잎 추출물 급여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는데, 특히 열쑤추출물군의 감소효과가 현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고콜레스테를 혈증 유발 흰쥐에게 민들레잎 추출물 급여는 체내 항산화효소의 활성과 항산화제의 함량에 영향을 미쳐 체내 항산화능의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칡추출물이 알코올을 급여한 흰쥐의 뇌조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uerariae thubergiana Bentham Extract on Brain Tissue in Alcohol-Treated Rats)

  • 김명주;조수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69-675
    • /
    • 2000
  • 칡추출물이 알코올성 뇌손상에 미치는 영향 을 구명하기 위해 알코올을 투여한 흰쥐에게 갈화와 갈근을 수준별 (I;1.2 g/kg B.W., II;2.4 g/kg B.W.) 로 5주간 급여한 후 \ulcorner 열수추출물이 알코올 대사와 유리기 생성 및 제거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ADH 활성응ㄴ 갈화 및 갈근추출물 급여시 에탄올만 투 여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 ALDH 활성은 갈근추출물 급여군에서 유의 적으로 증가하였는데 1수준군의 증가정도가 현저하였다. P450 함량과 AD, AH 활성은 대조 군에 비하여 칡 열수추출물 급여시 감소되는 경향이었는데 갈근 급여군의 감소효과가 현저 하게 나타났다. AO와 XO 활성은 갈화 및 갈근추출물 급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되었 는데 특히 갈근추출물 1수준군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다. SOD 활성은 칡 열수추출물 급여시 증가하였으며 CAT와 GSH-Px 활성은 에탄올 투여로 증가된 활성이 갈근 열수추출믈 I 수 준 급여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갈화 및 갈근 열수추출물 급여는 뇌조 직 중의 에탄올 대사효소계의 활성을 촉진시켰으며, 유리기제거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항 산화효소계를 활성화하여 에탄올 투여에 인한 뇌조직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 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경단구슬모자반(Sargassum muticum)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argassum muticum Extracts)

  • 김지영;이정아;김길남;윤원종;이욱재;박수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63-669
    • /
    • 2007
  • 본 연구는 갈조류인 모자반속 중에서 경단구슬모자반(Sargassum muticum)을 대상으로 에탄올추출 및 용매분획하여 항산화활성 및 항균활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변화를 측정하여 그 상관성 등을 조사함으로써 식품 저장성이나 안전성을 향상하기위한 식품첨가제나 보존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경단구슬모자반 에탄올 추출물 및 순차적 분획물의 항산화활성은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항산화활성도 비례해서 증가되었으며, 특히 순차적 용매분획물 중 디클로로메탄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항산화활성이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항균활성은 순차적 용매분획물 중에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이 본 실험에 사용된 6종의 균주 모두에서 가장 효율적인 항균활성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경단구슬모자반 에탄올 추출물과 순차적 분획물별 항산화 및 항균활성 결과는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한편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디클로로메탄 분획물>부탄올 분획물>헥산 분획물>에탄올 추출물>수용성 분획물순으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디클로로메탄 분획물>헥산 분획물>부탄올 분획물>에탄올추출물>수용성 분획물 순으로 나타났다.

허혈전처치의 허혈심장 보호과정에서 Adenosine 및 Protein Kinase C의 역할 (Role of Adenosine and Protein Kinase C in the Anti-ischemic Process of Ischemic Preconditioning in Rat Heart)

  • 유호진;박종완;김명석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1-37
    • /
    • 1996
  • 허혈전처치(IP)의 히혈-재관류손상에 대한 심근 보호작용의 기전을 규명하기 위한 일환으로 denosine에 의한 PKC자극이 허혈전처치의 주요 기전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흰쥐 적출심장의 Langendorff 관류 표본에서 실험적인 허혈(30분)-재관류(20분)손상을 유도하였고, 허혈전처치는 허혈-재관류 손상 유도 전에 5분 허혈-5분 재관류를 3회 반복하여 시행하였다. 심근 손상의 지표로 심수축기능, 세포질효소 유출을 측정하였다. Adenosine이 허혈전처치의 심보호 효과에 관여하는지를 관찰하기 위하여 adenosine수용체 억제제인 8-(p-sulfophenyl)-theophylline(SPT), Xanthine amine congener(XAC) 및 8-cyclopentyl-1,3-dipropylxanthine (DPCPX)을 허혈전처치 유도 전에 투여하였다. 또한 PKC가 허혈전처치의 세포내 매개인자로 관여 할 가능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PKC활성 억제제인 polymyxin B 및 chelerythrine과 PKC translocation 억제제인 colchicine을 허혈전처치 유도 전에 투여하였다. 연구성적은 다음과 같다. 1) 허혈전처치는 허혈재관류 심장의 심기능의 저하를 현저히 회복시켜 심기능 회복률은 75%에 달하였다. 2) 허혈-재관류 심장에서 lactate dehydrogenase유출증가는 허혈전처치에 의해 현저히 저하되었다. 3) Adenosine 비선택적 차단제인 SPT와 Al 선택적 차단제인 DPCPX 및 XAC의 투여가 허혈전처치에 의한 심기능회복 및 LDH 유출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PKC활성 억제제인 polymyxin B 와 chelerythrine을 처치시 히혈전처치 심장의 심기능 회복률이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LHD 유출 역시 대조군 심장의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5) PKC translocation을 방해하는 colchicine도 허혈전처치의 심보호 효과를 억제시켰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adenosine은 흰쥐 심장에서 허혈전처치의 심보호효과에 중요한 세포외 매개물질로 작용할 가능성이 희박하며, PKC는 흰쥐 심장에서 허혈전처치시 세포내 매개 인자로 관여하여 허혈전처치에 의한 심보호효과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Adenosine 수용체 작동제 장기 투여의 신장효과 (Renal Effects of Chronic Treatment Of Adenosine Analogues)

  • 김택희;김선희;허종;조경우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권3호
    • /
    • pp.325-335
    • /
    • 1997
  • Evidence for the existance of at least two subclasses of renal adenosine receptors has been presented. N-6-cyclohexyladenosine (CHA) is a relatively selective $A_1$ adenosine agonists, whereas 5'-N-ethylcarboxamidoadenosine (NECA) acts as a preferential agonist of $A_2$ adenoisne receptor. N6-(L-2-phenylisoproryl)-adenosine (PIA) almost unselectively activates both $A_1\;and\;A_2$ adenosine receptors at micromolar concentrations. During the characterization of adenosine receptor in the kidney, we have discovered a novel phenomenon, that is, an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of CHA for 3 days caused a diuresis and a suppression of urinary concentrating ability. To further characterize this novel phenomenon, an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of adenosine and other adenosine angonists, PIA and NECA, and prior treatment of adenosine antagonists, caffeine, theophylline and 1,3-diethyl-8-phenyl-xanthine (DPX) were performed. Systemic administration of CHA, PIA, and NECA for 3 days caused a suppression in heart rate, blood pressure and general motor activity without change in rectal temperature. Systemic administration of CHA, 0.5, 1 and 2 mg/kg/day, for 3 days caused a dose-dependent increase in urine volume and decrease in urinary osmolarity and free water reabsorption. This phenomenon was reversible and repeatable. Administration of adenosine (40 mg/kg/day) produced no apparent effect on the renal function, whereas PIA (2 mg/kg/day) produced an similar effect to CHA on the renal function. Systemic adminstration of NECA, 0.025, 0.05 and 0.25 mg/kg/day, for 3 days caused a dose-dependent increase in urine volume and dose-dependent increases in excreted amount of creatinine, urinary osmolarity and free water reabsorption. These renal effects of adenosine agonist were maximum at second day during the drug administration. In terms of increase in urine volume and the suppression of urinary concentrating ability, NECA was potent than CHA. Prior treatment of caffeine (50 mg/kg/day) or theophylline (50 mg/kg/day) abolished the diuretic effect of CHA, whereas DPX (50 mg/kg/day) did not affect the CHA effect. CHA, 0.5 mg/kg/day, produced no change in plasma renin activity and plasma levels of aldosterone, epinephrine, and norepinephri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is novel phenomenon produced by an activation of renal adenosine receptors plays an important role in urinary concentrating mechanism.

  • PDF

한약수치에 관한 연구(제 8보): 오수유 탕포법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Crude Drugs(VIII): The Changes of Physico-chemical Parameter and Biological Activities by Processing of Evodia Fruit)

  • 박성환;이우정;최혁재;송보완;김동현;김남재
    • 생약학회지
    • /
    • 제36권2호통권141호
    • /
    • pp.102-108
    • /
    • 2005
  • We have studied the physico-chemical change and pharmacological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with processing. Evodia fruit (EF) has processed for the purpose of detoxification and reduction of its bitter taste. There are various methods of processing EF in Oriental medicinal reference. Among them, we processed EF according to the method of Sang-han theory, the most famous medicinal reference. We processed EF with washing in hot water, and then dried. Processed EFs(PEFs)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above procedure through repetition of 1,3,5 and 7 times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weight loss, water extract, diluted ethanol extract, ether extract, total ash, acid insoluble ash, alkaloids and limonin in non-processed EF (NPEF) and PEFs were examined. The weight loss, and contents of water extract and dilute ethanol extract in PEF showed decrease in proportion to increase of washing time, while the contents of ether extract, total ash and acid insoluble ash showed little change as compared with those of NPEF. And the content of evodiamine and rutaecarpine was not changed distinctly. However, the content of limonin decreased in the final processed material in proportion to increase of washing times with hot water. And the intense of bitter taste in PEF was also reduced. These results were ascribed to the flowing-out of the water-soluble portion.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NPEF and PEF were also investigated. In the test of DPPH scavenging effect, xanthine oxidase inhibition effect and TBA-Rs effect, PEF was more effective than NPEF in vitro. Also, both NPEF and PEF showed potent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against in mice. Especially, PEF by 3 times washing with hot water was more effective than other PEFs. From thes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PEF should be prepared by 3 times washing with hot water.

선학초 용매 분획물의 항노화 효과 (Anti-aging Effects of Solvent Fraction from Agrimonia pilosa L. Extracts)

  • 윤지영;이수연;전혜지;이진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5권1호
    • /
    • pp.35-39
    • /
    • 2012
  • 선학초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분획물을 항산화 및 주름개선의 소재로 이용하기 위하여 생리활성을 검증하였다. 항산화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선학초 열수추출물(AW)과 에탄올추출물(AE) 모두 ethyl acetate층 1,000 ppm에서 각각 96.2, 92.3%의 효과를 나타내었고, SOD 유사활성능을 측정한 결과 AW의 ethyl acetate층에서 61.8%의 활성을 AE의 $n$-butyl alcohol 층에서 58.0%의 높은 활성을 각각 나타내었다. 또한 xanthine oxidase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AW와 AE에서 모두 ethyl acetate층 1,000 ppm일 때, 각각 84.9, 92.5%의 가장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주름개선 효능 확인을 위해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이 또한 AW와 AE 모두에서 ethyl acetate층이 각각 55.2, 70.1%의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AW의 ethyl acetate층이 90.6%로 가장 높은 저해율을, AE는 88.6%로 $n$-butyl alcohol 층이 가장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선학초의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분획물이 in vitro상에서 항산화 및 주름개선의 활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Persicae semen의 화장품 약리활성에 관한 연구 (Cosmeceutical activities of Persicae semen)

  • 조우아;안봉전;이창언;장민정;천순주;성지연;최은영;강보연;정연숙;김영선;이진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2호
    • /
    • pp.135-139
    • /
    • 2006
  • 본 논문은 도인(桃仁)(Persicae semen)의 화장품 약리활성으로 항산화 효과, tyrosinase 억제효과, 아질산염 소거능를 살펴보았다. 도인(桃仁)은 도인 전체, 껍질, 껍질을 제외한 알맹이로 각각 나누어 사용하였다. 도인(桃仁) 껍질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은 1,000 ppm에서 각각 89%, 87%이상의 전자 공여능을 나타내어 같은 농도의 BHA에 비해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실험에서 10,000 ppm의 BHA가 89%, 도인(桃仁) 껍질 열수 추출물은 93%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 억제실험에서는 1,000 ppm의 BHA가 27%의 효과를 나타내었고, 도인(桃仁) 껍질 에탄올 추출물은 62%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Tyrosinase 억제실험에서 도인(桃仁) 전체, 껍질, 알맹이 에탄올 추출물 10,000 ppm에서 모두 98%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1,000 ppm의 도인껍질 에탄올 추출물에서 96%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도인(桃仁)의 화장품 천연소재로써 응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카페인과 일반의약품의 복합처리에 의한 장관계 세포 독성 평가 (Evaluation of Cytotoxic Properties of Caffeine Treated with Over-the-counter Drugs in the Intestinal Cells)

  • 최현아;김미리;박경아;홍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56-361
    • /
    • 2012
  • 다양한 식품 중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생리활성 성분 카페인과 일반의약품 성분 AAP, Asp 및 Ibu와의 혼용 시 상호작용에 의한 세포 독성 변화를 장관계 세포모델에서 조사하였다. 카페인은 정상 장관계 세포 INT 407 및 대장암 세포 HCT 116에 농도의존적인 독성을 나타내었고, $IC_{50}$ 수치는 각각 1.91과 2.45 mM로써 정상세포에 유의적으로 높은 독성을 나타내었다. 카페인과 각각의 약물을 세포에 24시간 동시 처리한 결과 전체적으로 현저한 독성의 변화현상은 발생하지 않았으나, 약물처리 시를 기준으로 한 카페인의 상대적 독성 및 카페인 처리 시를 기준으로 한 약물의 독성이 INT 407 세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동시 처리 시 약물에 의해 감소된 GSH를 비롯한 thiol성 물질의 세포 내 수준이 카페인 존재 시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한편 카페인과 약물을 각각 순서를 달리하여 전후로 처리하였을 때, 특히 HCT 116 세포에서의 약물의 상대적인 독성이 강화되는 현상을 보였다. 일반의약품 AAP, Asp 및 Ibu과 카페인을 다양한 조합에 의해 장관계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일부 상대적인 독성의 강화 또는 약화 현상이 나타났으나 전체적으로 두드러진 독성발현 빛 활성변화는 발견되지 않았다.

황기홍국소스를 처리한 계육이 고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ROS 생성 및 소거계 관련 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cken Treated with Hwangki-Beni Koji Sauces on ROS Generating and Scavenging Related Enzyme Activities in Rats Fed with a High Fat and High Cholesterol Diet)

  • 김재원;김순동;윤광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605-612
    • /
    • 2010
  • 황기열수추출물(WEH)과 홍국 70% 에탄올추출물(EEB) 및 Monascus pilosus 액침배양액(LBK)을 동결건조한 등량 혼합물을 일반 닭고기 베이스소스에 0.225% 첨가한 황기홍국소스(HBS)를 처리한 계육의 식이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병행식이 흰쥐의 ROS 생성 및 소거계 효소류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군은 정상군(NC), 고지방-고콜레스테롤 대조군(HFC),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베이스소스를 처리한 계육을 15% 첨가한 식이군(HFC-BS) 및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에 황기홍국소스를 처리한 계육을 15% 첨가한 식이군(HFC-HBS)으로 구분하여(5마리/군) 5주간 사육하였다. 체내 활성산소를 생성하는 xanthin oxidoreductase O type 활성은 HFC군에 비하여는 31.84%가 HFCBS군에 비하여는 24.57%가 각각 감소되었다. Superoxide dismutase 및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은 HFC-HBS군이 HFC군 및 HFC-BS군에 비하여 각각 25.17-64.50% 및 19.29-62.89%가 증가 하였다. 활성산소에 소거에 관여하는 glutathione의 함량은 HFCHBS군이 HFC군 및 HFC-BS군에 비하여 각각 53.30% 및 25.11%가 증가하였으며, 간조직의 지질과산화물의 함량은 각각 20.29% 및 24.19%가 감소되었다. Glutathione peroxidase 및 catalase 활성은 각각 41.29-41.87% 및 22.91-23.44%가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 황기홍국소스를 처리한 계육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병행식이 하에서도 활성산소 생성계 효소 활성을 감소함과 동시에 소거계 활성을 높힘으로서 간조직 손상을 예방 및 치유하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