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XP-SWMM 2D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Flood inundation simulation considering external forces in urban coastal areas (복합 외력을 고려한 연안지역의 침수 모의)

  • Kang, Taeuk;Lee, Sangho;Jin, You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2
    • /
    • 2022
  • 연안지역은 강우, 조위, 월파 등 다양한 재해 요소에 의해 침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재해 요소는 동시에 발생하여 큰 침수 피해를 유발하기도 한다. 하지만 각각의 재해 요소를 대상으로 하는 기술 분야가 상이하기 때문에 물리 모형 기반의 과학적 방법으로 복합적인 재해 요소를 고려한 침수 분석에 관한 연구는 제약되었다. 이 연구는 강우-유출 및 2차원 지표면 흐름 해석의 수공학적 분석 기술과 조석, 파랑, 월파 등의 해양공학적 기술을 연계하여 연안지역에 대한 복합 외력을 고려한 침수 분석 기술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선, 먼 바다로부터 예상되는 파랑, 조위 분석에는 ADCIRC와 UnSWAN 모형을 연계한 ADCSWAN이 사용되었다. 연안 주변의 복잡한 흐름 해석과 해안 구조물을 범람하여 발생하는 월파량 산정에는 FLOW-3D 모형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강우-유출 분석과 바다의 조위 및 월파량을 고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차원 지표면 침수 해석이 가능한 XP-SWMM을 이용하여 연안지역의 침수 모의를 수행하였다. 모형 간 연계에 의한침수 해석의 적절성을 검토하기 위해 2016년 10월의 태풍 차바 시 대대적인 침수가 발생한 부산 마린시티 지역에 대하여 적용하였다. 침수 모의 결과는 당시의 현장 사진, 침수흔적도와 비교하여 검토되었고, 실제 침수 현상과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 연구는 연안지역의 복합적인 재해요인에 대한 침수 해석에 수문 분야와 해양공학 분야의 기술 연계를 통해 실제 현상의 재현성을 높인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이 연구에서 제시한 해석 방법은 다양한 연안지역의 침수 원인 분석과 적절한 재해 방지 대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pplication of Hydro-Cartographic Generalization on Buildings for 2-Dimensional Inundation Analysis (2차원 침수해석을 위한 수리학적 건물 일반화 기법의 적용)

  • PARK, In-Hyeok;JIN, Gi-Ho;JEON, Ka-Young;HA, Sung-Ry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8 no.2
    • /
    • pp.1-15
    • /
    • 2015
  • Urban flooding threatens human beings and facilities with chemical and physical hazards since the beginning of human civilization. Recent studies have emphasized the integration of data and models for effective urban flood inundation modeling. However, the model set-up process is tend to be time consuming and to require a high level of data processing skill. Furthermore, in spite of the use of high resolution grid data, inundation depth and velocity are varied with building treatment methods in 2-D inundation model, because undesirable grids are generated and resulted in the reliability decline of the simulation results. Thus, it requires building generalization process or enhancing building orthogonality to minimize the distortion of building before converting building footprint into grid data. This study aims to develop building generalization method for 2-dimensional inundation analysis to enhance the model reliability,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uilding generalization method on urban inundation in terms of geographical engineering and hydraulic engineering. As a result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2-dimensional inundation analysis, the building generalization method developed in this study should be adapted using Digital Building Model(DBM) before model implementation in urban area. The proposed building generalization sequence was aggregation-simplification, and the threshold of the each method should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spatial characteristics, which should not exceed the summation of building gap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