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XML

검색결과 3,953건 처리시간 0.025초

취약성 점검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에이전트를 통한 통합 취약성 분석 시스템 (Integrated Security Manager with AgEnt-based vulnerability scanner automatically generating vulnerability analysis code(ISMAEL))

  • 김수용;서정석;조상현;김한성;차성덕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11-122
    • /
    • 2002
  • 악의의 침입자는 일반적으로 시스템의 취약성을 분석하고 발견된 취약성을 이용하여 시스템에 침입한다. 그러므로 보안 관리자는 악의의 침입자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시스템의 취약성들을 분석하여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해당 취약성들을 제거해 주어야 한다. 기존의 시스템 취약성 분석 방법은 주로 네트웍 기반 취약성 분석 도구에 의존해 왔다. 하지만, 네트웍 기반 취약성 분석 도구는 대상 시스템과의 네트웍 통신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제한된 정보만을 이용하여 취약성을 점검하기 때문에 네트웍 통신을 통해 접근할 수 없는 시스템 내부 취약성에 대한 검사는 불가능하다. 시스템의 모든 취약성을 정확하게 점검하기 위해서는 호스트 기반 취약성 분석 도구를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호스트 기반 취약성 분석 도구는 시스템의 운영체제의 종류와 버전에 따라 다르게 구현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호스트들을 관리 해야하는 보안 관리자가 호스트 기반 취약성 분석 도구를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에이전트 기반 취약성 분석 도구인 ISMAEL을 제안하여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ISMAEL에서 매니저는 대상 시스템에 설치된 에이전트에게 취약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에이전트는 그 정보를 근거로 자신에게 맞는 취약성 분석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취약성을 점검한다. 해당 취약성의 점검 결과는 다시 매니저에 XML 형태로 전해진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여러 운영체제로 에이전트를 포팅하는 것이 쉬워질 뿐만 아니라 취약성 점검 항목들이 추가되더라도 매니저의 수정이나 에이전트의 수정이 거의 필요 없게 된다. 우리는 ISMAEL의 프로토타입을 구현하고 실제로 적용해 봄으로써 이것이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IFC를 이용한 설계정보관리시스템 핵심부 구축 (Desig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ore Development Using Industry Foundation Classes)

  • 이근형;진상윤;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권2호
    • /
    • pp.98-107
    • /
    • 2000
  • 최근 건설산업에서 컴퓨터의 활용이 일반화되어 가면서, CAD, PMIS(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구조해석 프로그램, 공정관리 프로그램 등을 통해서 발생하는 정보의 양은 급증하고 있다. 그 정보의 양이 방대해지고, 복잡해지면서 이들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며, 재활용하는 것이 건설산업의 생산성을 좌우하는 요소가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건설업에서의 정보기술과 CIC(Computer Integrated Construction)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프로덕트 모델을 이용하여 정보를 통합하기 위한 방안으로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가 IAI에 의해 개발되어서 이를 이용한 정보 공유 및 활용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연구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고, 대부분 개념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IFC를 이용한 설계정보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좀 더 구체적인 모델과 구축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IFC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 기술을 조사하고, 이를 이용해서 IFC를 활용한 설계정보관리시스템의 모델을 제시하고, 제시된 모델에서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와 프로덕트 프레임워커의 역할과 이들을 구축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밝히는데 있다. 이들의 주된 역할은 건축정보와 구조정보의 통합과 프로덕트 정보의 다중 통합이며, 이들의 구현을 위한 프로세스로 먼저 '프로덕트 모델링' 과 '응용프로그램 개발' 의 두 가지를 상위단계의 활동으로 정의하고, 응용 프로그램 개발을 다시 'IFC스키마 컴파일', '클래스 컴파일',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생성', '프로덕트 프레임워커 개발,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 생성'의 다섯 가지 활동으로 정의했다. 이러한 활동들을 위해 이용되는 도구들로 C++ 컴파일러, CAD, ST-Developer, ST-ObjectStore, ObjectStore 등을 제시했다. 이렇게 구축된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들은 인터넷을 이용한 분산기술과 XML을 이용해서 정보 관련자들 간의 공유 방안 및 '3차원 모델링', '프로덕트 정보 생성', '데이터베이스 생성 및 수정', '여러가지 체계에 따른 모델의 재구성', '모델별 도면 및 시방서 연결', '물량 정보 생성'의 다섯 단계로 제시하였다.

  • PDF

RSS와 OLAP 큐브를 이용한 FOAF의 동적 관리 기법 (A Dynamic Management Method for FOAF Using RSS and OLAP cube)

  • 손종수;정인정
    • 지능정보연구
    • /
    • 제17권2호
    • /
    • pp.39-60
    • /
    • 2011
  • 웹 2.0 기술이 소개된 이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미래 정보기술의 기초로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이에, 웹2.0 환경에서 소셜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하여 온톨로지 기반의 사용자 프로필 기술 도구인 FOAF를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FOAF를 이용하여 소셜 네트워크를 생성 및 관리하는 대부분의 방법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를 자동적으로 반영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다양한 소셜 미디어 서비스가 제공되는 환경에서는 FOAF를 동적으로 관리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FOAF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추출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사용자 프로파일 기술 언어인 FOAF와 웹 저작물 출판 매커니즘인 RSS를 OLAP 시스템에 적용시켜 동적으로 FOAF를 갱신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수집한 FOAF와 RSS 파일들을 스타스키마로 설계된 데이터베이스에 넣어 OLAP 큐브를 생성한다. 그리고 OLAP 연산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연결관계를 분석하고 FOAF에 그 결과를 반영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이기종 분산처리 환경 하에서 데이터의 상호호환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용자의 관심 및 이슈 등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반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