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rist

검색결과 1,161건 처리시간 0.03초

근전도 트리거 손목 재활 훈련 시스템 개발 (Electromyography Triggered Training System for Wrist Rehabilitation)

  • 김영훈;리두이콴;지영준;안경관;황창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48-155
    • /
    • 2013
  • This study is about the development of the wrist rehabilitation system for the patient who has limited capability of movement after stroke. Electromyography triggered training system (ETTS) can play the role between complete passive training and patient activating training system. Surface EMG was measured on pronator teres muscle and biceps brachii muscle for wrist pronation and supination. Our system detects whether the subject makes muscular effort for pronation or supination or nothing in every 50 ms. When the effort level exceeds the preset percentage of maximal voluntary contraction, the motor rotat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intention of the subject. EMG triggers the motor rotation for the wrist rehabilitation training until the preset angle. To evaluate its performance, the maximum voluntary contraction level was measured for 4 subjects at first. With the audio-visual instruction to rotate the wrist (pronation or supination) the subjects made effort to follow the instruction. After calculating root mean square (RMS) for 50 ms,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re was muscular effort to rotate while holding the motor. When there was an effort to rotate, the controller rotates the motor 0.8 degree. By comparing the RMS values from two channels of EMG,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rotational direction. The onset delay is $0.76{\pm}0.24$ s and offset delay is $0.65{\pm}0.22$ s for pronation. For supination the onset delay is $1.24{\pm}0.41$ s and offset delay is $0.77{\pm}0.22$ s. The system responded fast enough to be used for rehabilitation training. The controller perceived the direction of rotation 100% correctly for the pronation and 97.5% correctly for supination. ETTS was developed and the fundamental functions were validated for normal subjects. The clinical validation should be done with patients for real world application. With ETTS, the subjects can train voluntarily over the limitation of the range of motion which increases the effectiveness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하악골 성장 지표로서 경추골 성숙도의 유용성 (USEFULNESS OF CERVICAL VERTEBRAE MATURATION STAGE AS A MANDIBULAR MATURATION INDICATOR)

  • 최봉선;최남기;김선미;양규호;정성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51-559
    • /
    • 2007
  • 하악골 성장을 평가하는 데 경추골 성숙도가 수완부골 성숙도만큼 유용한가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정상교합을 가진 만 8세$\sim$만 16세 여성 29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진단석고모형, 측모두부규격방사선사진, 그리고 수완부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경추 및 수완부의 골성숙도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령 증가에 따라 경추 및 수완부의 골성숙도가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2. 경추골 성숙도가 증가할수록 Ar-Go, Go-Me, N-Go, S-Gn, N-Me이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3. 수완부골 성숙도가 증가할수록 Ar-Go, Go-Me, N-Go, S-Gn이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4. 경추골 성숙도 3단계와 4단계 사이에서 Ar-Go, Go-Me, N-Go, S-Gn이 크게 증가하였고, 수완부골 성숙도 6단계와 7단계 사이에서 Go-Me, S-Gn이 크게 증가하였다. 5. Ar-Go, Go-Me, N-Go, S-Gn, N-Me은 경추 및 수완부 골성숙도와 각각 유의 한 상관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하악골 성장을 평가하는 데에 경추골 성숙도가 수완부골 성숙도처럼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경추골과 수완부골 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골성숙도 평가 (EVALUATION OF THE SKELETAL MATURITY USING THE CERVICAL VERTEBRAE AND HAND-WRIST RADIOGRAPHS)

  • 김경호;성상진;박소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85-295
    • /
    • 1998
  • 임상 교정에서 성장하는 환자의 성장 단계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환자의 골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수완부골 방사선 사진이 비교적 흔히 사용되고 있으며, 측모 두부계측 방사선 사진에서 경추골의 발육을 조사하여 성장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정 환자에서 일상적 기록으로 얻을 수 있는 측모 두부계측 방사선 사진을 통해 경추골의 성숙도(Cervical Vertebrae Maturation Indicators : CVMI)를 평가하고, 그와 동일 환자가 동일한 날에 촬영한 수완부골 방사선 사진에서 골성숙도(Skeletal Maturity Indicators SMI)를 평가하여 그 분포율과 상관성을 조사,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수완부골 방사선 사진에서 평가한 골성숙도와 측모 두부계측 방사선 사진에서 평가한 경추골 성숙도는 매우 높은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2. SMI와 CVMI를 이용한 골성숙도 평가에서 CVMI 1은 SMI 1, 2와, CVMI 2는 SMI 3, 4와, CVMI 3은 SMI 6, 7과, CVMI 4는 SMI 7, 8과, CVMI 5는 SMI 9, 10과, CVMI 6은 SMI 11과 각각 높은 상호 연관성을 보였다. 3. 제 2경추골과 제 3경추골의 형태변화를 분리하여 경추골 성숙도를 평가하였을 때 제 2경추골 하연에서만 곡선화가 나타나고 제 3 경추골에서는 곡선화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CVMI 2에서는 10.38%로, CVMI 3에서는 6.56%로 매우 낮았다. 4. 수완부골과 경추골에서 평가된 각 골성숙 단계에서 환자의 남녀별 평균 연령과 표준 편차를 조사한 결과 성장 시기의 개인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여자가 남자 보다 다소 조기에 골성숙이 일어나고 성장 종료 시점도 24개월정도 빠르게 일어났다.

  • PDF

랩탑 컴퓨터 터치패드와 클릭버튼 위치에 따른 손목과 어깨 부위 근육의 EMG 진폭 및 중앙 주파수 변화 (Effects of Touchpad &Buttons Positions in a Laptop Computer on EMG Amplitude and Median Frequency of Muscles Relating to Wrist and Shoulder)

  • 한승조;김선욱;구교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258-1265
    • /
    • 2013
  • 본 논문의 목적은 랩탑 컴퓨터의 터치패드 및 두 개의 클릭 버튼 위치에 따른 손목과 어깨 부위 근육의 EMG 진폭 및 중앙 주파수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다. 기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손목과 어깨의 외전현상이 근골격계질환으로 이어지는 메커니즘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연구가설이 설정되었다. 실험에서 터치패드 및 클릭버튼의 위치는 기존의 중앙 아래(bottom center, BC)와 중앙 아래에 위치하지만 $45^{\circ}$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 방식(bottom center with rotation, BCR), 그리고 회전없이 중앙 오른쪽에 위치한 경우(bottom right, BR)가 비교되었다. 10명의 피실험자는 오른 손으로 5분 동안 터치패드 및 두 개의 버튼을 이용하는 task를 각각의 시행하는 동안 EMG 진폭과 중앙 주파수가 측정되었다. 손목 부위의 근육은 척측수근굴근, 어깨부위의 근육은 위쪽 승모근이 선정되었다. 실험결과 손목부위에서는 BC의 경우가 진폭은 크게 나타나고 중앙 주파수는 작게 나타났으며, 어깨부위에서는 BC와 BCR이 BR보다 진폭은 크고 중앙 주파수는 작게 나타났다. 또한, 손목부위에서는 진폭과 중앙 주파수 모두에서 BCR과 BR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고, 어깨부위에서는 BC와 BCR에서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BC에서는 손목과 어깨의 외전이 동시에 나타나고, BCR은 어깨의 외전만, 그리고 BR은 손목과 어깨에서 외전이 모두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루어낚시 참여자의 손목 움직임 측정을 위한 스트레치 센서 개발 (The Development of Stretch Sensors for Measuring the Wrist Movements for People Using Fishing Lures)

  • 최윤성;박진희;김주용
    • 감성과학
    • /
    • 제25권3호
    • /
    • pp.77-9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루어낚시 참여자의 손목 움직임 측정을 위한 스트레치 센서를 개발하는 것이다. 손목움직임 측정을 위해 스트레치 센서를 손목에 부착하여 배굴, 저굴 그리고 랜딩동작을 게이지율, 인장강도 그리고 신장회복률을 척도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CNT 분산액을 이용한 전도성 센서를 개발하고 E-band에 동일한 조건으로 적용하였다. 함침을 각각 한 번, 두 번, 그리고 세 번한 같은 크기의 5종, 15가지 센서를 만능재료시험기(Dacell dn-fga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를 활용해 게이지율(Gauge Factor)을 측정하였다. 두 번 함침한 센서가 게이지율이 가장 우수했으며, 게이지율과 인장강도가 높은 세 가지 센서로 프로토 타입을 제작하였다. 아두이노에 연결하여 동작테스트를 한 결과, 인장강도와 게이지율이 가장 높은 시료 1이 세 가지 동작에서 일정한 파장이 유지되었다. 시료 2,3은 배굴과 저굴에서는 일정한 파장을 나타내었지만, 랜딩동작에서는 신호 노이즈가 나타났다. 이는, 랜딩동작에서는 인장강도와, 게이지율에 따라 파장의 패턴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손목의 움직임 측정을 위한 스트레치 센서 제작시에 필요한 조건들을 유추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루어낚시용 스마트 웨어러블 제품 개발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누적외상병 예방을 위한 Drilling 작업 빈도에 관한 연구

  • 김철홍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1-48
    • /
    • 1994
  • A laboratory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varying working conditions on drilling frequendcy for females. Results of ANOVA showed that angle of wrist flexion and for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drilling frequency. As angle ofwrist flexion and force increased drilling frequency decreased significantly. A set of 4 regression models were developed to predict maximum acceptable frequency (MAF) for drilling as a function of wrist flexion angle, force, and various physiological measures with could be applied in industrial situations

  • PDF

앉은 자세에서 힘 수준에 따른 상지관절 동작별 최대 수용 반복 빈도수 분석 (Analysis of Maximum Acceptable Frequencies for Upper Extremity Motions with Forces in a Seated Position)

  • 권오채;유희천;정기효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65-70
    • /
    • 2005
  • Evaluation of repetitiveness for upper extremity intensive tasks is essential to determine the level of risk for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disorders at the workplace. However, experimental data available to establish the acceptable levels of repetitiveness for various postures and forces is lacking.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maximum acceptable frequencies(MAFs; motions/min.) of shoulder, elbow, wrist, and index finger motions at different forces(1kgf and 4kgf for shoulder, elbow, and wrist; 0.25kgf and 1 kgf for index finger) in sitting. Seventeen right-handed males in 20s without having any history musculoskeletal disorders participated in the MAF experiment. The participants determined their MAFs for the upper extremity motions by using the self-adjustment method and their work pulse(increase in heart rate; beats/min.) and rating of perceived exertion(RPE) were measured when working at MAF. The MAFs of elbow, wrist, and index finger motions for each force level were about 2, 3, and 6 times the corresponding MAF(9 at the high force and 24 at the low force) of shoulder motion and the MAFs at the low force increased about 2 times those at the high force. The work pulses of elbow, wrist, and index finger motions for each force level were 70%, 50%, and 30% of the corresponding work pulse(17 at the high force and 12 at the low force) of shoulder motion and the work pulses at the low force were about 70 % of those at the high force. Lastly, the RPEs of the upper extremity regions were about level 3(moderate) or below.

팔꿉관절 부위에 적용한 다이아몬드 테이핑이 정상인의 파악력 수준별 손목 폄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amond Taping Applied to the Elbow Joint on Wrist Extensor Muscle Activity in Healthy Subjects)

  • 황천종;김선엽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8-125
    • /
    • 2020
  • Background: Lateral epicondylitis (LE) is the most common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condition of the upper extremities. LE is often related to forceful grip activities that require isometric contraction of the wrist extensors. A previou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the diamond taping technique on grip strength and pain; however, there has been no report on the change in the electromyography (EMG) findings of wrist extensors. Objec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amond taping technique, using a rigid tape, on the EMG activities of the extensor carpi radialis (ECR) during grip activities. Methods: Twenty-four healthy subjects (mean age = 21.50 ± 2.76 year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instructed to perform forceful grip activities with and without diamond-type taping on the origin area of the ECR. Grip strength tests were performed at 100%, 75%, 50%, and 25% for maximal isometric contraction force. EMG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ECR. Repeated measure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 of grip force and taping (with and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were set at α = 0.05. Comparison of the results with and without taping at different grip force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were set at α = 0.01.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taping application and forceful grip activity as revealed by the EMG data of the ECR (p < 0.05). EMG of the ECR significantly reduced for all muscle strength levels (p < 0.01) after taping. Conclusion: This study shows an impressive effect of the diamond taping technique, using rigid tape, on wrist extensors during grip activities. Decreasing muscle activity via this taping approach could be utilized to enhance pain-free grip force and reduce pain in patients with LE. Our study suggested that this taping technique could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management strategy of 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