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ound closure technique

Search Result 43, Processing Time 0.015 seconds

광배근 근피판 거상 후 점진적 긴장 봉합술의 유용성 (The Effectiveness of Progressive Tension Suture at Latissimus Dorsi Muscle Harvest)

  • 문주봉;박정민;권용석;이근철;김석권;조세헌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5호
    • /
    • pp.611-616
    • /
    • 2007
  • Purpose: The latissimus dorsi muscle flap is a versatile flap used in a variety of reconstructive procedure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of LD muscle flap is donor site seroma, reported to occur in 20 to 79 percent of cases. The formation of dead space under the flap is intimately associated with seroma formation. The authors think that the use of progressive tension suture at closing donor site can decrease the formation of dead space and ultimately reduce the incidence of donor site seroma.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was performed with 38 patients who underwent latissimus dorsi muscle harvest for breast reconstruction from March 2003 to September 2004. Progressive tension sutures were used during donor site closure in 22 patients. This group was compared with controls group(16 patients) who underwent latissimus dorsi muscle harvest without using this technique. Operation time, length of hospital stay, period of drainage, complication, and satisfaction about postoperative scar of donor site were examined. Results: The average length of hospital stay was 10.2 days and 12.7 days, and the mean duration of drainage were 7.3 days and 11.7 days in each progressive suture group and control group. Thes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In the 22 patients who underwent progressive tension suture, none had seroma, hematoma or skin necrosis. In control group(16 patients), there happened one seroma formation and one partial skin necrosis. These complications were healed by aspiration of seroma and wound revision. The patients' satisfac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higher points were given by the patients who underwent progressive tension suture. Conclusion: This technique, progressive tension suture, is an effective method to reduce or eliminate donor site seroma, which i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associated with latissimus dorsi muscle harvest.

최소 침습성 심장수술 -세가지 다른 접근법- (Minimally Invasive Cardiac Surgery - Three different approaches -)

  • 정승혁;양지혁;남혜원;김기봉;안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5호
    • /
    • pp.438-441
    • /
    • 1999
  • 배경: 최소 침습성 심장수술은 기존의 정중 흉골절개술보다 우수한 미용효과, 흉곽 개폐에 있어서의 용이함, 작은 외상에 따른 통증, 감염, 출혈 등의 감소, 빠른 회복 및 재원일수의 감소 등이 장점으로 제시되면서 점차 널리 시행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1997년 3월부터 12월 까지 3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우측 방정중 절개법, 흉골횡 절개법, 최소흉골절개법 등의 3가지 접근방법으로 대동맥 판막 및 승모판 판막질환, 선천성 심기형의 환자 등에 대해 최소 침습성 심장수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사망례는 없었다. 합병증으로는 술후 부정맥 4례, 출혈로 인한 재수술 1례, 창상 지연유합 1례가 있었다. 사용된 창상의 평균 길이는 9.1$\pm$0.9cm이었고 중환자실 체류기간은 평균 48$\pm$29시간, 술후 재원기간은 평균 10$\pm$7일 이었다. 결론: 술중 제세동, 탈기, 심장감압 등의 과정에 있어서 어려운 점이 있고 아직까지는 선별된 예에 한해 시행되고 있으나 경험의 축적에 따라 점차 그 적용례가 늘어날 것이라 전망된다.

  • PDF

흉강경하 최소절개를 이용한 심방중격결손의 폐쇄 (Closure of Atrial Septal Defects through a Video-assisted Mini-thoracotomy)

  • 민호기;양지혁;전태국;박표원;최선우;박승우;민선경;이재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5호
    • /
    • pp.568-572
    • /
    • 2008
  • 배경: 이미 여러 외과 영역에서 내시경수술이 보편화 되었고, 심장외과 영역에서도 그간 무펌프 관상 동맥우회술이나, 최소절개 또는 변형된 흉골절개 등을 이용한 최소침습수술이 꾸준히 시도되어 왔다. 하지만, 시야확보 및 체외순환을 위한 흉골절개의 필요성 때문에 이러한 변화에 둔감했던 것이 사실이다. 최근 로봇을 이용한 내시경 심장수술이 도입되는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나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저자는 기존의 흉강경을 이용하여 심방중격결손의 폐쇄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5월부터 2008년 2월까지 1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흉강경을 이용한 심방중격결손의 페쇄를 시행하였다. 수술 시 평균 연령은 $31{\pm}6$세였고 이들 중 2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여자였다. 술전 심초음파상 심방중격결손의 평균 크기는 $24{\pm}5mm$였고, 삼첨판을 통한 압력차는 $30{\pm}5$ mmHg로 측정되었다. 삼첨판 페쇄부전은 3명에서는 경-중도였고 나머지에서는 경도 이하였으며, 1명에서 경-중도의 승모판폐쇄부전이 동반되었다. 수술은 우측 내경정맥과 대퇴동-정맥으로 캐뉼라를 삽관하여 체외순환을 시행하고, 유방하구를 따라 $4{\sim}5cm$의 소절개를 한 뒤 제4늑간을 통한 작업창과 흉강경으로 시야를 확보하며 심내교정을 시행하였다. 심방중격결손의 페쇄는 11명에서는 자가심낭을 이용하였고 4명에서는 일차봉합하였다. 관련 술기로는 3예의 삼첨판 성형술과 1예의 승모판 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체외순환시간은 $160{\pm}47$분, 대동맥차단시간은 $70{\pm}26$분이었다. 결과: 술 후 사망 또는 주요합병증은 없었다. 3예에서 수혈이 필요하였고, 흉관제거 후 기흉이 관찰된 1예와 창상치유가 지연되었던 1예, 일시적인 부정맥의 1예 외에 별다른 합병증 없이 술 후 $5.9{\pm}1.8$일째 퇴원하였다. 술 후 시행한 심초음파 상 잔여 단락은 없었으며, 삼첨판폐쇄부전은 전예에서 경도 이하였다.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10.7{\pm}6.4$개월이었고 3명의 환자가 마지막 외래 방문 시 우측 가슴이나 대퇴부 안쪽의 감각이상을 호소하였으나 그 외 이상소견은 없었다. 결론: 저자들은 기존의 흉강경 장비를 이용한 심방중격결손의 페쇄로 술 후 만족할만한 임상적, 미용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수술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완전히 폐쇄된 공간 안에서의 수술이 아니고 작으나마 개흉이 필요하므로 향후 경험과 장비 면에서 보완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