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place Deviant Behavior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The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Workplace Deviant Behavior and Employee Performance: The Role of Job Satisfaction

  • ASTUTI, Rini Juni;MARYATI, Tri;HARSONO, Mugi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2호
    • /
    • pp.1017-1026
    • /
    • 2020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in reducing workplace deviant behavior through job satisfaction and its impact on employee performanc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and investigate (1) the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workplace deviant behavior; (2) the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job satisfaction; (3) the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employee performance; (4)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employee performance; (5) the effect of workplace deviant behavior on employee performance; and (6) the mediating role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workplace deviant behavior.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43 permanent non-lecturer staff at Universitas Muhammadiyah Yogyakarta, Indonesia. The data analysis technique employed in this study wa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based on Partial Least Square (PL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workplace spirituality affected workplace deviant behavior; workplace spirituality affected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ffected employee performance; and workplace deviant behavior affected employee performance. Meanwhile, the findings further showed that workplace spirituality did not affect employee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did not affect workplace deviant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could not mediate the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workplace deviant behavior.

스마트폰 사용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mart-Phone Use on Performance)

  • 이종만;박종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451-45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근무시간 중 스마트폰의 인터넷 기반 일탈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일탈행동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하여 스마트폰 인터넷을 이용한 일탈행동, 성과, 그리고 일탈행동 영향요인들인 의향, 습관 등으로 구성된 이론모형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이론모형은 업무영역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스마트폰 인터넷을 이용한 일탈행동은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스마트폰 인터넷을 이용한 일탈행동 의향 및 습관은 그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들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직장에서의 스마트폰 인터넷을 이용한 일탈행동에 대한 분석틀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사회복지사의 일탈적 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ocial Worker on Deviant Workplace Behavior)

  • 임진섭;정혜원;김태형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2호
    • /
    • pp.35-6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광주광역시 소재 사회복지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개인직무적합성과 개인조직적합성, 직무소외가 일탈적 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 경로를 파악하는 것이며 동시에 이러한 영향관계가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광주사회복지사협회에서 실시한 사회복지 보수교육에 참여한 567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데이터가 사용되었으며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독립변인인 개인직무적합성과 개인조직적합성은 매개변인인 직무소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소외는 일탈적 과업행동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직무적합성과 개인조직적합성은 일탈적 과업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직무소외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여기서 직무소외감은 완전매개 변인으로 기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모형에서는 성별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의 일탈적 과업행동에 대한 논의와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Spillover Effects in Customer Incivility: Impacts on Frontline Employees' Negative Behaviors

  • Jung, Hyo Sun;Park, Young Mi;Yoon, Hye Hyun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10-117
    • /
    • 2017
  •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ransitive relation among customer incivility perceived by deluxe hotel frontline employees, burnout, and deviant workplace behaviors and cla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ees' stress. A total of 230 employees working in deluxe hotels in Seoul, the capital of Korea, in 2017 comprised the sample in this study.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in the model were tested simultaneously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SEM). As results, customer incivility perceived by deluxe hotel frontline employees had significant (p<.001) positive influence on their burnout(${\beta}=.38$, t-value=4.93). Employees' burnout positively influenced their deviant workplace behaviors (${\beta}=.56$, t-value=7.22). In addition, customer incivility was found to positively affect employees' deviant workplace behaviors(${\beta}=.26$, t-value=3.90), and therefore, the moderating role of stress level was not verifi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deluxe hotels are supposed to enhance their frontline service by providing orientation for customers through promotion material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well established and discussed.

비교이론이 리더-구성원 교환이론과 직장 내 일탈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ceived Similarity on Leader-member Exchange and Deviant Workplace Behavior)

  • 김수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629-635
    • /
    • 2020
  • 본 연구는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238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조직 내 인식된 유사함, 리더-구성원 교환이론, 시기심과 직장 내 일탈행위와의 관계를 사회비교이론을 토대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상향비교에 초점을 맞춘 연구분석 결과, 상향비교에 초점을 맞추어, 리더-구성원 교환이 상위에 있는 동료와 본인을 비교하는 종업원은 리더-구성원 교환이 하위에 머물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고, 이들의 시기심은 비교이론와 리더-구성원 교환이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 결과를 보면 시기심은 리더-구성원 교환이론과 직장 내 일탈행위에 영향을 주고, 또한 시기심은 하위 리더-구성원 교환이론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 내 부정적인 감정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을 감안하면 본 연구는 감정과 리더십, 성과분야의 연구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일탈적 행위, 유머: 한국 기업 구성원의 일과 개인 공간의 지각 (Fun Space or workplace? The Role of Humor in Navigating Work-personal Space in South Korean Organizations)

  • 김희선;우성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666-683
    • /
    • 2021
  • 유머는 일반적으로 긍정적이고 유용한 커뮤니케이션 기법으로 소개된다. 그러나 유머의 모호한 성격과 사용법은 장소와 시간에 따라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재택근무와 온라인 업무가 많아진 기업 상황에서 의도하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 구성원의 공간 개념에 대한 유머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며, 총 62명의 참여자에 대한 질적 연구를 인터뷰와 참여적 관찰을 통해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유머를 업무와 관련이 없는 일탈적인 행동으로 인식했으며, 일부 사용되는 유머는 무례하고 부적절하다는 인식 또한 존재했다. 그러나 유머라는 일탈적 행위를 실행함으로써 업무의 시작 혹은 종료를 신호하는 의식으로도 사용했다. 참여자들의 유머는 다른 구성원들과 함께 사용함으로써 분위기 및 상황적 인식을 변화하는데 도움을 제공하며, 특히 유머를 통해 만들어지는 즐거운 기분이나 분위기가 기업 구성원의 관계를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업무와 개인적인 활동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든다. 따라서, 유머는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업무적인 공간과 개인적인 공간의 인식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변화하는 업무 공간과 관련된 이슈들을 이해하고 관리 방법을 찾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