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er in special employment type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특수형태근로 종사 여부에 따른 작업위험요인과 건강상 문제의 차이 분석 (The Analysis of Risk Exposure and Ill Health Symptom by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pecial Type of Employment)

  • 신새미;변상훈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19-329
    • /
    • 2018
  • Objectives: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analyze difference of general and occupational characters, risk exposure and ill health symptom depending on the special type of employment. Methods: 50,007 participants from Fourth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conducted in 2014 was analyzed. Cross-tabu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deriving difference in general and occupational characters, mulit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controlling general and occupational characters for deriving difference in risk exposure and ill health symptom depending on the special type of employment. Results: In the special type of employment, female, ages of 50, education levels of high school, monthly income of 2,000-3,000 thousand won, job types of sales person, enterprises of less than 100 workers, working duration of 2-10 years and long working hours worker's proportion was higher than general employment. Physical(OR: 0.84, 95% CI: 0.76-0.94) and ergonomic (OR: 0.48, 95% CI: 0.42-0.55) risk exposure was lower, psychological(OR: 1.77, 95% CI: 1.54-2.04) risk exposure was higher than general employmen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pecial type of employment and general employment in chemical/biological risk exposure(OR: 1.06, 95% CI: 0.94-1.20) and ill health symptom(OR: 0.98, 95% CI: 0.89-1.09). Conclusions: This article offers the analysing difference between the special type of employment and general employment using huge size cross sectional data represent Korean employees.

독일 산재보험제도의 적용방식과 시사점: 자원봉사자와 특수형태근로종사자 중심으로 (Coverage Method in German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and Policy Implications: Focusing on Volunteers and Persons in Special Types of Employment)

  • 김상호
    • 한국사회정책
    • /
    • 제20권3호
    • /
    • pp.171-195
    • /
    • 2013
  • 산재보험의 현안 이슈 중의 하나는 인적 적용 범위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 개념과 산재보험법상의 근로자 개념을 일치시켜 적용하면서 사회적 보호 필요성이 제기되는 집단에 한정해서 특례규정을 적용하여 임시적으로 문제를 해결하여 왔다. 본 논문에서는 독일 사회법전과 문헌 연구를 통해 자원봉사자와 특수형태근로종사자 중심으로 독일 산재보험의 적용 방식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독일에서는 우리나라와 달리 의료기관이나 사회복지시설의 자원봉사자, 공공기관과 교회의 자원봉사자, 시민보호를 위한 자원봉사자, 생명구조 활동자, 헌혈자 및 장기 기증자 등을 법률에 의한 당연가입대상자로 적용하고 있다. 국가가 공익 목적의 자원봉사 활동을 적극 지원하여 자원봉사가 활성화되어 있으며, 이러한 지원의 일환으로 자원봉사 활동 관련 재해 위험을 산재보험제도를 통해 보호하고 있다. 산재보험의 적용대상이 종속적 고용관계에 있는 근로자에서 출발하여 확대되는 배경과 과정을 자원봉사자 중심으로 독일 문헌에 기초해 정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독일 산재보험제도는 종속적 고용관계에 있지 않은 사회적 취약집단에게 재해 보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사회복지 분야 자원봉사자에게 재해 보호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적용방법으로 산재보험제도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사회복지 분야 자원봉사자를 산재보험 당연가입대상자로 설정하여 제도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 넷째, 특수형태근로종사자에 대해서는 우리나라가 독자적인 해결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화물자동차운송업 종사자들의 고용형태에 따른 직업만족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Job Satisfaction of Road Freight Transportation Industry Workers by Type of Employment)

  • 유헌종;안승범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68-378
    • /
    • 2015
  • 본 연구는 화물운송업 종사자들의 고용형태에 따른 직업만족도 차이를 분석함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설문항목에 대한 신뢰성 타당성 검토를 위해 신뢰성 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화물자동차운송업 종사자들의 고용형태에 따른 직업만족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뢰성 분석과 요인분석 결과 설문항목들은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변량 분산분석 결과 비정규직과 특수형태근로 간 직업만족도 차이는 전체 항목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직업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보수/소득, 업무시간, 작업조건, 복리후생, 직장안정성 항목에서 정규직의 만족도가 비정규직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규직과 특수형태근로 간 직업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보수/소득, 업무시간, 복리후생, 건강을 돌볼 여유 항목에서 정규직의 만족도가 특수형태근로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Mental health symptoms among dependent contractors in Korea: a cross-sectional study based on the Fifth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 Seong-Uk Baek;Sung-Shil Lim;Sehyun Yun;Won-Tae Lee;Min-Seok Kim;Jin-Ha Yoon;Jong-Uk Won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
    • 제34권
    • /
    • pp.1.1-1.13
    • /
    • 2022
  • Background: Recently, there has been a call to improve the holistic welfare of dependent contractors (DCs). Thus, our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DCs and mental health symptoms and how this relationship was modified by age, sex, and income status of workers. Methods: A total of 27,980 workers from the Fif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are included in our study. The participants who reported having depression or anxiety over the last 12 months are defined those who had mental health symptoms. We performed exact matching for age group and sex, followed by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with survey weights. Finally, stratified analyses by age, sex and income level were conducted. Results: DCs were found to be at increased risk of depression/anxiety compared to other workers. The odds ratio (OR) is 1.52 (95% confidence interval [CI]: 1.06-2.17). In the stratified analyses, vulnerable groups were middle-aged (OR [95% CI]: 1.68 [1.10-2.54]), female (OR [95% CI]: 1.85 [1.20-2.84]), and low-income (OR [95% CI]: 3.18 [1.77-5.73]) workers. Conclusions: Our study's results reinforce those of other studies that show that DCs are at greater risk of experiencing mental health issues than other workers and that and this risk is greater for middle-aged, female, and low-income work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ppropriate policy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D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