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life Balance Policies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5초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esources Practice, Work-Life Balance, and Employee Engagement: An Empirical Study in Indonesia

  • SARAGIH, Romat;PRADANA, Mahir;AZIS, Elvira;DRIANA, Thasania Fitri;RAMADHANA, Naurah Salsabil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7호
    • /
    • pp.357-364
    • /
    • 2021
  •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effective human resource practices and work-life balance in various organization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employee engagement.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723 employees from various industries in Java. The result suggests that human resource practice alone did not influence employee engagement. However the human resource policy helps develop a sense of WLB for an employee, which in the long run will affect the level of engagement. Thus, work-life balance enables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and their workplace. This study also encompasses current literature regarding huan resource policies in understanding employee engagement through work-life balance. This study provides exploratory findings regarding HR function practices, WLB, and employee involvement in service organizations. It proved that participants from four organizations reported very positive impressions about HR practices and they were also very involved in their work and organization. While their balance still needs to be improved, this may imply that the participants are not happy with their work lives. The main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WLB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R practices and employee engagement. This means that organizations need to find ways to help employees achieve a better WLB.

저출산 대응을 위한 일-가정 양립지원정책 (Work-Family Balance Policies Responding to Low Fertility)

  • 유계숙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8권1호
    • /
    • pp.111-125
    • /
    • 2012
  •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1983년 인구대치수준에 도달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현재 세계 최하위권의 출산율에 머물고 있다.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증가와 근로자의 일-가정 양립 어려움은 전통적 성역할 및 가족규범과 함께 저출산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또한 지속적인 경기침체와 양극화는 일-가정 양립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결과적으로 저출산을 보다 심화시키고 있다. 2011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에서는 저출산에 대응하기 위하여 정책의 우선순위를 일-가정 양립지원 및 결혼·출산·양육부담 경감에 두고 있다. 특히 양성평등 환경조성에 기반한 일-가정 양립지원정책은 향후 출산율 제고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보육, 근로시간, 휴가·휴직, 돌봄노동 등 우리 사회의 저출산과 관련된 일-가정 양립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근로자의 일-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정부와 국내기업의 정책 현황과 출산율 제고효과를 고찰함으로써 저출산 대응 및 여성고용 촉진을 위한 일-가정 양립지원정책의 추진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PDF

독일의 일·가정 양립정책과 민간 기업의 참여 (Work-Life Balance Policies in Germany and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Companies)

  • 남현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729-736
    • /
    • 2023
  • 전통적으로 성별분업에 의한 남성 생계부양자모델을 추구해온 보수주의 복지국가 독일은 오랜 기간 현금급여 중심의 경제적 지원을 통해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2007년 독일 정부는 "시간정책, 이전소득 및 인프라의 혼합"이라는 슬로건 아래 일·가정 양립을 위한 가족정책 패러다임의 전환을 시작하였다. 독일에서 저출생 문제가 국가문제로 부상하자 정부뿐 아니라 민간 기업도 가족친화적 인사정책과 근로조건을 제공함으로써 출산율 향상에 기여해야 한다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민간 기업은 인력 확보와 이직 예방을 목적으로 법적 의무를 넘어 자발적으로 가정친화적 근로환경을 개선해나가고 있다. 독일의 출산율은 2023년 현재 유럽 평균 수준으로 상승하고 있어 정부의 일·가정 양립정책과 민간 기업의 참여가 출산율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한국의 일·가정 양립 정책 개선 방안으로 아버지의 육아 동참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전환, 남성 육아휴직의 의무화, 출산 후 여성의 고용 보장, 돌봄시설 확충 그리고 기업의 가족친화정책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M'의 재앙: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본 일과 삶의 균형과 정책 방향 (Curse of 'M': Work-Life Balance and Essential Development of Policies in Social and Cultural Aspects)

  • 김경희;유승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16-431
    • /
    • 2016
  • 웰빙(well-being)은 이제 전 세계적으로 국가의 중요 정책이 되고 있다. 대표적 국제기구들 중 하나인 OECD는 GDP가 더 이상 국민들의 행복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그 대체지수로서 더 나은 삶 지표(Better Life Index)를 고안하여 세계 각국에 권고하고 있다. 그 지표들 중 하나인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은 부양가족을 지닌 근로자들의 행복을 위한 매우 중요한 지표들로 간주하여 11개의 지표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일과 삶의 균형 지표는 다른 지표과 비교했을 때 공동체 지표와 함께 최하위권에 머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의 일과 삶의 균형에서 당면한 문제와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들을 탐구하고자 한다. 연구 과제는 첫째, 일과 삶의 균형의 개념은 무엇인가, 둘째, 한국 근로자들이 처해있는 한국사회 고유의 특성과 일과 삶 균형에 관련된 정책은 어떠한가, 셋째, 기존의 관련 정책을 한국 사회의 특성에 맞춰 어떻게 변화 또는 발전시켜야 하는가이다.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정부 차원에서의 문화적 접근이 부족했다. 즉 적극적 캠페인을 통해 전통적 성 역할에 대한 인식을 전환시키려는 실질적인 노력이 없었다. 회사 차원에서는 권위적인 조직 문화를 역이용하여 근로자들의 일과 삶의 균형에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근로시간의 준수, 출산 및 육아휴직의 사용을 회사차원에서 적극적으로 권고하는 것을 제도화 할 필요가 있다. 일하는 여성이 직장인과 엄마 역할 사이에서 갈등하는 상황을 남편 및 가족의 이해와 지지로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가족지원책이 필요한 것이다.

일가족 양립 정도에 대한 인식: 집단간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Group Differences on Perceived Work-Family Balance)

  • 장수정;송다영;김은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2호
    • /
    • pp.349-370
    • /
    • 2009
  • 본 연구는 일가족 양립 인식정도에 대한 집단간 차이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서 배우자와 함께 살고 있으며 일을 하고 있는 25세 이상 성인 1,490명을 대상으로 일가족양립 정도 및 수준에 대한 인식을 연구하기 위해 확률표본에 기반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성별로는 남성보다 여성 특히, 여성홀벌이들이 가족-일 양립 문제가 상당히 심각하였다. 연령대별로는 20대, 자녀수별로는 자녀가 한명인 경우 가족-일 양립에 가장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고용형태별로는 정규직이, 기업규모별로는 300-900인 규모 사업장에서 일을 하고 있는 근로자들이 일-가족 양립의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는 교육 및 보건 등과 같은 서비스산업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가족-일 양립의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기혼취업여성의 일 -가족 균형감과 지원용이도/요구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ense of Balance in Work-Family and the Availability/Demand of Support of Married Working Women)

  • 정영금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2호
    • /
    • pp.107-118
    • /
    • 2006
  • Much research has focused on the conflict and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Yet few studies examine how women feel in balancing these two roles. In that regard, this study examines how married working women feel balanced between work and family as well as the levels of support availability/demand that exists. The level of sense of balance regarding work-family is average. Sense of balance is related to age, income, work hours, size of workplace, numbers of family friendly policies, the family's attitude to woman's work, and the level of balancing strategies used. The demand for support is higher than the availability of support. Both factors are related to working hours and balancing strategies, etc.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근로자의 일-가족 조화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mily-Friendly Culture on Employees' Work-Family Balance and Qualities of Lives)

  • 유계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5호
    • /
    • pp.27-37
    • /
    • 2008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friendly culture in various organizations in the private sectors on employee self-reported work-family balance and qualities of lives. It also attempted to clarify whether employee perceived work-family culture would vary according to size and type of organization, gender, and dual career partnership. The data came from 365 married full-time workers employed in a wide variety of organizatio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Work-family culture was perceived more family-friendly in large-sized organizations and consumer industries. Female employees and workers in dual-career partnerships perceived the work-family culture of their organizations less family-friendly.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firm size, supervisory support for employees' family activities, and the perception of negative career development opportunities as a consequence of utilizing family-friendly policies significantly predicted employees' work-family balance and qualities of lives, while organizational time demands having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m. The implications of study results were discussed.

일-가정 균형을 위한 보육 및 학교 영역에서의 요구도와 정책: 맞벌이 가정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Need and Related Policy for Work-Family Balance in the Area of Educare and School: Focused on the Dual Worker Families)

  • 조영희;송혜림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3권2호
    • /
    • pp.65-83
    • /
    • 2009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needs for the balance of work-family and to provide the related policies for dual worker family. We focused on the life area of educare and school. Data were collected from 197 working mothers who have 1 or more children under age 10. The findings were: 1) after-school programs, holidays on every alternate Saturday, arbitrary no school days were not appropriate to the working parents' everyday life patterns, so the paradigm and practical conditions should be adapted to the needs of working parents. 2) the most working parents depended on the kindergarden, but the parents'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service, time duration, the human resource of educare teacher was not sufficient, so these issues should be discussed more profoundly.

  • PDF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정 균형 실태 : 초등학교 저학년생 자녀를 둔 가정을 중심으로 (A study for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of married working women : focused on the families with the child(ren) of lower grades)

  • 송혜림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8권3호
    • /
    • pp.41-59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of married working women. Data from 12 married working women who have child(ren) in age 7-9.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interviews was to examine their child-caring and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The results show that the child(ren)'s age, the quality of after school program, the time to go to work and out of work, the type of work and labor flexibility were the important factors which affect the everyday child-caring. The respondents were unsatisfied with their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especially they felt that their leisure time is insufficient, but they seemed to accept this unbalance to some extent because they recognize the child-caring is more important than their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in this life cycle. In conclusion the public support for the child-caring of dual-earner families with the child(ren) in lower grades has to be more extended because the support system and services for this life cycle are weak and insufficient compared with the support system for the child(ren) of the preschool ages. The currently public services for child-caring are still far from their needs to achieve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So the whole child care support policies and systems are to be continued with more balanced perspectives and practical programs.

울산지역 근로자의 '쉼' 있는 삶을 위한 가족친화인증제도 활성화 방안 모색에 관한 연구 -가족친화인증기업(관) 인터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Family-Friendly Certification System for the 'Resting' Life of employers in Ulsan - Based on the interview of family-friendly certified firms -)

  • 권안나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3권1호
    • /
    • pp.83-97
    • /
    • 2019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lements to enhance and activate the quality of life by establishment of family-friendly environment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in family-friendly certified firms in UIsan. As a result, its activation is possible when each party of companies- employees-government tries to change, and its main elements and outcomes are as follows. First, 'management philosophy of the company representative' showed to directly affect development of flat organization culture and system activation, with respect to the companies. Second for employees, 'value changes to prioritize work-life balance' demonstrated to affect the utilizations and establishment of family-friendly systems within the organization as the critical element. Lastly, it is considered for government to be able to activate this if 'delivery system with professionality' is secured to help 'legalization of policy,' company productivity, and work-life balance of employees. On the other hand, further studies on the elements to be able to activate family-friendly certifications and analysis on its justification are required by expanding the number of companied in Uls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