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ord-Sense-Disambiguation

Search Result 104,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Abbreviation Disambiguation using Topic Modeling (토픽모델링을 이용한 약어 중의성 해소)

  • Woon-Kyo Lee;Ja-Hee Kim;Junki Ya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32 no.1
    • /
    • pp.35-44
    • /
    • 2023
  • In recent, there are many research cases that analyze trends or research trends with text analysis. When collecting documents by searching for keywords in abbreviations for data analysis, it is necessary to disambiguate abbreviations. In many studies, documents are classified by hand-work reading the data one by one to find the data necessary for the study. Most of the studies to disambiguate abbreviations are studies that clarify the meaning of words and use supervised learning. The previous method to disambiguate abbreviation is not suitable for classification studies of documents looking for research data from abbreviation search documents, and related studies are also insufficient.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semi-automatically classifying documents collected by abbreviations by going topic modeling with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an unsupervised learning method, in the data pre-processing step. To verify the proposed method, papers were collected from academic DB with the abbreviation 'MSA'. The proposed method found 316 papers related to Micro Services Architecture in 1,401 papers. The document classification accuracy of the proposed method was measured at 92.36%.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reduce the researcher's time and cost due to hand work.

A Development of the Automatic Predicate-Argument Analyzer for Construction of Semantically Tagged Korean Corpus (한국어 의미 표지 부착 말뭉치 구축을 위한 자동 술어-논항 분석기 개발)

  • Cho, Jung-Hyun;Jung, Hyun-Ki;Kim, Yu-Seop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9B no.1
    • /
    • pp.43-52
    • /
    • 2012
  • Semantic role labeling is the research area analyzing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in a sentence and it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emantic analysis research area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uch as word sense disambiguation. However, due to the lack of the relative linguistic resources, Korean semantic role labeling research has not been sufficiently developed. We, in this paper, propose an automatic predicate-argument analyzer to begin constructing the Korean PropBank which has been widely utilized in the semantic role labeling. The analyzer has mainly two components: the semantic lexical dictionary and the automatic predicate-argument extractor. The dictionary has the case frame information of verbs and the extractor is a module to decide the semantic class of the argument for a specific predicate existing in the syntactically annotated corpus. The analyzer developed in this research will help the construction of Korean PropBank and will finally play a big role in Korean semantic role labeling.

A Method of Word Sense Disambiguation for Korean Complex Noun Phrase Using Verb-Phrase Pattern and Predicative Noun (기계 번역 의미 대역 패턴을 이용한 한국어 복합 명사 의미 결정 방법)

  • Yang, Seong-Il;Kim, Young-Kil;Park, Sang-Kyu;Ra, Dong-Yu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3.10d
    • /
    • pp.246-251
    • /
    • 2003
  • 한국어의 언어적 특성에 의해 빈번하게 등장하는 명사와 기능어의 나열은 기능어나 연결 구문의 잦은 생략현상에 의해 복합 명사의 출현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한국어 분석에서 복합 명사의 처리 방법은 매우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었으며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복합 명사의 의미 결정은 복합 명사구 내 단위 명사간의 의미적인 수식 관계를 고려하여 머리어의 선택과 의미를 함께 결정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 검색의 색인어 추출 방법에서 사용되는 복합 명사구 내의 서술성 명사 처리를 이용하여 복합 명사의 의미 결정을 인접 명사의 의미 공기 정보가 아닌 구문관계에 따른 의미 공기 정보를 사용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복합 명사구 내에서 구문적인 관계는 명사구 내에 서술성 명사가 등장하는 경우 보-술 관계에 의한 격 결정 문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구문 구조는 명사 의미를 결정할 수 있는 추가적인 정보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때 구문 구조 파악을 위해 구축된 의미 제약 조건을 활용하도록 한다. 구조 분석에서 사용되는 격틀 정보는 동사와 공기하는 명사의 구문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의미 정보를 제약조건으로 하여 구축된다. 이러한 의미 격틀 정보는 단문 내 명사들의 격 결정과 격을 채우는 명사 의미를 결정할 수 있는 정보로 활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개발중인 한영 기계 번역 시스템 Tellus-KE의 단문 단위 대역어 선정을 위해 구축된 의미 대역패턴인 동사구 패턴을 사용한다. 동사구 패턴에 기술된 한국어의 단문 단위 의미 격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격결정을 위해 사용되는 의미 제약 조건이 복합 명사의 중심어 선택과 의미 결정에 재활용 될 수 있으며, 병렬말뭉치에 의해 반자동으로 구축되는 의미 대역 패턴을 사용하여 데이터 구축의 어려움을 개선하고자 한다. 및 산출 과정에 즉각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정보들은 현재 구축중인 세종 전자사전에도 직접 반영되고 있다.teness)은 언화행위가 성공적이라는 것이다.[J. Searle] (7) 수로 쓰인 것(상수)(象數)과 시로 쓰인 것(의리)(義理)이 하나인 것은 그 나타난 것과 나타나지 않은 것들 사이에 어떠한 들도 없음을 말한다. [(성중영)(成中英)] (8) 공통의 규범의 공통성 속에 규범적인 측면이 벌써 있다. 공통성에서 개인적이 아닌 공적인 규범으로의 전이는 규범, 가치, 규칙, 과정, 제도로의 전이라고 본다. [C. Morrison] (9) 우리의 언어사용에 신비적인 요소를 부인할 수가 없다. 넓은 의미의 발화의미(utterance meaning) 속에 신비적인 요소나 애정표시도 수용된다. 의미분석은 지금 한글을 연구하고, 그 결과에 의존하여서 우리의 실제의 생활에 사용하는 $\ulcorner$한국어사전$\lrcorner$ 등을 만드는 과정에서, 어떤 의미에서 실험되었다고 말할 수가 있는 언어과학의 연구의 결과에 의존하여서 수행되는 철학적인 작업이다. 여기에서는 하나의 철학적인 연구의 시작으로 받아들여지는 이 의미분석의 문제를 반성하여 본다.반인과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결과가 옳다면 한국의 심성 어휘집은 어절 문맥에 따라서 어간이나 어근 또는 활용형 그 자체로 이루어져 있을 것이다.으며, 레드 클로버 + 혼파 초지가 건물수량과 사료가치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ell}$ 이었으며 , yeast extract 첨가(添加)하여 배양시(培養時)는 yeast extract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도 증가(增加)하였다. 7. CHS-13 균주(菌株)의 RNA 함량(

  • PDF

A Semi-Automatic Semantic Mark Tagging System for Building Dialogue Corpus (대화 말뭉치 구축을 위한 반자동 의미표지 태깅 시스템)

  • Park, Junhyeok;Lee, Songwook;Lim, Yoonseob;Choi, Jongsuk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8 no.5
    • /
    • pp.213-222
    • /
    • 2019
  • Determining the meaning of a keyword in a speech dialogue system is an important technology for the future implementation of an intelligent speech dialogue interface. After extracting keywords to grasp intention from user's utterance, the intention of utterance is determined by using the semantic mark of keyword. One keyword can have several semantic marks, and we regard the task of attaching the correct semantic mark to the user's intentions on these keyword as a problem of word sense disambiguation. In this study, about 23% of all keywords in the corpus is manually tagged to build a semantic mark dictionary, a synonym dictionary, and a context vector dictionary, and then the remaining 77% of all keywords is automatically tagged. The semantic mark of a keyword is determined by calculating the context vector similarity from the context vector dictionary. For an unregistered keyword, the semantic mark of the most similar keyword is attached using a synonym dictionary. We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with manually constructed training set and semi-automatically expanded training set by selecting 3 high-frequency keywords and 3 low-frequency keywords in the corpus. In experiments, we obtained accuracy of 54.4% with manually constructed training set and 50.0% with semi-automatically expanded training s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