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 drying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22초

배할 및 인사이징 전처리가 횡단면 크기 150 mm 이하 삼나무와 낙엽송 수심재의 고온건조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erfing and Incising Pretreatments on High-Temperature Drying Characteristics of Cedar and Larch Boxed-Heart Timbers with Less than 150 mm in Cross Section Size)

  • LEE, Chang-J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3호
    • /
    • pp.345-363
    • /
    • 2020
  • 본 연구는 배할 및 인사이징 전처리가 횡단면 크기 150 mm 이하 삼나무와 낙엽송 수심재의 고온건조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 결과, 전처리는 표면할렬과 수축률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배할처리는 표면할렬 발생을 줄이기 위한 전처리로서 적합하였으나, 인사이징은 재면의 자상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표면할렬로 전환되는 현상을 야기하기 때문에 전처리로서 적합하지 않았다. 수축률은 전처리 조건에 따라 건조 후 최종함수율이 인사이징, 배할, 배할-인사이징 순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냄으로써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뒤틀림은 미성숙재의 수축이방성보다 목리각도가 더 크게 영향을 주었으며, 전처리의 영향은 없었다.

주요 국산 침엽수 통원주 부재의 송풍오-븐건조 특성 - 제1보: 국산 낙엽송 통원주 부재를 중심으로 - (Air Circulating Oven-drying Characteristics of Hollowed Round-post for Korean Main Conifer Species - Part 1: For Japanese larch hollowed round-post -)

  • 이남호;;신익현;이창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1호
    • /
    • pp.44-52
    • /
    • 2012
  • 낙엽송 원통형 원주목에 대하여 수증기댐처리와 코팅처리를 실시하여 오-븐건조 하면서 건조속도, 재내의 수증기압 및 재온분포 및 건조할렬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재에서 난방된 실내의 이용함수율 수준인 함수율 약 8%까지 건조하는데 72~144시간 소요되었다. 무처리재와 코팅처리재는 전 건조기간에 걸쳐 통공층의 온도가 통피층의 온도보다 항상 높은 분포모형을 보인 반면, 수증기댐처리재의 경우 통피층의 온도가 통공층보다 높거나 같은 분포를 보였다. 수증기댐처리재와 코팅처리재의 경우는 거의 전 건조기간에 걸쳐 통피층의 수증기압이 통공층 보다 큰 분포를 보였다. 총체적으로 할렬발생 정도는 미약하였으며 할렬개수는 코팅처리재, 수증기댐처리재, 무처리재의 순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무 원목의 천연건조 중 함수율 변화: II. 소나무 원목의 천연건조 중 함수율 변화 예측 (Moisture Content Change of Korean Red Pine Logs During Air Drying: II. Prediction of Moisture Content Change of Korean Red Pine Logs under Different Air Drying Conditions)

  • HAN, Yeonjung;CHANG, Yoon-Seong;EOM, Chang-Deuk;LEE, Sang-M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6호
    • /
    • pp.732-750
    • /
    • 2019
  • 천연건조 중 목재의 함수율 변화 예측모형을 제시하기 위하여 15본의 소나무 원목에 대한 천연건조를 수행하였다. 초기함수율이 68.7%인 6본의 소나무 원목에 대하여 여름철에 천연건조를 시작한 후 약 880일이 경과한 후의 최종함수율은 17.4%이었다. 초기함수율이 35.8%인 9본의 소나무 원목에 대하여 겨울철에 천연건조를 시작한 후 약 760일이 경과한 후의 최종함수율은 16.0%이었다. 소나무 원목의 말구지름, 온도, 상대습도, 풍속을 독립변수로 결정하고, 천연건조 중 감소한 함수율을 종속변수로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한 결과, 결정계수 0.925의 회귀모형을 얻을 수 있었다. 소나무 원목의 특성인 초기함수율과 말구지름이 기상조건인 온도, 상대습도, 풍속에 비하여 천연건조 중 함수율 감소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천연건조 중 내부함수율의 분포 및 함수율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2차원 물질전달 해석을 수행하였다. 건조일수를 서로 다르게 적용하고, 수분확산계수 및 표면방사계수를 결정하는 기상조건을 다르게 적용한 2가지의 예측모형을 제시하였다. 2가지 적용 방법의 오차는 0.1 - 0.8%의 범위였으며, 측정값과의 차이는 2.2 - 3.6%의 범위였다. 다양한 초기함수율과 말구지름의 소나무 원목에 대한 천연건조 중 내부함수율을 측정하고, 각각의 기상조건에 대한 목재 내 수분이동계수를 산출하면 예측모형의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목재건조(木材乾燥)의 자동화(自動化)에 관한 연구(硏究)(I) -연속온도상승(連續溫度上昇)스케쥴을 이용한 목재건조장치(木材乾燥裝置) 자동화(自動化)- (Automation of Lumber Drying System(I) -Continuously Rising Temperature Drying of Pinus densiflora-)

  • 이형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2권1호
    • /
    • pp.12-19
    • /
    • 1994
  • An electrically heated experimental lumber dry kiln was retrofitted with a computer-based control system to control kiln conditions more precisely and monitor and record several kiln variables. Flat-sawn 2.5cm-thick Pinus densiflora boards were dried in constant temperature process(65$^{\circ}C$ & 50~60 %RH) and continuously rising temperature process, respectively. The average drying rate in continuously rising temperature process was 5.7 %/hr, which was above 3 times faster than that in constant temperature process. But, the average rate of case-hardening and moisture difference between shells and cores of boards dried in continuously rising temperature process were 82 % and 5.5 %, respectively, which were much larger than those of boards dried in constant temperature process.

  • PDF

이태리포플러 로타리 단판(單板)의 열판건조(熱板乾燥)와 천연건조(天然乾燥)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Press-drying and Air-drying of Italian Poplar Rotary Veneer)

  • 정희석;심종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167-167
    • /
    • 1982
  • Italian poplar (Populus euramericana) rotary veneers were press-dried and air-dried to study drying curves, thickness shrinkage and width shrinkage of them under several drying conditions such as drying temperatures and veneer thicknes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press-drying, drying times from green condition to about final moisture content of 10 percent with veneer thickness of 0.6mm by platen temperatures required about 10 minutes at platen temperature of $100^{\circ}C$, 3 minutes at $110^{\circ}C$, 1 minute at $120^{\circ}C$ and $130^{\circ}C$, respectively. 2. In press, drying, drying times from green condition to about final moisture content of 10 percent by veneer thicknesses required 2 minutes at veneer thickness of 0.6mm, 4 minutes at 1.2mm,6 minutes at 1.8mm and 9 minutes at 3.6mm, respectively. 3. In air-drying, drying times from green condition to air-dried moisture content by veneer thicknesses required 15 hours at veneer thickness of 0.6mm, 18 hours at 1.2mm and 23 hours at 2.4mm, respectively. 4. Thickness shrinkage of press-drying was remarkably greater than that of air-drying, but width shrinkage of press-drying was rather smaller. 5. Difference of thickness shrinkage among platen temperatures was insignificant, and width shrinkage at platen temperature of $130^{\circ}C$ was the least.

  • PDF

산불 피해 소나무재의 역학적 특성 및 급속오븐 건조특성 (Mechanical and Oven-drying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Wood Damaged by Forest Fire)

  • 황원중;권구중;박종수;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4호
    • /
    • pp.57-6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산불 피해 소나무재의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역학적 및 건조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불피해재는 종압축 특성, 전단강도, 충격휨흡수에너지 등에서 건전재와 거의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산불피해재 변재부의 휨특성은 건전재보다 양호하게 나타났다. 건전재와 산불피해재 변재부의 생재함수율은 산불피해재가 다소 낮았으나, 건조속도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건조시 발생되는 초기할렬은 건전재가 산불피해재보다 발생율이 높았고, 내부할렬은 건전재와 산불피해재에서 발생되지 않았다. 따라서 산불에 의해 피해를 입은 목재의 대부분은 수피부를 제거하여 이용할 경우 건전재와 거의 동일한 용도로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집성재 라미나용 낙엽송 재내 잔류 건조응력 변화 분석 (Analysis of residual drying stress in Larix Kaempferi wood used as glulam laminar)

  • 한연중;장윤성;박용건;정기영;홍정표;이전제;여환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6호
    • /
    • pp.535-543
    • /
    • 2013
  • 본 연구에서 국산 낙엽송재의 공학목재로의 이용가능성, 특히 교호집성재 라미나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열기건조 중과 건조 후 판재 내 잔류응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이쿼라이징 처리에 의한 함수율 동일화 효과가 증명되었고, 컨디셔닝 처리에 의한 잔류응력의 감소효과가 정량화되었다. 건조 중 목재 내 잔류응력 분석을 위하여 프롱법과 슬라이스법을 실시하였다. 프롱 제작 후 표면경화율을 측정하였고, 슬라이스의 절단 후 탄성변형량을 기준으로 표면으로부터 약 10 mm 깊이까지의 건조응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T10-C4와 T12-D5 열기건조 스케줄 적용 시 열기건조 중 판재 표면의 인장응력과 압축응력은 모두 2.2 MPa을 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낙엽송의 횡단방향 인장강도와 압축강도가 평균 2.65 MPa, 4.60 MPa인 점을 고려하면, 더욱 강한 건조스케줄 적용이 추천된다. 건조 후처리에 의해 폭굽음과 비틀림을 약 40% 줄일 수 있었다.

산업용 규모의 압체고주파진공건조시스템 성능 평가 (Performance of a Commercial Scale Radio-frequency/vacuum Dryer Combined with a Mechanical Compressive Load)

  • 이남호;;황의도;장세환;신익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3호
    • /
    • pp.192-19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수용재적 약 $3m^3$ 크기의 압체고주파진공건조시스템을 이용하여 Azobe (Lophira alata)와 국산 소나무(Pinus densiflora) 제재목을 건조하면서 건조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압체고주파진공건조기의 진공도는 80~105 mbar를 유지시켰고, 건조 중 재온은 건조초기 $40^{\circ}C$에서 시작하여 건조말기 $60^{\circ}C$까지 상승시켰다. 全건조기간에 걸쳐 기전전극판측의 재온은 제어온도보다 항상 높게 유지되는 반면, 접지전극판측의 재온은 항상 낮게 유지되었다. 건조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접지전극판측의 재온은 제어온도보다 더욱 낮고 기전전극판측의 재온은 제어온도보다 더욱 높게 나타났다. Azobe의 경우 입력포트측의 평균최종함수율보다 입력포트반대측의 평균최종함수율이 모든 잔적층에서 미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잔적층의 수직방향으로의 최종함수율은 기전전극판측에서 접지전극판측을 향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기전전극판과 인접한 잔적층의 경우 재목당 평균할렬의 발생길이가 매우 경미하였으나, 접지전극판측을 향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투입된 에너지의 효율면에 있어 선진국의 상용설비와 유사한 수준을 보여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Air Circulating Oven-drying Characteristics of Hollowed Round-post for Korean Main Conifer Species - Part 2: For Korean red pine hollowed round-post -

  • Lee, Nam-Ho;Zhao, Xue-Feng;Shin, Ik-Hyun;Lee, Chang-J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2호
    • /
    • pp.61-70
    • /
    • 2012
  • In this study the effect of heartwood-coating (HCO), vapor-dam (VD), bark-remaing (BR) and bark-remaining- coating (BRC) treatments were evaluated during air circulating oven-drying of hollowed round-post of Korean red pine. Hollowed round-post could be dried from the green condition to approximately 6% MC within 84 to 156 hours for the UC, HCO and VD specimens and it took 72 to 240 hours to about 8% MC, which is recommended as the indoor in-use MC. The temperatures in the hole of the Control (UC) and HCO specimens constantly showed a higher-leveled distribution pattern than those inside wood. The vapor pressure in the hole of the UC, HCO and BR specimens was higher than that inside wood and showed difference as highest value of about 20 mbar. The surface checks of all specimens were mild and were observed in increasing order of BRC, BR, UC, VD and HCO specimens.

한지(韓紙) 엔드테이핑처리(處理)에 의한 진공건조(眞空乾燥)에서 원판(圓板)의 목공예적(木工藝的) 가치(價値) 증진 (Improvement of the Value for Technical Wood Arts of Disks by End-Taping with Korean Traditional Paper During Vacuum Drying)

  • 정희석;이남호;심재현;여환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1권2호
    • /
    • pp.39-48
    • /
    • 1993
  • End-matched disks of 7.7cm thickness were part-time dried in vacuum press dryer to investigate the drying characteristics by using drying schedules and end treatments. The ginkgo disks could be dried faster with severer end checks and ring failures by C schedule than by S schedu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rying rates and amounts of end checks, ring failures and V-shaped checks occurred between ginkgo disks end-taped with Korean traditional paper (KTP) and those untreated. The drying time of walnut disks was slightly reduced by end-taping with KTP. And the length of end checks and V-shaped checks and the frequency of defected disk were decreased more effectively than those untreated. The tangential strains and tangential drying stresses near bark sides of ginkgo and walnut disk untreated were developed in the early stage of drying and incresed slightly curvi-linearly above fiber saturation point (fsp) and more curvi-linearly below fsp. The influence of end-taping with KTP on the drying rate for impermeable walnut disk was stronger than that for permeable ginkgo dis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