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nju Stream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초

원주천 수질개선 방안 및 개선효과 평가 (An Analysis of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Measures and Evaluation of Wonju Stream)

  • 금동혁;신민환;유나영;이서로;김동진;성윤수;이상수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3권1호
    • /
    • pp.61-73
    • /
    • 2021
  • Recently, the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in Wonju stream has been reported due to the increase in diverse pollution sources along with community development and urbanization. Various types of attempts with a huge budget were made for better water quality so far, but its effectiveness is still doubted. In order to establish site-oriented measure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the topographic and hydrologic factors were evaluated based on site inspection and survey. As the major streams merged into the Wonju stream, the Hwa and Heungyang streams were found to have higher pollution loads and contributions compared to other streams due to the scattered livestock farms and industries, and vulnerable land use. Notably, the discharge water from the Wonju Public Sewage Treatment Plant had the highest level of pollution load, impacting on the water quality of Wonju Stream. According to the SWAT model as water quality measures, the improvement effect of water quality in this treatment plant can be reached to the reductions in BOD 11.06%, T-N 23.56%, T-P 10.60% when the proper managements applied, whereas th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would be 3.89%, 1.23%, and 3.32% for BOD, T-N, T-P, respectively, for the industries. The reduction of the livestock industry was generally very high as a pollution source, but it was not much higher at the end of Wonju Stream than other measures. These results recommended that the water q uality improvement measures should be designated for each upper-middle-lower section in Wonju stream.

原州川의 水質汚染에 관한 調査硏究 (A Study on the Water Pollution of the Wonju Stream)

  • Park, Byoung Youn;Ra, Kyu Hwan;Ok, Chi Sang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8
    • /
    • 1985
  • Urban sewage and stream water in Wonju city were examin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average water quality of Wonju stream was flow 52.8m$^3$/min, BOD 21.14ppm, COD 7.06 ppm, SS 212.4ppm, Cl$^-$ 23.14ppm, O-Phosphate 1.08ppm, NH$_3$-N 1.08ppm, NO$_2$-N 2.63ppm and pH 7.48 respectively. The average water quality of urban sewage was flow 2.76m$^3$/min, BOD 112.7ppm, COD 33.6ppm, SS 374.4ppm, Cl$^-$ 46.2ppm, O-Phosphate 1.56ppm, NH$_3$-N 5.96ppm and NO$_2$-N 3.28 ppm respectively. The quality of stream water showed was 4th grade area according to environmental water quality standard. The survey showed k$_1$ 0.11day$^{-1}$, k$_2$ 0.29day$^{-1}$ and the self- purification coefficient 2.5 in average.. In calculating oxygen variation in water by Streeter-Phelp's equation the zero station exhibited in down stream.

  • PDF

원주천의 하천형태학적 및 수리학적 특성연구 (A Study on Stream Morphologic and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Wonju Stream)

  • 최홍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0권1호
    • /
    • pp.75-82
    • /
    • 1997
  • 소하천 수계인 원주천의 지형학적 특성은 Hortoh-Strahler의 하천 차수법칙에 따라 일정한 규칙을 갖고 발달하였다. 이미 인접 유역에의 적용을 통해 검정과 검증이 이루어진 강우-유출모형인 NWS-PC 모형에 의해 모의발생한 일유량과 Manningtlr의 적용결과로 원주교 지점에서의 수리특성을 분석하였다. 산정된 원주천의 형태학적 특성계수에 의한 단위유량도의 첨두유량 및 이의 발생시간을 분석하였다. 비록 이같은 연구가 초기단계이기는 하나, 이 결과는 원주천을 포함한 미계측 유역의 유출해석에 중요한 수단인 지형학적 순간단위 유량도 해석의 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아울러 지속적인 현장관측에 의한 수위-유량곡선의 보완과 수문곡선의 작성을 통해 원주천 유역의 수문·수리학적 특성의 규명이 이루어져야 한다.

  • PDF

도시 하천(원주천) 유입이 섬강 하류 부착규조 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 Inflowing Urban Stream (Wonju stream) on Epilithic Diatom Assemblages in the Lower Seom River)

  • 윤성애;김난영;김백호;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3권2호
    • /
    • pp.232-241
    • /
    • 2010
  • 섬강 수계로 유입되는 도시하천(원주천)의 유입이 부착조류 군집에 미치는 생태학적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부착조류 및 수질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섬강 본류와 원주천을 포함한 지류 등 총 14개 지점을 선정하여 2007년 10월에서 2008년 9월에까지 계절별로 4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수온과 용존산소를 제외한 대부분의 수질항목은 계절 변이가 크지 않았고, 섬강 상류에서 가장 낮은 농도를 보였으며, 섬강 중류(원주천 유입부분)에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고, 원주천 합류 이후 하류로 갈수록 점차 농도가 감소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가장 높은 빈도와 생물량을 보인 종은 Achnanthes convergens이었고, 원주천를 비롯하여 수질오염이 심한 지점에서는 Navicula goeppertiana, Navicula subminuscula, Nitzschia palea 등이 높은 밀도를 보였다. 각 조사지점의 TDI(trophic diatom index)에 의하면, 섬강 수계는 크게 3 그룹 - 섬강 상류와 지류하천(A 또는 B등급), 원주천(D등급), 합류후 섬강하류의 본류(C등급)로 구분되었으며, 대부분의 수질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생물 및 수질요인을 근거로 하는 유사도 분석결과는 TDI 지수의 분포와 유사하였다. 따라서, 인구밀집과 공업단지를 관통하는 원주천은 섬강 수계에 서식하는 부착규조 및 수질에 큰 영향을 미치며, 원주천 합류 이후 하류로 갈수록 오염정도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천저질중의 유기물질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Organic Matters in River Sediments)

  • 나규환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권1호
    • /
    • pp.55-60
    • /
    • 1986
  • The writer measured methemoglobin formation with solvent (n-hexane, ethylacetate and methanol) organic extracts from the sediments of the Wonju stream run through Wonju city on Octover 2nd, 1985. Hemoglobin was converted to methemoglobin with the n-hexane extract obtained from the sediment of the St. C and St. D was polluted industrial wastewater, but not with that from the St. B was polluted with the urban wastewater. The formation of methemoglobin was remarkable with the all solvent extracts from the sediment of the uper stream of the Wonju stream. Doses of the solvent extracts for 20% methemoglobin formation in the researched Wonju streams were as follows; 0.095~0.28 mg/m.$\ell$ in n-hexane extract. 0.85-1.3 mg/ m$\ell$ in methanol extract and 1.95~2.80 mg/m$\ell$ in ethylacetate extract.

  • PDF

하천수질오염이 농업용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Pollution on the Irrigation Water)

  • 나규환;이장훈;김치년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6권3_4호
    • /
    • pp.155-161
    • /
    • 1991
  • The water quality in Wonju stream, Seom river in Kangwon province and Bokha, Shindun stream in Kyeonggi province was investigated between the season of irrigation on July, 1990 and of non-irrigation on September in 1989. The results of water quality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water quality of the Wonju stream and the Seom river, the concentration of COD, T-N, SS and Cu, and for the Bokha, Shindun stream, the concentration of T-N, SS and Cu were exceeded standard levels of quality guideline of agricultural water use in the season of irrigation. However, in the water quality of Wonju and Bokha stream, the concentration of T-N , SS and Cu, and in the Seom river, the concentration of T-N, SS, Cu and Zn were exceeded standard levels of agricultural water quality in the season of non-irrigation. And the average water quality of the 4 streams were not suitable for agricultural water use. The comparison of the annual average water quality of the 4 streams for pH, DO, T-N and SS were in statistic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p values less than 0.01. When the average water quality between the season of irrigation and non-irrigation in each stream was compared, DO and COD in the Wonju stream, COD in the Seom river, pH, DO, T-N, SS and Cu in the Shindun stream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p<0.01. The average in the sediment were; COD, 5.65∼26.53 ppm; Cu, 0.26∼0.49 ppm and Zn 0.95∼2.97 ppm. The concentration of three contaminants were markedly higher than the water quality. And the concentration of COD, Zn in the sedim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p<0.01, and Cu showed a considerab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p<0.05.

  • PDF

원주천의 어류군집을 이용한 생태적 건강성 평가 연구 (Study on the Evaluation of Ecological Health by using Fish Communities in the Wonju Stream, Korea)

  • 박현경;최준길;원경호;이황구
    • 환경생물
    • /
    • 제35권4호
    • /
    • pp.684-693
    • /
    • 2017
  • 본 연구는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한 원주천의 현재의 어류상을 파악하고, 과거와 현재의 변화를 통하여 하천 건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현지조사는 2015년 5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총 4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총 9과 27종 5,201개체가 출현하였으며, 피라미(Zacco platypus)가 우점하고, 돌고기(Pungtungia herzi)가 아우점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유종은 총 8종으로 고유종 빈도는 16.54%로 분석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평균 우점도지수는 0.72 (${\pm}0.10$), 다양도지수는 1.37 (${\pm}0.32$), 균등도지수 0.61 (${\pm}0.13$), 풍부도지수 1.70 (${\pm}0.23$)으로 분석되었다. 내성도 길드 분석 결과 중간종의 개체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섭식도 길드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잡식종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분포하였다. 물리적 서식지 평가지수(QHEI) 분석결과 평균 121.2(${\pm}23.4$)로 양호한 서식처 환경을 나타냈으며, 어류평가지수(FAI)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A~B등급으로 하천건강성이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FAI와 다양한 항목 간의 상관성 분석결과 QHEI, 잡식종, 충식종, 중간종, 민감종, 우점도, 다양도, 균등도, 풍부도는 통계적으로 높은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서곤충을 이용한 원주천 수서생태계 건강도 평가 (Health Assessment of Aquatic Ecosystem for Wonju Stream Using the Composition of Aquatic Insects)

  • 최준길;신현선;오사무 미타무라;김숙정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44-550
    • /
    • 2008
  • 본 연구는 2004년 5월부터 2004년 11월까지 총 4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서곤충은 과별 생물지수(FBI)와 물리적 서식환경(PHA)을 이용하여 원주천의 건강도를 평가하였다. 원주천 9개 지점을 통해 출현한 수서곤충은 총 8목 37과 62속 92종이었다. 과별생물지수의 경우 지점 1, 2, 3에서 $4.55{\sim}4.82$로 가장 건강한 하천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물리적 서식환경과 과별생물지수 간의 상관관계는 지점 2가 각각 100, 4.82의 값으로 가장 좋은 서식환경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지점 7과 9는 45, 6.17과 6.97로 가장 낮은 서식환경을 나타내어 물리적 서식환경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물리적 서식환경과 과별생물지수는 서로 역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하천에서 보 형태에 따른 어류군집 구조 및 생태유량 평가 (Assessment of Ecological Flowrate and Fish Community to Weir Type in Stream)

  • 허준욱;장창래;김규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339-347
    • /
    • 2017
  • 본 연구는 원주천과 보성강에서 보의 형태에 따른 어류 군집 구조를 파악하고, 보를 중심으로 상하류에 PHABSIM을 이용한 최적 생태유량을 산정하여 물리적 서식지 평가를 실시하였다. 2014년 8월부터 2015년 9월까지 원주천의 콘크리트 보(반곡보) 6회, 보성강의 돌보는 5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어류는 투망과 족대를 이용하여 채집하였으며, 어류를 채집한 지점에서 유속, 수심, 하상재료를 측정 및 관찰하였다. 어류상을 토대로, 생물다양도(우점도, 균등도, 다양도, 풍부도)를 측정하였으며, PRIMER5를 통해 군집유사도를 산출하였고, PHABSIM을 이용하여 최적 유량을 산정하였다. 원주천에서는 7과 20종 2,104개체가 채집되었으며 피라미와 참갈겨니가 각각 39.7%, 15.8%로 우점 및 아우점하였다. 보성강에서는 6과 28종 1,638개체가 출현하였고, 피라미와 돌마자가 각각 22.0%, 17.2%로 우점 및 아우점하였다. 서식지적합도지수(Habitat Suitability Index, HSI)를 산정하기 위해 두 지점의 대표어종인 피라미를 선정하였다. 그 결과 원주천에서는 수심 0.2~0.6 m 유속 0.1~0.3 m/s로 측정되었고, 보성강에서는 수심 0.3~0.6 m, 유속 0~0.3 m/s로 나타났다. PHABSIM을 이용한 최적 생태유량 모의 결과 원주천의 보상류가 1.1 cms, 하류가 0.3 cms, 보성강은 상류가 0.4 cms, 하류가 2.2 cms로 나타나 각각의 하천에서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최적유량 적용시 가중가용면적(Weighted Usable Area, WUA)는 원주천이 상류 9.5%, 하류 26.6%, 보성강은 상류 34.8%, 하류 53.3%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