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men in labor

검색결과 700건 처리시간 0.024초

돌봄노동의 제도화와 여성들의 차이 (Institutionalization of Care Labor and Differences among Women)

  • 이숙진
    • 페미니즘연구
    • /
    • 제11권2호
    • /
    • pp.49-83
    • /
    • 2011
  • 이 글은 복지국가의 핵심적 키워드인 '돌봄'과 '돌봄노동'의 특성을 살펴보면서, 여성들 간의 차이에 주목하여 '돌봄노동'의 제도화 방식을 살펴보고자 했다. '돌봄'은 도덕성의 표현이자 구체적인 노동을 수반하는 행위로 정의할 수 있으나, 복지국가에서의 돌봄노동은 '의존자를 돌보는 활동'으로 제한하여 가사노동과 조작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정책적 제도화에 유용한 것으로 보았다. 돌봄노동은 동기적 측면에서 시장노동과 구분되지만 정서적이고 도덕적인 특성 그 자체는 표준화되거나 상품화되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돌봄 제공자에게 정서적 동기를 부과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음을 지적했다. 여성의 가족 내 무급 돌봄 책임을 탈가족화를 통해 제도화하는 복지국가는 돌봄 노동에 대한 급여지급과 사회적 서비스 확대를 통해 구체화되는데, 이러한 돌봄노동의 제도화방식은 여성임금노동자와 여성전업주부, 돌봄 제공자와 돌봄 이용자로서의 여성, 그리고 여성계층의 양극화와 같은 여성내부의 차이에 영향을 주게 된다. 현금급여 중심의 돌봄노동 제도화는 가족 내 성별분업을 강화할 수 있으며, 전근대적이며 불평등한 권력관계의 노동과정을 가져올 가능성이 높고, 돌봄 노동력 자체를 양극화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좋은 일자리로서의 돌봄 일자리 확대를 어렵게 하는 문제점 등이 있다. 여성주의 진영의 복지국가운동은 '돌봄노동'의 탈가족화를 서비스 확대로 제도화하고 이와 동시에 돌봄노동의 탈성별화를 위한 정책 목록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임신주령과 진통에 따른 임부 혈청 C-Reactive Protein의 동태 (C-Reactive Protein in Pregnancy and Labor)

  • 김종호;김병석;이재열;이영기;이태형;이승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298-305
    • /
    • 1993
  • 임신주령과 진통 및 분만의 진행정도에 따른 정상 임부의 혈청 CRP치의 동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1992년 3월 1일 부터 1993년 8월 31일 까지 18개월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에서 임신 20주에서 44주 사이의 건강한 임부 521명을 대상으로 혈청 CRP치를 측정하여 임신 주령과 진통의 유무, 양막의 파열여부 및 분만의 진행정도에 따라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혈청 CRP치 0.8mg/dl 이상과 2.0mg/dl 이상을 나타낸 임부의 빈도는 각각 12%(61/521)와 4%(22/521)이었다. 2. 임신주령 37주이하의 만삭전 임부군과 38주 이상의 만삭 임부군, 양막 파열 임부군과 비파열 임부군, 자궁경관 개대 3cm이하 임부군과 4cm 이상 임부군의 비교에서 혈청 CRP치 0.8mg/dl 이상과 2.0mg/dl 이상을 나타낸 임부의 빈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진통이 없는 임부군과 진통중인 임부군의 비교에서 혈청 CRP치 0.8mg/dl 이상을 나타낸 임부의 빈도는 각각 5.93%와 13.73%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으나 혈청 CRP치 2.0mg/dl 이상을 나타낸 임부의 빈도는 차이가 없었다. 4. 임신주령 37주 이하의 만삭전 임부군에서 혈청 CRP치 0.8mg/dl 이상을 나타낸 임부의 빈도는 진통중인 임부군이 23.64%로 진통이 없는 임부군의 4.69% 보다 현저히 높았으며(p<0.001), 혈청 CRP치 2.0mg/dl 이상을 나타낸 임부의 빈도도 진통중인 임부군과 진통이 없는 임부군이 각각 12.73%와 3.13%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p<0.05)가 있었다. 임신주령 38주 이상의 만삭 임부군에서 진통이 없는 임부군과 진통중인 임부군을 비교하여 혈청 CRP치 0.8mg/dl 이상과 2.0mg/dl 이상을 나타낸 임부의 빈도는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임부의 감염을 조기 예측하는데 있어 기왕에 조기진통 임부에서 임상적 감염의 지표로 이용되고 있는 혈청 CRP치 2.0mg/dl은 진통중인 만삭임부에서도 양막파열 여부와 분만의 진행정도와 무관하게 유용한 것으로 추정되며, 조기진통 임부의 처치시 혈청 CRP치가 0.8mg/bl 이상인 경우 임부의 불현성 감염을 의심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비취업 기혼 여성의 취업의사와 영향요인 분석 (The Possibility of Unemployed Married Women's Entering into the Labor Market)

  • 김혜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81-94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unemployed married women's economic activity by analysing their willingness to work and possible influencial factors on it. This study estimates th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dependent available by using Binomial Probit Model. sample are 592 two-parent househol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 percentage of unemployed married women's willingness to enter into the labor market is 25.2%. Among the variables which have affected their willingness are family variables(family size, the number of children and the existence of children under the age of 6), personal variables(the age, education level and the past working experience) and financial variables(non-wage income, Engel's coefficient, expenditure o leisure activities and the subject judgement of their financial status). It is hard to accept those women's low willingness as is since the most crucial statistically was especially the children of 6 or less among the family variables. That is to say, more favorable conditions of the labor market and inexpensive day-care centres available would certainly encourage married women to be more willing to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as employees.

  • PDF

여성어업인의 노동가치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on of Labor Value of Female Fishermen)

  • 김종천;이창수
    • 수산경영론집
    • /
    • 제54권2호
    • /
    • pp.1-14
    • /
    • 2023
  • The sustainability of fishing villages is threatened by manpower shortages due to population aging and poor settlement conditions. In the reality of poor fishing villages, the importance of women's labor is more emphasized than that of the past because female workers are key workers in fishing labor, processing and sales of marine products. However, policy support for female fishermen is not sufficient. The reason for this is that policy makers did not properly recognize the labor value of female fishermen. In fact, fishing villages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female workforce as a slogan, but there has been no attempt to estimate the labor value. There was not even a review of the methodology for estimating the value of labor that was attempted in similar fields. As a result, the policy importance of female fishermen was underestimated for there was no attempt to evaluate their value even though women had been continuously participating in the fishery from the past. Female fishermen's labor is under the dual labor structure of housework and fishing labor. Therefore, in this study, housework and fishing labor were estimated separately and the total labor value was calculated.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estimating the labor value of female fishermen were obtained through a survey.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labor value of female fishermen wa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present income method and the total replacement cost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otal labor value of female fishermen was about 4.4 trillion won, which is about half of the total fishery production of 9 trillion won in Korea.

기혼 직장여성의 출산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Married-Working Women's Childbirth Intention)

  • 장한나;이명석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1권4호
    • /
    • pp.425-438
    • /
    • 2013
  • Postponing childbirth is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and consequently serious social problem in Korea, among married-working women. It is relatively unknown which factors determine married-working women's childbirth inten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emographical factors, labor market factors and social support factors on married-working women's childbirth intention. Data from a national survey of married-working women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are used in this stud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that married-working women's childbirth intention could be predicted by 1) personal characteristic factors such as age (p <.000), education level (p<.029), parenthood (p<.000) monthly pay (p<.01); 2) husband support factors, such as satisfaction with division of household labor (p<.009), time with family (p<.049) influence of family life on work (p<.083); and 3) institutional support factors such as regular position (p<.015), regression analysis showed similar results. Personal characteristic factors and husband support factor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number of future children. Personal value factors such as traditional family support (p<.05) proved to be the best predictor of the number of future children. Institutional support factors, on the other hand,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number of future children. In a nutshell,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husband support proved to be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of married-working women's childbirth inten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family friendly policy and flexible labor market policy will impact married-working women's childbirth intention.

조기진통 임부의 피로, 우울과 불안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atigue, Depression and Anxiety on Quality of Life in Pregnant Women with Preterm Labor)

  • 강현아;노주희;강혜진;이수진;이황미;최선숙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54-263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s of fatigue, depression and anxiety on quality of life in pregnant women with preterm labor. Methods: With a survey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138 mothers who were admitted at a hospital in Seoul, between June 2014 and September 2015. Instruments used to collect the data for the study were: Fatigue Continuum Form, Depression anxiety stress scale (DASS-21) and maternal postpartum quality of life (MAPP-QOL). Results: The mean fatigue score was 68.30 with 50.7% of women being depressed and 79.7% of the 138 women being anxious. The mean quality of life was 18.92 with quality of life being associated with fatigue, depression and anxiety. Depression and fatigue explained 26% of the variance in quality of life. Conclusion: Depression and fatigue adversely affected women's quality of life. It is important to address appropriate management of depression and fatigue in order to improve quality of life in pregnant women with preterm labor.

분만 중 전신마사지가 초산부의 분만진통과 분만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ull Body Massage on Labor Pain and Delivery Stress Reaction for Primipara during Labor)

  • 이군자;장춘자;조현숙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24-234
    • /
    • 2003
  • Purpose: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a full body massage on labor pain and delivery stress reaction for primipara during labor. Method: This study employed a quasi- experimental method(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7 primipara hospitalized at the U OB & GYN hospital in Inchon from November 1. 2001 to July 31, 2002. 28 women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29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20 minutes full body massage for each of three delivery phases. The control group was given conventional delivery care. The levels of labor pain were measured by the Visual Analogue Scale and the expression scores of the labor pain and the levels of delivery stress reaction were measured by pulse rate, respiration rate, and blood pressure, and State-Anxiety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t-test, $X^2$- test, simple ANCOVA with SPSS program. Result: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ime and group(F=.370, p=.693), but significant time effects were found for subjective labor pain(F=3.840, p=.028).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ime and group(F=.112, p=.894), but significant group effects were found for objective labor pain(F=12.299, p=.001).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ime and group for PR(F=.172, p=.843), RR(F=.626, p=.539), SBP(F=.089, p=.915), DBP(F=.748, p=.479), but significant group effects were found for SBP(F=7.547, p=.008). The level of status anxie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F=11.787, p=.001).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full body massage has partially positive effect on labor pain and delivery stress reac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full body massage might be used clinically to help primipara during labor.

  • PDF

출산을 전후한 시기 여성의 노동시장 이탈과 진입 (미국 기혼여성의 경우) (Labor Force Withdrawal And Entry (Surrounding First Birth of Married Women))

  • 장지연
    • 한국인구학
    • /
    • 제20권2호
    • /
    • pp.5-42
    • /
    • 1997
  • 이 논문은 출산을 전후한 시기에 있는 여성의 노동시장 전출입(labor market transitions)에 관한 필자의 일련의 연구들 중 일부이다. 여성 노동시장에 관한 기존의 이론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모델을 제시하고, 노동시장 이탈과 진입의 문제를 다루는 데 적합한 통계적 기법을 소개하였다. 상당수의 여성이 일생을 통하여 적어도 한번씩은 생산노동에 참여하는 현실 속에서 이제 중요한 문제는 노동의 지속과 단절의 문제이다. 이 문제는 여성의 노동시장행위에 대한 동태적인 분석을 요구한다. 본 연구는 응답자의 취업사(work history)와 가족형성사를 장기적으로 관찰한 자료를 이용하고 시간 또는 기간이라는 측면을 분석의 틀에 포함시킨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노동의 지속과 단절을 좀더 원래의 개념에 충실하게 포착하였다. 탐색적 분석방법으로 출산을 전후한 시기 여성의 고용단절과 재취업의 행위가 각각 임신, 출산으로부터의 기간에 따라 어떤 패턴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이 시기 여성의 노동시장 이탈과 진입의 행위는 시간에 따라 일정하게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추세를 띠고 있지 않으므로 '사건사분석'(event history analysis)에서 '기간의존성'(duration dependence)을 가정할 때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탐색적 분석에서 드러난 노동시장행위의 패턴이 어떤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였다. 가족의 수입과 자신의 임금에 대한 경제적 고려 외에 교육을 통해 얻게 되는 경제적 독립과 평등한 성역할에 대한 의지, 그리고 거시적인 경제 여건과 직업의 특성에 의해 조건지워지는 구조적 요인 등을 살펴봄으로써 '인적자본론'의 한계를 짚어 보았다.

  • PDF

노동시장통합과 결혼 이행 (Labor Market Integration and Transition to Marriage)

  • 윤자영
    • 한국인구학
    • /
    • 제35권2호
    • /
    • pp.159-184
    • /
    • 2012
  • 본 연구는 노동시장 통합이 결혼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결혼 시점과 결혼 3년 전의 일자리 유무와 고용형태를 가지고 일자리의 안정성과 지속성이 초혼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1997년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에 노동시장에 진입했을 가능성이 높은 두 집단을 코호트별로 나누어, 거시적인 사회경제적 변동 과정에서 노동시장통합이 결혼에 미친 차별적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한국노동패널을 사용하여 2008년도 기준으로 18세 이상인 성인 남녀의 결혼 이행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취업상태와 정규직 근무는 남성의 초혼 형성 해저드는 높이는 반면 여성의 초혼 형성 해저드는 낮추었다. 장기무직, 즉 교육이나 군대 기간을 제외하고 결혼 전 3년 동안 2년 이상 무직 상태에 있을 때 남녀 모두 결혼이 지연될 가능성이 높았다. 정규직 근속기간이 2년 이상인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결혼 해저드가 높아졌다. 정규직 근속기간이 긴 남성에게서는 이러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코호트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어 최근의 사회경제적 불확실성과 노동시장 불안정화의 부정적 영향이 더욱 강화되었음을 시사했다.

  • PDF

영국의 시간제 근로: 기혼 여성의 일에서 보편적 유연근로로의 변화? (Part-time Work in the UK: From Married Women's Work to Universal Flexible Work?)

  • 우명숙
    • 산업노동연구
    • /
    • 제17권1호
    • /
    • pp.325-350
    • /
    • 2011
  • 이 글은 영국의 시간제 근로의 특징과 그 제도적 맥락을 분석하고 있다. 노동시장에 대한 규제와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 대한 지원이 낮은 영국에서는 시장주도의 시간제 활용이 일찍부터 발달했다. 시간제 근로는 영국 취업 여성의 40 퍼센트를 차지할 정도로 특히 기혼 여성들의 주요한 일자리이다. 시장의 역할과 개인의 선택이 강조되는 영국에서 시간제 일자리는 고용주 주도의 시장의 유연성에 기여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여성들이 일과 가족 사이에서 시간제 근로를 통해 여성들 자신의 노동시간을 조정하는 주요 수단으로서 작동했다. 그러나 1997년 이후 영국에서는 제도적 개입을 강화하는 변화가 있었고, 시간제 근로를 기혼 여성을 위한 제한적 일자리로부터 보편적 유연근로로 변화시키려는 법적, 제도적 노력이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시간제 근로에 대한 불이익은 원칙적으로 시정할 수 있게 되었으나, 여전히 이해당사자들 사이의 집합적 해결방식보다는 개별 근로자와 고용주 사이의 개인화된 해결방식으로 영국이 접근함으로써 여성들의 고용패턴, 그리고 시간제 근로의 질적 성격에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