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g-type Gong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VTOL 타입의 복합형 비행체에 적용가능한 다수 프로펠러 기반 자세제어기법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Multi-Propeller based Attitude Control Method for VTOL type Compound Aircraft)

  • 성명훈;한상혁;김종철;공현철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455-462
    • /
    • 2017
  • 지금까지, 고속 비행과 수직이착륙의 장점을 갖는 비행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최근 대중화된 멀티콥터 형태의 드론은 수직이착륙과 다루기가 쉬운 장점을 가지나, 수십 Km 이상의 장거리 임무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프로펠러를 고정익에 결합한 복합형 시제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복합형 시제기는 멀티콥터와 고정익의 단순한 결합이 아닌, 멀티콥터의 다수 프로펠러가 자세제어를 수행하여 고정익의 조종면을 대신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비행시험을 통해 자세제어 성능을 확인하였다. 복합형 시제기의 자세제어 성능을 유사급 고정익 비행체와 비교한 결과 다수 프로펠러 기반 자세제어의 성능이 고정익 비행체의 자세제어 성능과 유사한 성능을 보였다.

비행시험을 통한 경비행기의 속도계 보정 (Airspeed Calibration of a Light Airplane via Flight Test)

  • 이정훈;류시융;이장호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629-634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the flight test procedure and the results for the airspeed indicator calibration of a light airplane the name of ChangGong-91, which is the first type certified aircraft from Korean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as a part of the flight test validation to get the certification. The flight tests for airspeed position error calibrations are conducted using tower fly by method in order to calibrate swivel head testboom which is attached to the right wing tip of the airplane. Also system to system method is applied in order to calibrate the airspeed indicator of the cockpit. The flight test is conducted at the basis of the 'Korean Airworthiness Standard' which is the regulation of Korean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The airspeed error range for the testboom and the airspeed indicator are determined to $-0.75{\sim}+0.75$ knot and to $-4.0{\sim}+2.0$ knots, respectively. The calibration results are applied to ChangGong-91 Flight Operation Manual.

비행시험을 통한 경비행기의 속도계 보정에 대한 연구 (Airspeed and Altitude Calibration of Light Airplane via Flight Test)

  • 이정훈;김성훈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A
    • /
    • pp.891-896
    • /
    • 2007
  • This paper contained the flight test calibration for the airspeed indicator and the altimeter of the light airplane ChangGong-91, which is the first type certified aircraft from Korean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as a part of the flight test validation. The flight test for airspeed position error calibration was performed using tower fly by method in order to calibrate swivel head testboom which is attached to the right wing tip of the airplane, and using system to system method for airspeed indicator. The altimeter calibration was calculated using flight test data for airspeed calibration. The flight test was conducted at the basis of the 'Korean Airworthiness Standard' regulation of Korean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 PDF

중국 당대~금대 목조 건축의 귀포 변천에 관한 연구 - 좌우대의 결구 유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s in Gwi-po from Tang to Jin Dynasty in China - Focusing on the connection type of Jwau-dae(左右隊) -)

  • 이병춘;이호열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8권3호
    • /
    • pp.96-119
    • /
    • 2015
  • 이 연구는 중국의 중세 목조건축을 대상으로 귀포(轉角鋪作)의 변천을 고찰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은 당대(唐代)부터 금대(金代)에 건축된 목조건축 중 중국정부가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國保)로 지정 보호하고 있는 71동의 건물을 대상으로 귀포의 시기별 변천 양상을 살펴보고 변화요인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귀포를 구성하는 좌우대(左右隊)의 다양한 결구유형에 주목하여 귀포의 변천과 전개과정을 고찰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귀포의 형식 변화는 건축을 주도했던 장인들의 좌우대에 대한 인식 변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 초기의 귀포에서는 소첨과 대첨으로 구성되는 중공조(重?造) 구성과 일두삼승(一斗三升)의 첨차 구성 원칙이 잘 유지되었으나 건축기술의 발달로 귀포의 출목부(出目部)에 귀잡이한대(말각공)와 좌우대가 결구되면서 다양한 형식이 나타났다. 초기의 귀포에서 진일보한 과도기형 귀포는 홀수 단에 놓인 좌우대의 모양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즉 귀한대에 면해 좌우대의 뺄목이 형성되지 않은 '무(無)뺄목형'(요, 북송)을 비롯한 좌우대의 뺄목이 사두(?頭)와 같은 모양인 '사두뺄목형'(북송, 금)과 좌우대의 뺄목이 소공두(小?頭)와 같은 '소공두형'(남송, 금)이 그것이다. 귀포의 후기형인 정형은 각 출목에 사두가 결구되는 유형으로 비록 요대에 형성되었지만 폭넓게 적용된 시기는 원대이후로 추정된다. 요대(遼代)에 이르러 건물의 지붕이 대형화되고 처마가 길게 돌출되는 변화가 나타나면서 하중이 집중되는 귀포를 구조적으로 보강할 필요가 생겼다. 이 시기에 처음 사용된 귀잡이한대는 귀포의 구조 보강을 위해 사용되었지만 이후 귀포의 형식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요대(遼代)에 발달한 공포재인 익형공(翼型?)은 귀포를 비롯한 건물의 공포형식이 투심조(偸心造)에서 계심조(計心造)로 변화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이와 같은 변화는 무앙계 건축을 중심으로 귀포의 정형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동시기 하앙계 건축에서는 무앙계에 비해 귀포가 '사두(?頭)뺄목형'에서 '소공두형'으로 바뀌는 변화가 서서히 일어났다. 무엇보다 귀포의 변화에 요대의 건축특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