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dmill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16초

풍력발전기 모델링 및 리미트 MPPT제어기에 관한 연구 (Study on a Limit MPPT Controller for the Modelling of a Wind Power Generator)

  • 강주성;고강훈;최광주;박재윤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53-59
    • /
    • 2007
  • 현재 화석연료에만 의존하는 에너지 시장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신재생에너지(연료전지, 풍력, 태양광 등)를 복합적으로 활용한 분산전원시스템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 가운데 풍력 발전시스템은 발전효율, 가격 측면 등에 있어 많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풍력발전시스템의 경우 난류가 되기 쉽고, 풍향이나 풍속이 수십초의 간격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바람의 에너지를 최대한 이용하는 최대전력점추종(MPPT)제어기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풍속과 풍차, 전력에 관한 정보를 사용하는 것으로 이전방식보다 간단한 MPPT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제어기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정격속도와 가변속도에서 항상 전력의 최대전력점에서 제어기가 동작하고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친환경 에너지 개발 기술 최적 조합 선정을 위한구조적 방법론: 풍력 발전 기술 조합 선정을 중심으로 (A Structured Methodology of Optimal Combination of Eco-Energy Development Technologies: Focusing on Wind Power Technology Combination)

  • 권오병;최남
    • 환경정책연구
    • /
    • 제10권1호
    • /
    • pp.93-127
    • /
    • 2011
  • 현재 전 세계적으로 환경오염과 자원위기 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친환경 에너지와 관련된 기술 개발 투자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 개발 프로젝트는 국가적, 대규모적일수록 단일 기술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요소 기술들이 같이 개발되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그러나 어떠한 기술 조합을 개발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한 의사결정을 하여 주는 방법론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최적의 친환경 에너지 기술 조합을 선정하는 방법론을 제안하는 것이다. 개발 기술들을 여러 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한 다음, 가장 근간이 되는 기준기술을 정하고, 해당 기준기술과의 관련성과 개발 성공에 대한 위험성이라고는 두 가지 차원과 관련성 및 위험성의 상대적 중요도를 고려하여 각 카테고리 별로 최적의 기술을 선정하게 된다. 제안한 선정 방법론의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풍력 발전 기술 조합 선정에 대한 사례에 적용해 보았다.

  • PDF

소형 풍력 터빈을 이용한 폭기시스템 모델 개발 (Model Development of Aeration System using Small Wind Turbine)

  • 김명준;채규훈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9-65
    • /
    • 2013
  • 최근 몇 년간 에너지 위기에 대한 우려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방대한 에너지소비에 따른 환경오염도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사회적으로 에너지 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새로운 에너지나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해결책으로 양어장 등에서 사용되는 폭기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를 자연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해 본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풍력에너지를 이용한 폭기장치의 개발에 있으며, 다양한 풍속 및 수풍면적에 대한 풍력폭기장치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있다. 또한, 최대의 효율을 얻을 수 있는 풍력펌프의 각도에 대한 토출구의 높이를 유도하여 유사한 장치의 설계에 있어 도움을 줄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풍선불기와 키네시오 테이핑이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alloons Blowing and Kinesio Taping on Vital Capacity)

  • 이삼철;이석진;오상부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7
    • /
    • 2011
  • Background : Respiratory muscle weakness has serious clinical consequences. Vital Capacity is the volume of air that is normally exchanged in a single breath. It varies widely with pulmonary health and overall fitness.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vital capacity(VC) according to the effects of Kinesio taping and balloons blowing. Methods : Twenty-one non-smok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nd thes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hree groups; a balloons blowing group(n=7), a Kinesio taping group(n=7), and a balloons blowing and Kinesio taping group(n=7). This experiment was done from June 22, 2009 to July 5, 2009. In order to measure the VC variation effects of Kinesio taping, balloons blowing, and both intervention, an windmill type spiropet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by using a paired t-test and ANCOVA.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e case of balloons blowing,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3.35% increase of VC, between before and after 2 weeks experiments(p<.01). 2) In the case of Kinesio taping,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11.66% increase of VC, between before and after 2 weeks taping intervention(p<01). 3) In the case of both balloon blowing and Kinesio taping,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15.84% increase of VC, between before and after 2 weeks both interventions(p<.01). 4) After 2 weeks experiment, the improvement of VC was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tergroup(p<.05). Conclusion : From these results, it was revealed that balloons blowing or Kinesio taping, or both interventions were effective to improve VC of healthy adults.

  • PDF

고정밀 대형 부품가공용 복합가공기 원천기술 개발 (Development of Core Technologies of Multi-tasking Machine Tools for Machining Highly Precision Large Parts)

  • 장성현;최영휴;김수태;안호상;최학봉;홍종승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9-138
    • /
    • 2012
  • In this study, three types of large scale multi-tasking machine tools together with core technologies involved have been developed and introduced; a multi-tasking machine tool for large scale marine engine crankshafts, a multi-tasking vertical lathe for windmill parts, and a large scale 5-axis machine tool of gantry type. Several special purpose devices has been necessarily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handling and machining big and heavy workpieces accurately, such as PTD (Pin Turning Device) with revolving ring spindle for machining eccentric crankshaft pins, hydrostatic rotary table and steady rest for supporting and resting heavy workpieces, and 2-axis automatic swiveling head for high-quality free surface machining. Core technologies have been also developed and adopted on their detail design stage; 1) structural design optimization with FEM structural analysis, 2) theoretical hydrostatic analysis for the PTD and rotary table bearings, 3) box-in-box type cross-rail and octagonal ram design to secure machine rigidity and accuracy, 4) constant spindle rpm control against gravitational torque due to unbalanced workpie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