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d Speed Pattern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7초

도심산림녹지의 식생 및 물리적 구조에 따른 숲 내부 미기상 변화 연구 (Impact of Physical and Vegetation Patterns on Parks Environment: A Case Study of Gusan Neighborhood Park, South Korea)

  • 김정호;최원준;이상훈;이명훈;윤용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25-435
    • /
    • 2020
  • 본 연구는 도심지 산지형 공원의 물리적 구조 및 식생구조가 기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물리적 구조인 표고, 경사도, 사면 향, 지형구조와 식생 구조인 현존식생, 흉고직경, 울폐도의 기상과의 평균비교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표고의 경우 상대습도, 풍속, 일사에서 유형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경사도의 경우 풍속을 제외한 모든 기상요소에서 유형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면 향의 경우 기온과 상대습도에서 유형간 차이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형구조의 경우 계곡부, 사면부, 능선부로 구분하였으며, 상대습도에서 측정 값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기온, 풍속, 일사량에서는 일정한 경향과 유형간 차이가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생구조 중 현존식생의 경우 일사량을 제외한 기온, 상대습도, 풍속 항목에서 유형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흉고직경의 경우 기온, 풍속, 일사량 항목에서 유형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울폐도의 경우 기온과 일사량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생 및 물리적구조가 기상환경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위한 관계분석결과 기온의 경우 경사도와 사면 향, 흉고직경과 울폐도에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상대습도의 경우 물리적구조인 표고, 경사도, 사면 향, 지형구조와 식생구조인 현존식생과 울폐도에서 상관성이 분석되었다. 풍속의 경우 표고, 현존식생, 흉고직경에서 상관성이 분석되었으며, 일사량의 경우 경사도와 흉고직경, 울폐도간의 상관성이 분석되었다. 전반적으로 기온과 상대습도, 일사량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인자는 울폐도로 분석되었으며, 다음으로 경사도에서 상관관계가 높게 분석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흉고직경 또한 기온과 일사량간의 상관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풍속과의 상관관계도 나타났으나 상대습도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양생조건에 따른 플라이애쉬 콘크리트의 소성수축균열 특성 (The Plastic Cracking Properties of Fly Ash Concrete with Various Curing Conditions)

  • 남재현;박종화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1-98
    • /
    • 2007
  • In this study, the property and plastic cracking pattern of concrete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replacement ratio of fly ash 0, 5, 10, 15, 20% by cement weight. And curing conditions of concrete were given variously such as indoors(with wind speed as 0, 300, 500m/min), outdoors and chamber. The hydration temperature had a tendency to decrease as the replacement ratio of fly ash increased, and in the case of the wind speed 0m/min, it was showed that the moment that the amount of evaporation of water from surface of reference concrete was more than the volume of bleeding was 90 min since casting concrete. The time that the crack initiated had a tendency to be more quickly as the replacement ratio of fly ash increased. The number, length, width and area of crack in the indoor curing, exposed outdoor curing, enclosed outdoor curing had a tendency to decrease as the replacement ratio of fly ash increased. The crack had a tendency to decrease in sequence of exposed outdoor, enclosed outdoor curing, indoors curing. The outbreak of cracking by the chang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was affected by relative humidity more than temperature and the cracking had a tendency to increase as relative humidity lowered.

도시 협곡에서 수목이 흐름과 스칼라 물질 확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ees on Flow and Scalar Dispersion in an Urban Street Canyon)

  • 강건;김재진
    • 대기
    • /
    • 제25권4호
    • /
    • pp.685-692
    • /
    • 2015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rees on flow and scalar dispersion in an urban street canyon were investigated using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model. For this, we implemented the drag terms of trees to the CFD model, and compared the CFD-simulated results to the wind-tunnel results. For comparison, we considered the same building configuration as the wind-tunnel experiment. The trees were located at the center of street canyon with the aspect ratio (defined as the ratio of the street width to the building height) of 1. First, the flow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 the tree-free and high-density tree case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FD model reproduced well the flow pattern of the wind-tunnel experiment and reflected the drag effect of trees in the street canyon. Then, the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scalar pollutants were investigated for the tree-free, low-density tree and medium-density tree cases. In the tree-free case, the nondimensionalized concentration distribution simulated by the CFD model was quite similar to that in the wind-tunnel experiment in magnitude and patter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measured and simulated concentrations are more than 0.9 in all the cases. As the tree density increased, nondimensionalized concentration increased (decreased) near the wall of the upwind (downwind) building, which resulted from the decrease in wind speed case by the drag effect of trees. However, the CFD model underestimated (overestimated) the concentration near the wall of upwind (downwind) building.

기상조건에 따른 부산지역 대기오염물질 농도변화와 예측에 관한 연구 (On the Prediction and Variation of Air Pollutants Concentration in Relation to the Meteorological Condition in Pusan Area)

  • 정영진;이동인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77-190
    • /
    • 1998
  • The concentrations of air pollutants In large cities such as Pusan area have been increased every year due to the increasing of fuels consumption at factories and by vehicles as well as the gravitation of the population. In addition to the pollution sources, time and spatial variation of air pollutants concentration and meteorological factor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air pollution problem. Especially , its concentration is governed by wind direction, wind speed, precipitation, solar radiation, temperature, humidity and cloud amounts, etc. In this study, we have analyzed various data of meteorological factors using typical patterns of the air pressure to investigate how the concentration of air pollutants is varied with meteorological condition.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factors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wind speed and solar radiation) and the concentration of air pollutants (SO2, O3) , experimental prediction formulas for their concentration were obtained. Therefore, these prediction formulas at each meteorological factor in a pressure pattern may be roughly used to predict the air pollutants concentration and contributed to estimate the variation of its value according to the weather condition in Pusan city.

  • PDF

한반도 풍력자원 평가를 위한 초기 공간해상도와 위성자료 동화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Spatial Resolution of Initial Data and Satellite Data Assimilation for the Evaluation of Wind Resources in the Korean Peninsula)

  • 이순환;이화운;김동혁;김현구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53-665
    • /
    • 2007
  • Several numerica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clarify the influence of satellite data assimilation with various spatial resolution on mesoscale meteorological wind and temperature field. Satellite data used in this study is QuikSCAT launched on ADEOS II. QuikSCAT data is reasonable and faithful sea wind data, which have been verified through many observational studies. And numerical model in the study is MM5 developed by NCAR. Difference of wind pattern with and without satellite data assimilation appeared clearly, especially wind speed dramatically reduced on East Sea, when satellite data assimilation worked. And sea breeze is stronger in numerical experiments with RDAPS and satellite data assimilation than that with CDAS and data assimilation. This caused the lower estimated surface temperature in CDAS used cases. Therefore the influence of satellite data assimilation acts differently according to initial data quality. And it is necessary to make attention careful to handle the initial data for numerical simulations.

GIS 자료를 활용한 대도시 지역 기상관측소 관측환경 평가 (Evaluation of Observation Environment for Weather Stations Located in Metropolitan Areas)

  • 양호진;김재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93-20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전산 유체 역학(CFD) 모델을 이용하여 건물과 지형이 대도시 내의 산지에 위치한 기상관측소의 관측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상 지역의 관측소주변 흐름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GIS 자료로부터 건물과 지형 자료를 구현하였다. 구현한 자료를 CFD 모델 입력 자료로 사용하였고 관측소를 중심으로 16방위의 유입류을 가정하여 수치실험을 실시하였다. 유입된 흐름과 관측 지점에서 모의된 흐름을 비교한 결과, 전반적으로 관측소 주변에 건물과 고지형이 존재할 경우, 모의된 풍향과 풍속이 유입류와 크게 차이가 나타났다. 건물과 지형의 풍하층에서 발생하는 2차 순환범위 내에 관측소가 포함될 경우, 더욱 큰 차이가 나타났다. 전산유체역학 모델은 주변 지형환경에 따른 관측지역의 상세흐름 변화를 평가 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Investigations on aerosols transport over micro- and macro-scale settings of West Africa

  • Emetere, Moses Eterigho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75-86
    • /
    • 2017
  • The aerosol content dynamics in a virtual system were investigated. The outcome was extended to monitor the mean concentration diffusion of aerosols in a predefined macro and micro scale. The data set used were wind data set from the automatic weather station; satellite data set from Total Ozone Mapping Spectrometer aerosol index and multi-angle imaging spectroradiometer; ground data set from Aerosol robotic network. The maximum speed of the macro scale (West Africa) was less than 4.4 m/s. This low speed enables the pollutants to acquire maximum range of about 15 km. The heterogeneous nature of aerosols layer in the West African atmosphere creates strange transport pattern caused by multiple refractivity. It is believed that the multiple refractive concepts inhibit aerosol optical depth data retrieval. It was also discovered that the build-up of the purported strange transport pattern with time has enormous potential to influence higher degrees of climatic change in the long term. Even when the African Easterly Jet drives the aerosols layer at about 10 m/s, the interacting layers of aerosols are compelled to mitigate its speed to about 4.2 m/s (macro scale level) and boost its speed to 30 m/s on the micro scale level. Mean concentration diffusion of aerosols was higher in the micro scale than the macro scale level. The minimum aerosol content dynamics for non-decaying, logarithmic decay and exponential decay particulates dispersion is given as 4, 1.4 and 0 respectively.

단시간 다중모델 앙상블 바람 예측 (Wind Prediction with a Short-range Multi-Model Ensemble System)

  • 윤지원;이용희;이희춘;하종철;이희상;장동언
    • 대기
    • /
    • 제17권4호
    • /
    • pp.327-337
    • /
    • 2007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new ensemble training approach to reduce the systematic error and improve prediction skill of wind by using the Short-range Ensemble prediction system (SENSE), which is the mesoscale multi-model ensemble prediction system. The SENSE has 16 ensemble members based on the MM5, WRF ARW, and WRF NMM. We evaluated the skill of surface wind prediction compared with AWS (Automatic Weather Station) observation during the summer season (June - August, 2006). At first stage, the correction of initial state for each member wa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observed values, and the corrected members get the training stage to find out an adaptive weight function, which is formulated by Root Mean Square Vector Error (RMSVE). It was found that the optimal training period was 1-day through the experiments of sensitivity to the training interval. We obtained the weighted ensemble average which reveals smaller errors of the spatial and temporal pattern of wind speed than those of the simple ensemble average.

GIS와 CFD 모델을 활용한 건설 현장 방풍벽 설치가 비산 먼지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Wind Fence on the Dispersion of the Particles Emitted from the Construction Site Using GIS and a CFD Model)

  • 김동주;왕장운;박수진;김재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763-77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GIS)자료와 전산유체역학(CFD) 모델을 사용하여 방풍벽이 건물 밀집 지역에 위치한 공사 지역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부산 ASOS에서 10년 동안 관측된 풍속을 평균하여 기준 고도(지상 10 m)에서의 유입류로 사용하였다. 수치 실험은 방풍벽 건설 전과 5 m 및 10 m 높이의 방풍벽을 건설한 후에 대해 16 방위 풍향을 유입류로 진행하였고, 부산 ASOS에서 높은 빈도를 나타낸 북동풍과 남남서풍에 대한 상세 흐름을 분석하였다. 북동풍에서는 북동쪽에서 불어오는 흐름에 의해 비산 먼지가 확산되어 공사 지역 내부에 위치한 감천초등학교에서 대기오염물질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5 m 높이의 방풍벽을 설치했을 때는 방풍벽 설치 전에 비해 풍속이 조금 감소했고 비산 먼지의 확산이 줄었다. 10 m 높이의 방풍벽을 설치한 경우, 초등학교에서의 평균 대기오염물질 농도는 37% 감소하였다. 남남서풍 유입류에서는 지형과 건물의 영향으로 공사 지역에서 복잡한 흐름 패턴이 형성되었다. 남쪽 공사 지역에서는 비산 먼지가 정체되어 농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초등학교는 북풍의 흐름에 의해 대기오염물질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방풍벽 건설 후에는 공사 지역 내부에서 풍속이 감소하면서 공사장 내부 농도는 높아졌지만, 초등학교에서의 농도는 감소했다.

캠퍼스 내 녹지공간의 온도분석 및 온도영향요인 규명 실험 (Analysis of Temperature Influence Experiment on Green Spaces in Campus)

  • 김재경;김원희;김은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511-520
    • /
    • 2020
  • 지구온난화로 인해 하절기 폭염현상과 열대야가 강해짐에 따라, 도시공원 등 녹지공간의 열환경 개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하지만, 녹지의 식재패턴과 바람의 세기로 인해 변화하는 도시 열환경 개선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공 휴게 녹지공간의 온도분석 및 온도의 변화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상지로는 전남대학교 민주마루 앞 광장을 설정하였다. 대상지의 피복상태, 식재형태를 조사 후, 온도, 습도, 풍향, 풍속 등을 측정하여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측정기준은 기상청 기준 오후 2시에 전운량 30% 이하, 습도 90% 이하, 온도는 최고온도 30℃ 이상인 날로 지정하였다. 온도 실측은 크게 1차 실측과 2차 실측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1차 실험은 2018년 6월 1일부터 6월 21일까지 30도를 기준일로 6일간, 2차 실험은 2018년 7월 27일부터 8월 1일까지 35도를 기준으로 3일간 측정을 실시하였다. 온도분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증발산과 바람에 의한 열 이동으로 판단된다. 온도변화요인으로는 피복유형, 풍속/풍향, 식재유형 등이 있었다. 피복유형에서 목본 식재지는 저온역으로, 초지와 아스팔트 포장은 고온역으로 구분되었다. 풍속/풍향에서는 3.5m/s 이상의 바람이 불어올 때 남풍에서 1.2도, 서풍에서 0.7도, 북풍에서 0.4도, 동풍에서 0.5도씩 순간온도가 저감되었다. 식재유형에서는 녹지량이 많고,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는 형태일수록 온도가 저감되었다. 온도변화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등온선을 작성하여, 풍향과 수목식재 위치 관계를 파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