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dth and length of teeth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4초

악안면 연조직에 관한 X선학적 연구 (ORENTGENOGRAPHIC STUDIES ON THE SOFT TISSUE PROFILE)

  • 박태원
    • 치과방사선
    • /
    • 제1권1호
    • /
    • pp.29-37
    • /
    • 1971
  • Modern orthodontics implies not only occlusal excellence, but also the positioning of teeth to produce optimal facial harmony for the individual patients. Several methods have been used in the study of facial height, width and depth were made from living subjects. These methods, however, complicate to control the subjects, therefore many investigators have used profile cephalometric technics. Practically, cephalometric technics were used m orthodontic treatment, maxillo-facial surgery and anthropometric studies. Author was studied to investigate the normal standards of soft tissue profile in Korean adolescences. The subjects consisted of 53 males and 54 females from 17 to 22 years of age and with normal occlusion and acceptable profile. Aluminum filter was designed to obtain both hard and soft tissue structures on a single film. Eight profile landmarks were plotted and drawn on the tracings of all cephalograms and eighteen depth, height and angles were measured from each landmarks of the cephalogram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rom this studies; 1. Total facial convexity was 170. 75 in males and females samples and lower facial and: labiomandibular convexity were each of 141.44, 171.05. 2. Maxillary and mandibular sulcus angulations were 137.61, 129.52 and upper and lower lip inclinations were each of 123.26 and 49.56 in male and females. 3. Soft tissue depth of several points were as follows; Subnasale 18.74㎜ in males and 16.65㎜ in females Pogonion 13.40㎜ in males and 13.07㎜ in females upper lip 14.06㎜ in males and 11.91㎜ in females . lower lip 15.46㎜, 13.63㎜ in males and females 4. The protrusion of nose were 16.28㎜ in males and 15.56㎜ in females 5. The vertical length of upper and lower lips were 25.67㎜, 52.96㎜ and the lip posture was indicated 93.43 per cent (closed state) in centric occlusions.

  • PDF

안골격형과 교합과의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ELATONS BETWEEN FACIAL SKELETAL PATTERNS AND DENTAL OCCLUSION)

  • 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1-26
    • /
    • 1982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ocument relations between facial skeletal pattern and dental occlusion. The data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pretreatment cephalometric radiographs and study models of patients' records present in the files of Orthodontic Depart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Patients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a mandibular plane-sella nasion angle equal to or greater than $38^{\circ}$ (high SN-MP angle) or equal to or less than $26^{\circ}$ (low SN-MP angle). Patients in the mixed dentition and with missing permanent teeth were excluded for ease of assessing tooth size / arch circumference relationships and then 30 high SN-MP and 11 low SN-MP patients were selected among them. The mean age of these two groups of patients was high SN-MP, $12.8{\pm}1.23$ years and low SN-MP, $13.0{\pm}1.48$ year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In the maxilla and mandible the mean tooth size of high SN-MP patients was nearlly identical to the low SN-MP patients. 2. The mean maxillary arch circumference was increased in low SN-MP group compared with high SN-MP group and a smilar, but smaller, mean increase was present in mandible. 3.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n maxillary circumference required and the mean maillary circumference present ranged from -4.8mm in the high SN-MP group to -1.3mm in the low SN-MP group. A small range of means occurred in the mandible (high SN-MP: -4.0mm to low SN-MP: -1.8mm). 4. In the maxilla and mandible the mean arch length was nearly identical in the high and low SN-MP groups. 5. The mean incisor inclination was increased as the SN-MP angle decreased in the maxilla and mandible. 6. The men distance of the maxillary first molar from anterior border of the pterygomaxillary fissure was nearly similar between high and low groups. 7. The mean mandibular intermolar width was increased from high SN-MP to low SN-MP patients.

  • PDF

흉터 치료 촉진 효과를 갖는 치아 케어용 LED 모듈 개발과 광학적특성 분석 (Development of LED Module for Tooth Care with Effect of Promoting Scar Treatment and Analysis of Optical Properties)

  • 유균만;손정현;조현민;강소희;강성수;박성준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3권4_2호
    • /
    • pp.701-708
    • /
    • 2020
  •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LED module for dental care, which has the effect of promoting cell regeneration and scar treatment. The LED module is a U-shaped module suitable for the shape of teeth. It is manufactured with an LED module (632 nm) and an LED module (632 nm + 870 nm), analyzes the results of optical properties, sets the irradiation distance, irradiation time, and is effective in healing skin wounds. Evaluation was conducted. It was tested in 6 test groups according to the light irradiation conditions, and light was irradiated to the scar site every other day for 7 days, 1 day and 3 day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scar treatment was the highest when the combined wavelength of 632 nm + 870 nm was irradiated in pulse mode than when the single wavelength was irradiated and the composite wavelength was continuously irradiated. In group C group irradiated with PW Mode: pulse mode (period 36 ms, pulse width 35 ms) using a composite wavelength with LED module (632 nm + 870 nm) than group A without light irradiation, the length of scar reduction was 19 %, the area of the scar was further reduced by 10%,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is effective in treating scars in the wound area.

치과용 CBCT를 이용한 상악 정중치의 3차원 분석 및 정중치와 정중이개와의 관계분석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Maxillary Mesiodens Using Dental CBCT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Mesiodens and Diastema)

  • 강은주;최남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60-267
    • /
    • 2013
  • 본 연구는 Cone-beam computed tomography(CBCT)를 이용하여 상악 정중치의 크기, 형태, 위치 등의 3차원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들이 영구치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2006년 6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내원하여 CBCT를 촬영한 환자 중 15세 이하의 환자, 19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정중이개를 보이는 43명을 대상으로 정중치의 크기, 위치와 정중이개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정중치는 남성에서 약 3.9배 많이 발견되었고 7세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평균 길이는 13.0 mm, 폭경은 6.8 mm이였으며, 원추형이 59.2%로 가장 많았다. 정중치는 순측보다 구개측에 다수 존재하였고 수직적으로는 영구치의 치관부위에 근접해 있는 경우가 많았다. 정중치의 63.0%가 역위 형태였으며 정중치에 의해 유발된 병발증은 맹출지연이 39.0%, 정중이개 23.6%, 치아회전이 15.9%를 차지하였다. 이 중 정중이개량은 정중치의 크기와 중등도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정중치의 근원심 위치도 정중이개량과 통계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정중치의 3차원 분석을 통해 정중치의 크기, 위치, 병발증의 발생분포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 중 정중이개량은 정중치의 크기, 근원심 위치와 상관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정치료 후 비심미적인 상악 전치부 비율을 가진 환자에서 체계적인 진단 및 치료과정을 통해 심미성이 개선된 보철 수복 증례 (Esthetic improvements through systematic diagnosis and treatment procedures in patients with unesthetic maxillary anterior teeth proportion after orthodontic treatment: Case report)

  • 이성민;최유성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62-275
    • /
    • 2015
  • 상악 전치부와 같은 심미성이 요구되는 부위의 치료 시에는 건강하고, 주위조직과 조화를 이루며 매력적인 미소선의 형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에 관하여 미소선, 연조직 및 경조직의 형태뿐 아니라 치아의 해부학적 형태와 비율 또한 고려하여야 한다. 상악 측절치의 왜소치(peg lateralis)로 인한 치간이개 및 부적절한 치은 형태로 인해 비심미적인 상악 전치부 비율을 가진 환자에서는 교정치료만으로 심미적 수복이 이루어지기 힘들 수 있다. 이런 경우, 교정치료가 끝난 이후 치아-치은-안면 구도에서의 진단 및 분석을 통한 치은절제술 및 보철적 수복을 통해 치아간의 근/원심, 폭/길이 비율을 개선시켜야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또한, 상악 측절치의 왜소치(peg lateralis) 치아 비율 개선을 위한 보철물 제작 시 치질삭제가 적으며 인접치와 유사한 색조가 재현 가능하고 투명도가 높은 도재 라미네이트 비니어(Porcelain laminate veneer, PLV)가 선호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두 명의 20세 여자 환자로 교정치료 후 상악 측절치의 왜소치로 인한 치간이개 및 부적절한 치은 형태로 인해 비심미적인 상악 전치부 비율을 가진 환자에서의 체계적인 진단 및 치료과정을 통해 심미성이 개선된 보철 수복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여러 치과 와동 기저재용 재료들의 미세누출 및 압축강도 비교 (Comparison of Microleakage and Compressive Strength of Different Base Materials)

  • 장은영;이제식;남순현;권태엽;김현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68-175
    • /
    • 2021
  • 이 연구는 깊은 와동에서 기저재로 사용되는 5개의 기저재용 재료를 대상으로 미세누출 및 압축강도 평가를 시행하였다. 미세누출 평가를 위해 발거된 영구 소구치 50개를 준비하여 베이스 재료에 따라 10개씩 군을 나누었다. 치아의 순면에 가로 5.0 mm, 세로 3.0 mm, 높이 3.0 mm 크기의 와동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와동에 1.0 mm 두께로 각 베이스 재료를 충전하였다. 이후 와동의 상방부를 composite resin으로 최종수복 시행하였으며, 시편을 2% 메틸렌블루 용액에 침적시킨 후 치아를 절삭하였고 실체현미경(× 30)을 이용해 미세누출 정도를 평가하였다. 압축강도 평가를 위해 각 재료 별로 5개씩의 원통형 시편을 제작하였다. 이후 만능시험기를 이용해 압축강도를 평가하였다. 미세누출 평가에서 Riva light cureTM가 가장 큰 미세누출을 보였으며, Well-Root PT와 Biodentine이 가장 적은 미세누출을 보였다. 압축강도는 모든 군이 베이스 재료로서 받아들일 만한 강도를 보였다. Fuji II LC가 가장 높은 압축강도를 보였으며 Well-Root PT가 가장 낮은 강도를 보였다.

디지털 진단 왁스업을 통하여 안모를 고려한 상악 전치부 심미수복 증례 (Esthetic restoration of maxillary anterior teeth considering facial features in digital diagnostic wax-up: a case report)

  • 공성지;박상원;임현필;윤귀덕;박찬;장우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40권3호
    • /
    • pp.179-188
    • /
    • 2024
  • 심미 보철 수복에서 심미적인 치료 결과의 예지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안모 분석과 치아와 입술과의 관계, 치아의 형태 너비/길이 비율, 치은의 형태 등을 고려해야 한다. 기존에 사용되는 전통적인 진단 왁스업은 환자의 안모를 고려할 수 없으며, 빠른 형태 수정이 불가하다는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환자의 안모를 3차원화한 가상 환자를 제작하여 안모와 조화되는 수복물을 디자인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디지털 작업은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빠르게 시각화된 치료 결과를 제시하여 동기 부여의 효과를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증례는 환자의 안모를 고려한 디지털 진단 왁스업을 통해 심미적인 전치부 보철 수복을 시행하였다.

The role of polymorphisms associated with early tooth eruption in dental and occlusal traits in East Asian populations

  • Yamaguchi, Tetsutaro;Kawaguchi, Akira;Kim, Yong-Il;Haga, Shugo;Katayama, Koshu;Ishida, Hajime;Park, Soo-Byung;Maki, Koutaro;Kimura, Ryosuke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96-102
    • /
    • 2014
  • Objective: A recent study suggested that rs6504340, a polymorphism within the homeobox B (HOXB) gene cluster, is associated with the susceptibility for malocclusions in Europeans. The resulting malocclusions require orthodontic treatm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rs6504340 and other dentition-implicated polymorphisms with dental and occlusal traits in Korean and Japanese population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223 unrelated Koreans from the Busan area and 256 unrelated Japanese individuals from the Tokyo metropolitan area. DNA samples were extracted from saliva specimens. Genotyping for rs6504340 and four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that have been shown to be associated with the timing of first tooth eruption and the number of teeth at 1 year of age (rs10506525, rs1956529, rs9674544, and rs8079702) was performed using TaqMan assays. The Index of Orthodontic Treatment Need (IOTN), overjet, overbite, arch length discrepancy, crown sizes, and length and width of the dental arches were measured.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evaluate relationships between rs6504340 and these dental/occlusal traits. Results: We evaluated the aesthetic components and dental health components of the IOTN in the Korean and Japanese populations and found that neither rs6504340 nor the other four SNPs showed any association with dental and occlusal traits in these East Asian populations. Conclusions: These negative results suggest tha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the genetic determinants of malocclusions in order to reach a consensus.

북서태평양 톱상어(톱상어과, 연골어강)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view of Pristiophorus japonicus Complex (Pristiophoridae, Chondrichthyes) in the Northwest Pacific)

  • 명세훈;김진구;송춘복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8-17
    • /
    • 2016
  • 톱상어과는 톱상어목에 속하며 지금까지 2속 8종이 보고되었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톱상어과 어류는 톱상어 1종으로 알려져 있다. 톱상어과는 주둥이 양쪽에 작고 큰 이빨이 나있으며 납작하고 긴 것이 특징이다. 톱상어의 집단구조를 알기 위해서 4개의 지역(한국, 개체수=6; 미야기현, 개체수=1; 고치현, 개체수=1; 오키나와, 개체수=8)에서 채집된 16개체를 대상으로 형태와 분자분석을 실시하였다. 형태분석결과 3가지의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그 중 톱상어 A 유형은 한국과 일본에 서식하며 짧은 주둥이(전장의 26.8%), 폭넓은 주둥이(주둥이 길이는 주둥이 폭의 4.5배)를 가지며, 톱상어 모식표본과 유사한 점에서 톱상어(Pristiophorus japonicus)로 추정된다. 톱상어 B 유형은 오키나와에 서식하며 긴 주둥이(전장의 31.7%), 폭넓은 주둥이(5.2배)를 가져 Pristiophorus sp.1로 제안한다. 톱상어 C 유형은 오키나와에 서식하며 긴 주둥이(전장의 31.7%), 폭좁은 주둥이(6.3배)를 가져 Pristiophorus sp. 2로 제안한다. 나아가 톱상어 A 유형과 C 유형의 mtDNA cytb 영역을 비교한 결과 2.1~2.7% 차이를 보여 형태결과를 지지해 주었다. 향후 Pristiophorus sp. 1 및 Pristiophorus sp. 2의 분류학적 위치를 구명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산 참나무속 참나무아속(너도밤나무과)의 수리분류학적 분석 (Numerical analysis of Quercus L. subgenus Quercus (Fagaceae) in Korea)

  • 박진희;정명기;선병윤;김기중;박재홍;박종욱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7-8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참나무속 참나무아속(Quercus subgen. Quercus) 6종 및 종간 잡종으로 추정되는 개체들을 대상으로 잎, 동아, 소지, 견과, 각두 및 포린의 형태 및 크기에 관한 40개의 형질들을 측정, 수리분류학적 분석(주성분분석)을 수행하여 주요 형태 형질의 변이 양상을 파악하고, 한국산 참나무아속 분류군들의 실체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본 아속 한국산 개체들은 크게, 1) Q. acutissima-Q. variabilis, 2) Q. dentata, 3) Q. aliena, 4) Q. mongolica, 그리고 5) Q. serrata 개체들로 구성된 5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고, 종간 잡종으로 추정되는 개체들은 대부분 추정 부모종의 중간적 특징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주성분분석에서 하나의 집단을 형성하면서 약하게 구분되는 Q. acutissima와 Q. variabilis는 잎 하면 털의 종류 및 분포 양상에 의해 뚜렷이 식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부형태 형질의 경우, 잎의 형태, 엽신의 길이와 폭, 거치의 크기와 형태, 소지의 직경, 견과의 길이와 폭의 비, 포린의 길이와 폭 등이 참나무아속 한국산 분류군들을 구분하고 잡종 형성을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