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ole Wheat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6초

Effect of feeding a diet comprised of various corn silages inclusion with peanut vine or wheat straw on performance, digestion, serum parameters and meat nutrients in finishing beef cattle

  • Zhang, Hongrui;Zhang, Liyang;Xue, Xiao;Zhang, Xiaoxia;Wang, Hongyi;Gao, Tengyun;Phillips, Clive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1호
    • /
    • pp.29-38
    • /
    • 2022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eeding value, meat nutrients and associative effects of a diet comprised of various corn silages inclusion with peanut vine or wheat straw in finishing beef cattle. Methods: One hundred and eighty Simmental crossbred beef steers were blocked and assigned to the follow treatments: i) whole plant corn silage-based diet (control, WPCS), ii) mixed forages-based diet (replacing a portion of corn silage with wheat straw, WPCSW), iii) corn stalklage-based diet (CS), and iv) sweet corn stalklage-based diet (SCS). Each group consisted of 5 repeated pens with 9 steers/pen. The diets were formulated to be isonitrogenous and isoenergetic with same forage to concentrate ratio. Experimental diets were fed for 90 d. Results: The effective ruminal degradability of dry matter and crude protein were highest for WPCS diet (p<0.05), for neutral detergent fiber was highest in SCS diet (p<0.05). The average daily gain was greater for cattle offered the WPCS diet, intermediate with WPCSW and SCS and lowest with CS (p<0.001). The concentration of non-esterified fatty acid in serum was higher for steers fed with CS and SCS diets than those offered WPCS and WPCSW steers (p<0.001). The treatments did not affect the general nutritional contents and amino acids composition of Longissimus dorsi of steers (p>0.05). Conclusion: The corn silage-based diet exhibited the highest feeding value. The sweet corn stalklage and wheat straw as an alternative to corn silage offered to beef cattle had limited influence on feeding value and meat nutrients. However, the value of a corn stalklage-based diet was relatively poor. To sum up, when the high quality forage resources, such as corn silage, are in short supply, or the growth rate of beef cattle decreases in the later finishing period, the sweet stalklage and wheat straw could be used as a cheaper alternative in feedlot cattle diet without sharp reducing economic benefits.

다양한 형태의 곳체다슬기 (Semisulcospira gottschei) 치패용 배합사료에 대두박과 소맥분 이용성 (Utilization of Soybean Meal and Wheat Flour in Different Types of Diets for Juvenile Snail (Semisulcospira gottschei))

  • 황규덕;김이오;박종호;방인철;김경덕;장현석;이상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54-457
    • /
    • 2003
  • A feeding trial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of dietary soybean meal and wheat flour as substitutes for fish meal and alginate in different dietary types (powder, pellet and flake) for juvenile snail (Semisulcospira gottschei). After 10 weeks feeding trial, survival was not affected by formulation and type of diets (P>0.05), but weight gain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dietary formulation (P<0.001) and type (P<0.05). In the same dietary formulation, weight gain of the snail fed the flake type of diets was lower than that of the snail fed the powder or pellet types. However, the type of diet did not affect weight gain when snail fed diets containing $37\%$ soybean meal and $18\%$ alginate. The weight gain was lower in the snail fed diets containing $25\%$ fish meal compared with that of the snail for diets containing $33-37\%$ soybean meal at the same dietary type. When soybean meal was used as main protein source in diets, weight gain was not affected by dietary alginate $(0\;and\;18\%)$ and wheat flour $(36\;and\;58\%)$ contents. Crude protein and ash contents of whole body of the snail was not affected either by formulation or by type of diet. Moisture and crude lipid contents of the whole body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dietary formulation, but not by the typ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25\%$ fish meal could be replaced by $37\%$ soybean meal as dietary protein source, and pellet and powder could be desirable dietary type for the optimum growth of the snail.

탁주양조중 Riboflavin의 소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Quantitative Changes of Riboflavin during Takju Brewing)

  • 김찬조;최우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3권3호
    • /
    • pp.219-222
    • /
    • 1970
  • 탁주 양조에 사용되는 각종 원료중의 Riboflavin을 정량하고 아울러 쌀, 소맥분및 옥수수분을 각각 주원료로 일반 탁주양조법에 따라 담금하여 숙성시까지 그들 술덧중의 Riboflavin의 소장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원료 100g중의 Riboflavin함량 (${\gamma}$)은 쌀 46.9, 소맥분 67.3, 옥수수분 73.9, 누룩 169.0, 소맥분입곡 87.1, 옥수수분입곡 $84.4{\gamma}$이었으며 쌀소맥분 및 옥수수분중의 함량은 증자에 의하여 약 $30{\sim}40%$파괴됨을 보였다. 2. 누룩단용법의 쌀및 소맥분구의 각술덧에서 Riboflavin의 소장은 같은 경향을 보여 3일까지 감소하였다가 이후 다시 증가하며 5일째에 가서 급격히 증가하여 6일째에 약간 감소하는 소장을 보여 결국 양 숙성술덧 100ml중의 Riboflavin함량은 누룩단용법의 쌀구에서 $82{\gamma}$, 소맥분구에서 $72{\gamma}$를 보였으며 누룩및 입곡혼용법의 소맥분및 옥수수분구의 각술및에서는 초기부터 감소하지 않고 기복이 있는 증가의 경향을 보이다가 역시 5일째에 현저히 증가되며 6일째에 다시 감소하여 결국 양 숙성술덧 100ml중에는 소맥분구에서 $88.6{\gamma}$ 옥수수분구에서 $83.6{\gamma}$이었다. 3. 각숙성술덧으로 제성한 탁주 100ml중에는 Riboflavin 이 누룩단용법구들에서 $28.8{\sim}41{\gamma}$, 누룩및 입곡혼용법구들에서 $33.6{\sim}44.5{\gamma}$ .함유됨을 알 수 있었다. 5. 누룩단용법의 쌀구및 소맥분구의 지게미 무수물 100g중에는 Riboflavin이 각각 $47.3{\gamma}$$66.2{\gamma}$함유되었으며 누룩및 입곡혼용법의 소맥분구및 옥수수분구의 것에는 각각 $64.5{\gamma}$$62.9{\gamma}$ 함유되었다.

  • PDF

탁주 양조중 Thiamin의 소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quantitative changes of thiamin during Takju brewing)

  • 김찬조;최우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3권1호
    • /
    • pp.105-109
    • /
    • 1970
  • 탁주 양조에 사용되는 각종원료중의 Thiamin과 쌀, 소맥분 및 옥수수분을 주원료로 일반 탁주양조법에 따라 담금하여 숙성시까지 술덧중의 Thiamin의 소장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원료 100g중의 Thiamin 함량 $({\gamma})$은 쌀 107.8 소맥 분 185.0 옥수수분 410.2 누룩 347.4 소맥분입곡 170.1 옥수수분입곡 257.,3 이었으며 쌀, 소맥분 및 옥수수분중의 함량은 증자에 의하여 $40{\sim}50%$ 파괴됨을 보였다. 2. 쌀, 소맥분 및 옥수수분을 주원료로 하여 각각 담금한 술덧에서 Thiamin의 소장은 각 술덧에서 같은 경향을 보여 누룩단용법의 양구에서 담금 후 1, 2일 사이에 급격히 감소하며 이후 숙성시까지 큰 변동이 없었고 입곡혼용법의 양구에서는 담금초기에 누룩단용법구들에 비하여 감소율이 훨씬 적었다. 또한 각 숙성 술덧 100ml중의 함량은 누룩단용법의 쌀구에서 약 6${\gamma}$, 소맥분구에서 7.5${\gamma}$였고 입곡혼용법의 소맥분구에서 약 $12,4{\gamma}$, 옥수수분구에 서 15.4 ${\gamma}$ 였다. 3. 각숙성 술덧으로 제성한 탁주 100ml중에는 Thiamin이 누룩단용구들에서 $2.4{\sim}3.5{\gamma}$, 입곡혼용법구들에서 약 $5{\sim}7{\gamma}$ 함유됨을 알 수 있었다. 4. 각숙성 술덧의 지게미 100g중에는 Thiamin이 누룩단용법의 쌀구에서 약 $43.7{\gamma}$, 소맥분구에서 $56.1{\gamma}$ 그리고 입곡혼용법의 소맥분구에서 약 $57.5{\gamma}$. 옥수수분구에서 $81.4{\gamma}$ 함유되었다.

  • PDF

미성숙 전곡립 미숫가루와 이를 첨가한 쿠키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isutkaru and Their Cookies Made with Immature Whole Green Rice and Barely)

  • 이아영;김예슬;이정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805-1812
    • /
    • 2013
  • 미성숙 전곡립인 녹색쌀과 녹색보리로 미숫가루를 제조하여 품질 및 조리 가공 적성을 조사하고, 미숫가루 30% 첨가된 쿠키를 제조한 후 품질 및 관능특성을 평가하였다. 녹색쌀과 녹색보리로 제조된 미숫가루는 대조군인 완숙 곡립의 현미와 찰쌀보리 미숫가루보다 각각 높은 WAI와 점도를 나타내었다. 녹색쌀과 녹색보리 미숫가루의 환원당은 ${\alpha}$-amylase에 의한 가수분해 시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어 완숙곡립 미숫가루보다 소화율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녹색쌀과 녹색보리 미숫가루 30%를 첨가하여 제조한 쿠키는 밀가루 100%의 대조군 쿠키보다 단단하고 퍼짐성지수가 감소되고, 어두운 갈색을 띠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미숫가루 첨가군들 중에서 녹색쌀을 함유한 쿠키는 녹색보리를 함유한 쿠키보다 유의적으로 밝고, 감소된 황색과 적색을 나타내었다. 미숫가루에 우유와 꿀을 혼합한 음료의 관능검사 결과 미성숙 곡립인 녹색쌀과 녹색보리는 대조군보다 고소한 맛이 적고 풋내가 강하여 전체적인 기호도는 낮게 평가받았지만, 녹색보리 미숫가루 쿠키의 경우 대조군인 밀가루 쿠키와 비교하여 색상을 제외한 모든 관능평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어, 미성숙 전곡립인 녹색보리로 제조된 미숫가루를 쿠키를 비롯한 다양한 베이커리 제품에 첨가할 경우 고소한 맛과 향이 부여된 건강 기능성 가공식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료맥류의 생육단계별 헤일리지 사료가치 및 발효품질 (Feed Value and Fermentative Quality of Haylage of Winter Cereal Crops for Forage at Different Growing Stages)

  • 송태화;박태일;한옥규;김기종;박기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19-428
    • /
    • 2012
  • 이 연구는 동계 사료맥류를 활용하여 건초대용 양질 헤일리지의 생산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맥종별 수확시기, 적정 건조시간 및 헤일리지 품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건물수량과 TDN 수량은 높아지는 경향이었고, 단백질과 NDF, ADF 함량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0.05). 헤일리지 조제를 위한 건조시간은 청보리, 귀리, 트리티케일, 총체밀 모두 유숙기에는 수분함량이 높음과 동시에 기상온도도 높지 않으므로 32시간 이상 예건이 필요하고, 황숙기에는 8~24시간 정도 예건이 필요하며, 완숙기에는 예건이 필요 없었다. 호밀은 출수 후 10일에는 32시간 이상, 출수 후 20일, 30일에서는 24시간 이상 예건이 필요하였다. 헤일리지 발효품질에서 pH는 모든 맥종에서 모두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젖산함량은 유숙기에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다(p<0.05). 초산도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낙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사료맥류로 헤일리지 조제 시 단백질함량이나 발효품질 면에서는 수확이 빠를수록 유리하지만 우리나라 기상조건으로 볼 때 예건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호밀은 청예나 사일리지로 이용을 하고 청보리와 귀리, 트리티케일, 총체밀은 황숙기에 수확하여 8~24시간 정도 예건하면 헤일리지로 이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통곡 찰수수가루 첨가 머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Added with Whole Waxy Sorghum Flour)

  • 배효제;류복미;우관식;서명철;김창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73-478
    • /
    • 2012
  • 통곡 찰수수가루를 10, 30, 50, 100% 첨가한 머핀을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머핀의 조단백질 함량은 군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조회분 함량은 수수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통곡 찰수수가루 첨가가 머핀 반죽의 비중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머핀의 부피는 수수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수수가루 30% 첨가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고 50% 이상 첨가 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수가루 100% 첨가 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L값과 b값은 감소하여 어두운 색을 띄었고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증가하였다. 머핀의 경도는 수수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져 조직이 단단해졌다. 머핀의 관능검사 결과 외관은 수수가루 첨가군들이 대조군보다 낮은 값을 보였고 수수가루 100% 첨가 군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얻었다. 향미와 맛은 수수가루 50% 첨가군까지는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수가루 100% 첨가군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조직감은 수수가루 10% 첨가까지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30% 이상 첨가 시 대조군보다 낮은 점수를 얻었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수수가루 30% 첨가군까지는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50% 이상 첨가 시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통곡 찰수수가루를 첨가함으로써 수반되는 부피와 조직감 저하 등의 품질개선을 위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VALUE OF BARLEY GRAIN AND COTTONSEED CAKE AS SUPPLEMENTS TO FOURWING SALTBUSH, AND THE LIVE WEIGHT GAINS AND WATER CONSUMPTION OF SHEEP FED THE DIETS

  • Rehman, Atiq-ur;Thompson, E.F.;Rafique,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9권6호
    • /
    • pp.647-650
    • /
    • 1996
  • Fifteen sheep were used in a trial which compared the feeding value of whole barley gain and cottonseed cake as supplements to a basal diet of leaves of fourwing saltbush (Atriplex canescens). Diet SB contained 700 g (air-dry matter) of saltbush alone, diet SB + BG contained 700 g SB with 400 g whole barley grain and diet SB + CS contained 700 g SB with 400 g cottonseed cake. The digestibility of the dry matter of diets SB (69%) and SB + CS (70%) were lower (p < 0.001) than of diet SB + BG (76%). Sheep offered SB alone daily lost 80g whereas those fed the other diets gained 11 g (SB + CS) or 17 g (SB + BG) per day. Daily water consumption of the sheep offered the three diets was similar (p > 0.05), but their water consumption was higher (p < 0.001) than that of sheep offered daily 700 g wheat straw and 200 g barley grain. The results indicate that, at the levels of feeding used, barley grain and cottonseed cake had similar value as supplements to fourwing saltbush harvested in summer. The addition of the supplement allowed the sheep to gain some live weight. However, the presence of saltbush leaves in the diet resulted in higher water intakes by the sheep.

합판용(合板用) 요소(尿素), 요소(尿素) 메라민 공축합(共縮合) 및 수용성(水溶性)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 접착(接着)의 증량(増量)에 관(関)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Extension of Urea, Urea-Melamine Copolymer and Water Soluble Phenol Resin Adhesives of Plywood)

  • 이필우;권진헌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40-50
    • /
    • 1980
  • 본(本) 연구(硏究)는 합판공장(合板工場)에서 증량제(増量剤)로 사용(使用)하고 있는 도입소맥분(導入小麥粉)을 국내(国內)에서 값싸게 생산(生産)할 수 있는 증량제(増量剤)로 대체(代替)키 위한 가능성(可能性)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実施)되었다. 증량재료(増量材料)로는 주(主)로 삼립부산물(森林副産物)을 이용개발(利用開発)키 위(爲)해서 밀가루, 목분(木粉), 수피(樹皮), 소나무낙엽(落葉), 포푸리낙엽(落葉)을 택(擇)하였으며 각각(各各) $100{\sim}105^{\circ}C$에서 24시간(時間)동안 전건(全乾) 시킨 다음 60~100mesh로 분쇄(粉碎)하였다. 증량방법(増量方法)은 요소수지(尿素樹脂)와 요소(尿素)-melamine 공축합수지(共縮合樹脂)는 소맥분(小麥粉), 목분(木粉), 수피분(樹皮粉), 포푸라낙엽분(落葉粉)을 각각(各各) 10, 20, 30, 50%로 증량(増量)하였으며 수용성석탄산수지(水溶性石炭酸樹脂)는 소맥분(小麥粉), 목분(木粉), 수피분(樹皮粉), 소나무낙엽분(落葉粉)을 각각(各各) 10, 20, 30, 50%로 증량(増量)하였다. 본(本) 연구(硏究)에서 얻은 결론(結論)은 다음과 같다. 1. 요소수지(尿素樹脂)에 있어서는 상태(常態) 및 내수접착력(耐水接着力) 모두 소맥분(小麥粉)을 능가(能加)하는 증량제(増量剤)가 없었다. 2. 요소(尿素)-melamine 공축합수지(共縮合樹脂)에 있어서 접착력(接着力)은 요소수지(尿素樹脂)보다 대체로 모두 양호(良好)하였으나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에 있어서 소맥분(小麥粉)보다 좋은 접착제(接着剤)는 없었다. 3. 요소(尿素)-melamine 공축합수지(共縮合樹脂)에 있어서 내수접착력(耐水接着力)의 경우 10, 20%증량(増量)에서 포푸라낙엽분(落葉粉), 소맥분(小麥粉), 목분(木粉)이 가장 양호(良好)했으며 이들간(間)의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는 없었다. 4. 수용성석탄산수지(水溶性石炭酸樹脂)의 경우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은 10% 증량(増量)의 경우 소맥분(小麥粉)보다도 소나무낙엽분(落葉粉)이 더 양호(良好)하였으며 20% 증량(増量)의 경우도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는 없었다. 5. 수용성석탄산수지(水溶性石炭酸樹脂)의 경우 내수접착력(耐水接着力)은 10% 증량(増量)의 경우 목분(木粉)이 소맥분(小麥粉)보다 우수(優秀)했으며 20, 30, 50% 증량(増量)의 경우 목분(木粉) 및 수피분(樹皮粉)은 소맥분(小麥粉)보다도 양호(良好)하였다.

  • PDF

한국식단의 식품배합을 통한 단백질의 질적상승효과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Protein Quality by Food Combinations in Korean Diet)

  • 김성애;이양자;이기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7권4호
    • /
    • pp.262-272
    • /
    • 1984
  • A study on the balance of essential amino acids in Korean diet and further investigation on quality of protein through optimum combination of foods using the least square method based on FAO/WHO (1973) provisional score patterns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e optimum gross combina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irst limiting amino acids of the Korean diet was found to be methionine and cysteine based on both whole egg and FAO/WHO (1973) provisional score patterns. 2) Weight ratios between rice and beef, chicken, pork, rabbit meat are 7 : 3, 4 : 1, 4 : 1, and 3 : 1. The amino acid score and the least amino acid are 100(phe+tyr), 99(thr), 111(trp), and 109(leu) for each combination. This result indicates that pork and rabbit meat can be high quality protein sources for the rice eating people. 3) Weight ratios between rice and anchovy, saury, ark shell, pollack, cuttle fish, tuna and herring are 2 : 1, 5 : 1, 3 : 2, 3 : 1, 3 : 1, 4 : 1, and 3 : 1. 4) Weight ratios between potato and rice, wheat flour are 8 : 1 and 24 : 1. Lysine, the limiting amino acid of rice and wheat flour can be complemented by combining these with potato. 5) It is possible to apply this idea on typical Korean dishes. For example, in case of soybean-sprout rice the optimum combinations of rice : soybean-sprout : pork and rice : soybean-sprout : beef are 4 : 1 : 1 and 11 : 1 : 5. It is of utmost importance to pursue further more desirable combinations with more complex food items and transform the result obtained by the computer analysis into more practical terms for practical u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