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 pan bread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4초

설탕 대체제로 야콘 농축액을 사용하여 제조한 식빵의 저장 중 물성변화 (Quality Characteristic Changes during Storage of Bread Prepared by Addition of Yacon Concentrates as Sugar Substitute)

  • 이규희;김원모;김미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7-113
    • /
    • 2013
  • Yacon (Smallanthussonchifolius) is a root crop that contains high amounts of fructo-oligosaccharides (FOS). FOS has a sweet taste, is low in calories, and is known to promote intestinal tract health. In this study, various yacon concentrates were substituted for sugar in white pan bread to obtain healthy benefits from the use of FOS. The quality characteristic changes during storage of the white pan breadswith 0, 25, 50, 75 and 100% of added yacon concentrates instead of sugar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the water contents and water activities of the breads made with high amounts of yacon concentrates changed less than in those made with only sugar. The hardness and chewiness of the breads made with high amounts of yacon concentrates had lower values than those made with only sugar. Thus, bread made with yacon concentrates might exhibit increased moisture retention and decreased aging velocity. The substitution of yacon concentrates for sugar in pan bread improved the bread quality.

대봉감 퓨레를 첨가한 우리밀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s Made from Domestic Wheat Flour Added with Deabong Persimmon Puree)

  • 임전순;김지명;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695-703
    • /
    • 2014
  • Daebong persimmon puree (DPP) prepared from removing the astringency of persimmon was used as a substitute for water when making the dough of white pan bread using domestic wheat flour, and the resulting,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The moisture content of DPP was 96.69%, and the dough was made by various levels of substitution of DPP for water (0, 10, 30, 50 and 100%). During fermentation, the expansion power of the dough decreased with increasing DPP levels (p<0.05). The volume, specific volume, baking loss, and the L and ${\Delta}E$ values of the crust and crumb of the breads also decreased with increasing DPP levels. The hardness and chewiness of the bread containing 100% DPP (without water) showed the highest values, but the springiness, cohesiveness and resilience showed the opposite trends. In the difference tests, all attributes except air cell uniform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Bread made with 100% substitution of DPP for water achieved the highest scores for flavor,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비타민나무열매가루 첨가 식빵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White Pan Bread Added with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s L.) Berry Powder)

  • 이종숙;김정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73-48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bread added with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berry powder (SBBP) (1, 3, and 5%) using a straight dough method. The quality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were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H value and dough raising power of the dough decreased an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bread added with SBBP increased compared to that without the SBBP. The crust color of the bread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However, the crumb lightness value decreased and the redness and yellowness value increased respectively to the concentration of the SBBP. The texture measurement indicated that th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the bread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the SBBP.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bread supplemented with the SBBP was increased (4.60~16.14 mg GAE/g) compare to the control (1.67 mg GAE/g). Dose-dependent, significant-high DPPH (26.86%) and ABTS (42.52%)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observed in the bread with the addition of the SBBP up to 5%. Based on these results, the optimum amount of the SBBP to add for baking bread would be 3% and the SBBP could be considered a functional agent.

Chitosan을 첨가한 혼합 소맥분이 식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Chitosan-added Wheat Flour on the Bread Quality)

  • 윤미숙;이정훈;김석영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3-54
    • /
    • 2002
  • 식빵의 기능성 강화를 위하여 밀가루에 chitosan을 1, 3, 5% 첨가하여 반죽의 발효력, 빵의 부피 및 비용적, 관능검사에 의한 품질평가, 노화진행 등의 분석으로 제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반죽의 발효력은 chitosan 1%, 첨가시 가장 양호하였으며 chitosan 양이 증가할수록 발효는 지연되었다. 2. 빵의 부피는 chitosan 1% 첨가시 가장 양호하였으며 chitosan 양이 증가할수록 부피가 작았고, 비용적도 chitosan 1% 첨가시에 가장 높은 값을 타나냈다. 3. 노화 진행 정도는 chitosan 1% 첨가시 가장 느리게 진행되었다. 4. 관능검사에 의한 빵의 품질 평가는 chitosan 1% 첨가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로 chitosan을 1%, 첨가시 제빵 적성이 양호하였을 뿐만 아니라 chitosan을 함유한 기능성 식빵 개발이 가능한 것을 보여주었다.

  • PDF

소금 스트레스 방법으로 처리한 이스트를 사용한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Using the Salt-Stressed Yeast Method)

  • 이준열;이광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66-276
    • /
    • 2012
  • 본 연구는 이스트의 소금 스트레스 시간이 반죽의 발효와 제품의 특성에 미치는 결과를 분석하여 산업적으로 이용하고자 이루어졌다. 반죽의 가스 생성율과 발효율, pH, 부피, 비용적, TPA, crumScan, 색도와 관능검사 등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반죽의 가스 생성율과 발효율을 살펴본 결과 침지시간이 45분일 때 가장 가스 보유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침지시간이 15분, 30분, 45분의 pH 값이 5.74로 빵을 만들기에 가장 적절한 값이었다. 부피와 비용적은 45분이 가장 좋았으며, 조직감 분석결과 대조구의 경도가 가장 낮고 부드러웠으며, 탄력성은 크게 차이가 없었다. CrumScan결과 기공의 조밀도는 대조구가 가장 낮았으며, 기공의 찌그러짐 정도는 45분이 가장적었다. 색도 분석 결과는 L값은 75분, a값과 b값은 15분이 가장 높았다. 관능검사에서는 질감, 향, 식감, 맛에서 가장 기호도가 높은 침지시간 45분이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도 역시 가장 선호되었다.

  • PDF

${\beta}$-Glucan 첨가가 식빵의 물리적 및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eta}$-Glucan on Rheological Proper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 이정훈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27-238
    • /
    • 2012
  • 미생물 발효로 제조한 ${\beta}$-glucan을 밀가루의 3, 6, 9%를 대체 첨가하여 반죽의 물리적 특성으로 farinograph, amylograph를 분석하였고, 제빵에 미치는 영향으로 식빵의 부피 및 비용적, 수분함량, 조직감, 관능검사 등을 분석하였다. Farinograph에서 ${\beta}$-glucan 첨가량이 많을수록 흡수율이 높았고 특히 9%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13% 정도 높았다. 첨가량이 많아짐에 따라 반죽형성시간도 증가하였으나 안정도는 감소하였다. Amylograph 분석에서 첨가량에 관계없이 호화온도와 최고점도온도에는 영향이 없었으나 최고점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식빵의 부피와 비용적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분함량은 시험구들이 대조구보다 높았고 6%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다. 식빵의 조직감도 6% 첨가구가 가장 부드러운 것으로 나타났고, 관능검사의 전체적 품질에서 3%와 6% 첨가구는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9%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낮은 점수를 얻었다. 따라서 건강 기능성 식빵을 제조하는데 미생물 발효로 얻은 ${\beta}$-glucan을 6%까지는 첨가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고 향 후 케이크나 쿠키 등에도 응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 PDF

석류 분말을 첨가한 식빵 반죽의 물리적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by Pomegranate with Added Pomegranate Powder)

  • 신순례;신솔;신길만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92-498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white pan bread prepared with pomegranate powder. Three different powder concentration levels of 1%, 2% and 3% were added to flour to make the bread. The contents of moisture and crude fat contents of the bread added with to which pomegranate powder was added wer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ash content was not did not significantly different differ significantly among groups. The pH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pomegranate powder concentration. The weight of bread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pomegranate powder concentration, while whereas the volume and baking loss rate of bread concomitantly decreased. In terms of color values, with increase increases in of the concentration of pomegranate powder concentration, induced a reduction in the L value decreased, but and a concomitant increase in the a and b values increased. The water activity in the bread decreased by with increasing pomegranate powder concentration, and was the highest in the control group. In the Upon texture analyzer measurement analysis, the hardness of the bread was shown to increased increase with increases of in the concentration of pomegranate powder concentration, but the springiness decreased. In the With regard to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the quality of the 1% pomegranate powder bread showed the evidenced the highest in taste,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 color, appearance, mouth feel, and texture of the bread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pomegranate powder content concentrations. Fro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white bread prepared with 1% pomegranate powder content was shown judged to have the best highest quality.

청국장가루를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Chungkukjang Powder)

  • 문성원;박성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33-639
    • /
    • 2008
  • 청국장가루의 첨가가 식빵의 맛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밀가루 양에 대한 청국장가루의 첨가량을 0, 0.5, 1.0, 1.5%로 하여 식빵을 제조한 후 $20^{\circ}C$에서 3일간 저장하면서 식빵의 부피, pH, 색도, 총균수 및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식빵의 부피는 청국장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다. 식빵의 pH는 저장일 동안 첨가구간에 거의 변화가 없었다. 식빵의 명도는 청국장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저장일이 증가함에 따라 첨가구별로 모두 감소하였다. 적색도와 황색도는 청국장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저장일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첨가구에서 황색도는 감소하였고, 적색도는 증가 하였다. 총균수는 저장일이 증가함에 따라 대조구는 증가하였고, 청국장가루 첨가구는 모두 초기 총균수를 유지하였다. 관능적 특성은 기호도 특성에서 색, 기공 상태, 냄새와 부드러운 정도가 청국장가루 0.5%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강도 특성에서 색과 냄새 모두 청국장가루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은 점수를 받아 상대적으로 색은 진하고, 냄새는 강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식빵에 청국장가루의 첨가량은 0.5%가 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꿀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Honey)

  • 김은지;이광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47-160
    • /
    • 2013
  • 본 연구는 꿀 첨가가 반죽에 미치는 영향과 식빵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반죽의 mixograph, 발효율, pH, TPA, 비용적, 색도, 수분함량, 수분활성도, 보존성, 관능검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Peak time의 경우 모든 시료들이 3~5분 사이에 있고, peak value는 모든 시료가 60%이상으로 제빵 적성에 적합하였다. 발효율은 60분부터 135분까지 HL100이 가장 좋았다. 부피와 비용적은 HL100이 가장 좋았다. 조직감 분석 결과 HL100의 경도가 가장 낮고 부드러웠으며 탄력적이었다. 72시간동안 저장한 결과 HL100이 가장 부드럽고 촉촉하게 유지되었다. 관능검사에서는 질감, 향, 식감 맛에서 가장 기호도가 높았던 HL100이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도 역시 가장 선호되었다. 결과적으로 꿀이 반죽과 빵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제빵에 있어서 꿀이 설탕을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PDF

밀싹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최적화 연구 (A Study of the Optimization of White Pan Bread added with Wheat Sprout Powder)

  • 주신윤;박종대;최윤상;성정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1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ization mixing ratio of wheat sprout powder (WSP) and hemicellulase for the preparation of white pan bread. Using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independent variables were WSP and hemicellulase. Dependent variables wer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tioxidant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Water binding capacity of dough increased with increasing WSP. Color valu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WSP. L value decreased and a, b values increased as WSP increased. The adjusted determination coefficient of texture analysis was calculated to be 0.7230~0.9446 having the p-value less than 0.1. Specific volume of bread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hemicellulase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WSP.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polyphenol were represented by a linear model and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WSP. Sensory evaluation were represented by a quadratic model. In conclusion, the optimal formulation for WSP added bread, as assessed by numerical and graphical optimization methods, was WSP 2.36%, hemicellulase 0.069% per wheat flour 100 g.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WSP can be used as health-oriented material in the bread industry. This is also expected to meet demands of consumers who are in the pursuit of healthy f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