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 Platanu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Variant Identification in Platanus occidentalis L. Using SNP and ISSR Markers

  • Lee, Jin-Young;Han, Mu-Seok;Shin, Chang-Seob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08-31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variant of Platanus occidentalis, whose bark looks white, also can be classified as P. occidentalis and to examine its genetic difference from the general P. occidentalis. For the variant identification of P. occidentalis, SNP and ISSR analysis were used in this study. Thirteen samples of P. occidentalis white variant were collected in Cheongju and 24 samples of normal P. occidentalis obtained in Cheongju, Pyongtaek, Ansan, Suwon, Osan and Jincheon area. ITS 1 and ITS 2 sequences of white variants were identical with those of P. occidentalis. We could not find any sequence difference between normal and white P. occidentalis. So we concluded that the white variant belongs to normal P. occidentalis even their bark is white and peeled easily. By ISSR test, 98 amplicons were acquired using 10 primers. P. occidentalis and white P. occidentalis showed different band patterns from the UBC #834. According to the result of Nei (1979)'s genetic distance analysis, the members of white P. occidentalis were grouped more tightly than the members of normal P. occidentalis. The UPGMA dendrogram shows that the variant and P. occidentalis divided widely into two group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henotype of P. occidentalis white variant is caused by genetic factors rather than by environmental factors.

중부지방 낙엽조경수목의 열매색 특성 및 지속 기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ruit color characteristics and persisting period of deciduous woody landscape plants in Middle area of Korea)

  • 서병기;심경구;정해준;심재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44-154
    • /
    • 1995
  • The fruit color characteristics and persisting period of deciduous woody landscape plant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field survey in Suwon region from January 1, 1992 to March 20, 1993.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was as follows; The total fruit color persisting period was about 320 days from May 1, 1992 when Prunus mume was beginning of fruit coloring, to March 20, 1993 when the fruits of Platanus occidentalis and platanus X acerifolia were persisting. And the plants of fruit persisting period over 60 days after leaf falling were Vibumum erosum, Ilex serrata, Ilex verticillata 'Christmas Cheer', Platanus X acerifolia, Platanus occidentalis, Berberis thunbergii 'Atropupurea', Ligustrum obtusifolium. According to the KBS standard color number, 52.6% of of the fruit color were red, 18.9% yellow, 11.6% black, green 9.5%, white 2.1%, violet 1.1%, and red is followed black 4.2%. Evodia daniellii, Ilex verticillata 'Christmas Cheer', Ilex serrata, Ginkgo biloba, Lindera obtusiloba, and Lindera erythrocarpa should be planted male and female species together for fruits. We got the new information on the fruit color characteritics and persisting period of Malus 'Hopa', Malus 'Almey', Malus 'Pioneer X', Acer rubrum, Malus prunifolia, Pyrus serotina, Berberis thunbergii 'Atropurpurea', Vibumum rhytidophyllum, Rosa spp. Vitis vinifera, Vaccinium angustifolium, Ilex verticillata 'Christmas Cheer', Magnolia stellata, Aronia arbutifolia, Sorbus alnifolia, Lonicera japonica var. aueroreticulta, and Ligustrum X vicaryi. And we need to introduce new cultivars of woody landscape plants including Malus spp, Berberis spp, Sorbus alnifolia yellow autumn leaf clone etc. for the better planting design. The fruit persisting period of woody landscape plants studied by fruit name was that sorosis 276 days, samara 155 days, legume 153 days, hip 133 days, pome was 124 days, drupe 92 days, berry 73 days, capsule 67 days, follicle 55 days and nut 52 days respectively.

  • PDF

서울시 가로수 역사와 수목 고찰 (A Study on the History and Species of Street Trees in Seoul)

  • 송석호;김민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8-67
    • /
    • 2020
  • 본 연구는 서울시 가로수의 역사적 가치를 지닌 수종 선정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고문헌에 기록된 가로수 역사와 수종을 고찰하였다. 또한 다양한 수종 대안을 위해 전통조경수목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가로수 역사는 고구려 양원왕(陽原王) 2년(546), 고려 명종 27년(1197) 등에 가로수로 추정되는 기록이 남아있으나 사료적 명료성은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조선 초 세종 23년(1441)에는 국가의 역로(驛路)에 표목(標木)으로 가로수를 심은 것이 확인되며, 표목으로 식재된 가로수는 느릅나무와 버드나무가 확인된다. 조선 초 가로수제도의 시행은 단종 1년(1453) 기록으로 알 수 있으며 큰길 좌우로 소나무, 잣나무, 배나무, 밤나무, 회화나무, 버드나무 등이 식재되었고, 세조 5년(1459)에는 길가에 뽕나무를 심었다. 영조 연간에 그려진 정선의 『압구정』이나 『진헌마정색도』에는 가로수가 열식되어 있으며 이는 왕들의 행차, 한양 출입의 주요 도로, 마장(馬場)의 장소성, 수해에 따른 도로 보호와 표식 등의 복합적인 요인이 고찰되었다. 정조 연간에는 왕의 능 행차에 연관되어 소나무, 전나무, 버드나무 등의 가로수를 열식한 사례가 두드러지며, 이는 왕이 지나는 연도(輦道)와 해당 능역을 성역화하려는 가로수 식재기법으로 보았다. 개항 이후 고종 32년(1895)에는 국가에서 도로 좌우에 가로수를 심을 것을 장려하였고, 근대적 가로수 식재개념이 도입되었다. 당시 한양의 가로수는 사시나무가 속성수로써 주요하게 식재되었다. 서울시 가로수로 활용 가능한 고문헌 출현 교목은 삼국시대 17분류군, 고려시대 31분류군, 조선시대 55분류군이 추출되었으며, 16분류군은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모두에서 중복적으로 3회 출현한 수목으로 역사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외래수종이 유입되고 법제가 변화하면서 가로수제도의 현대적 수용이 이루어졌다. 1936년 경성부 권역의 확대에 따른 가로수 6개년 식수계획(1934-1940)이 시행될 당시 경성의 10대 가로수 수종은 '모니리페라'로 불린 현재 미루나무의 아종, 이태리포플러, 사시나무, 은백양 등의 포플러류가 1~4순위로 가장 많이 식재되었으며 수양버들, 아까시나무, 버즘나무, 양버즘나무, 은행나무, 네군도단풍이 5~10순위로 나타났다. 1930년대 중후반부터 버즘나무와 양버즘나무가 새로운 가로수로 소개되며 대규모 식재되기 시작하였고, 1942년부터는 피마잠의 장점이 있는 가죽나무를 가로수로 권장하기도 하였다. 해방 이후 1957년 가로수 수종은 양버즘나무, 은행나무, 이태리포플러, 가죽나무, 미루나무, 수양버들 순으로 나타나 일제강점기 수종들의 순위변화를 보였으며, 양버즘나무와 은행나무의 비중이 높은 점에서 당시의 식재 경향이 현재까지도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녹지에 의한 미기후개선의 기능 (Function of Microclimate Amelioration by Urban Greenspace)

  • 조현길;안태원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3-28
    • /
    • 1999
  • This study measured transpiration rate of urban trees and albedos of urban surfaces, and examined the function of microclimate amelioration by urban greenspace. Transpiration rates of trees were highest in July and August of growing months. Transpiration per unit leaf area for the two months was 300-350 g/$m^2$/h for Platanus occidentalis, 210-270 g/$m^2$/h for Ginkgo biloba and Zelkova serrata, and 130-140 g/$m^2$/h for Acer palmatum. Surface albedos were 0.09 for asphalt paving and 0.68 for white wall, which reveals that light-colored surfaces are better than dark-colored ones to lower the heat build-up. Due to lack of evapotranspiration, concrete surfaces were, at t midafternoon maximum, 8$^{\circ}C$ hotter than grass ones, though the albedo of concrete paving was higher thant that of grass and trees. Summer air temperatures at places with 12% and 22% cover of woody plants were, respectively, 0.6$^{\circ}C$ and 1.4$^{\circ}C$ cooler than a place with no vegetation. To mitigate the impacts of urban heat islands, required are minimization of hard surfaces, light-coloring for building surfaces, and greenspace enlargement including more plantings.

  • PDF

목질탄화물을 이용한 미네랄수 제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Manufacture of Mineral Water with Wood Charcoals)

  • 신수정;김병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460-466
    • /
    • 2014
  • 목탄을 이용한 미네랄수의 제조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목탄의 무기성분 용출 및 수소이온농도 및 잔류염소흡착 성능을 조사하였다. 무기성분 용출은 탄화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칼륨의 경우 용출량이 높아지나, 나머지 무기성분들의 경우 차이가 적었다. 무기성분 용출량은 각 수종에서 칼륨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고 다음으로는 나트륨, 칼슘 순으로 나타났고, 수종 간에는 칼륨의 경우 활엽수인 굴참남무와 버즘나무가 침엽수인 소나무, 낙엽송 및 잣나무에 비하여 현저히 높게 나타났고, 나머지 무기성분은 수종간 칼륨만큼 큰 차이는 없었으나 칼륨과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수소이온농도는 활엽수인 버즘나무($600^{\circ}C$의 경우 pH 8.5)와 굴참남무(pH 8.4)가 높게 나타났고, 낙엽송(pH 7.8), 소나무(pH 7.2), 잣나무(pH 7.0)가 앞의 두 수종보다 낮은 값을 나타냈다. 염소제거량은 모든 수종에서 대조구보다 높은 제거량을 나타냈고, 침엽수인 잣나무와 소나무가 활엽수인 낙엽송, 버즘나무, 굴참나무보다 높은 제거율을 나타냈다. 분말목탄과 각형목탄 간 무기성분 용출량 및 수소이온농도에서 차이가 없으므로, 목탄을 이용한 미네랄수 제조에는 분말목탄보다 제조도 용이하고, 용출 후 처리도 용이한 각형목탄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