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 Pigments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9초

A Characteristic Analysis on Clay Pigments of Mural Paintings in Sri Lanka

  • Yoo, Seon-Young;Seneviratne, Buddakoralelage Janani Namal;Kim, Gyu-Ho
    • 보존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27-333
    • /
    • 2022
  • Sri Lanka has four types of mural painting styles; Classic, Late Classic, Kandyan, and Southern styles, but there is little research on scientific analysis for mural paintings. In this study, we analyze white, yellow, and red clay pigments which were collected from ancient producing sites. Analyzing pigment samples shows that samples are containing aluminum oxide(Al2O3) and silicon dioxide(SiO2) which are connected to the soil. And a degree of iron oxidation determines yellow or red color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lay pigment samples, we go over previous pigment analyses of mural paintings in Sri Lanka. Kaolin is identified after the 17th century, yellow and red ochre are applied in early periods, Classic and Late Classic styles. The change in raw materials of pigments occurred in the 17th century.

채색문화재에 적용된 전통 황색 광물안료 석황의 채색 특성 (The Discoloration Characteristics of Orpiment used as Traditional Yellow Mineral Pigments in Painting Cultural Properties)

  • 도진영
    • 광물과 암석
    • /
    • 제36권1호
    • /
    • pp.1-17
    • /
    • 2023
  • 전통 황색 광물안료 석황이 적용된 채색문화재에서 석황부위의 색상변질이 빈번히 발생된다. 채색문화재에서 변색되는 원인을 밝히고자 석황과 석황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몇가지 안료를 분말과 채색상태로 제작하여 연구하였다. 석황에 연백, 연단, 주사를 비율에 따라 혼합한 후 아교에 넣어 한지와 견에 채색하였다. 명반으로 발생할 수 있는 변색을 고려하기 위해서 채색시편에 대해 명반처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편들의 내구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외선시험기로 내광성시험을 3단계, 총 96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시험을 거친 시편에 대하여 색도계를 사용하여 색변화를 측정하였으며, XRD와 Raman 스펙트로메터로 광물과 구조변이, SEM/EDS로 화학성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내광성시험에 따른 순수 석황 분말의 색변화는 적었던 반면, 채색시편에서는 약간 어두워졌다. 견바탕에 채색한 것의 색변화가 컸으며, 명반이 처리된 시편의 색변화가 컸다. 석황분말에서는 자외선시험 후 orpiment가 변질된 백색의 arsenolite가 생성되었다. 석황-연백 혼합분말에서는 석황과 연백의 구성광물만이 검출되었고, 변질물질은 생성되지 않은 반면, 자외선시험 후에는 orpiment와 orpiment의 변질물인 arsenolite, 그리고 연백의 구성광물이 검출되였다. 두 안료의 분말상태의 혼합에서는 자외선시험에 의해서도 암흑화현상이 발생되지 않았다. 그러나 혼합분말로 채색된 시편은 자외선시험에 의해 암흑화되었다. 채색시편에서 혼합된 안료와 바탕재에 따라 석황의 색상 변화가 다르게 나타나며, 명반처리한 경우는 안한 경우보다 큰 색변화를 보여 명반도 석황의 색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불국사 대웅전 석가모니후불탱화 안료의 과학적 분석 (A Scientific Analysis of Pigments for A Scroll Painting in Daeungjeon Hall of Bulguk Temple)

  • 김소진;한민수;이한형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3호
    • /
    • pp.212-223
    • /
    • 2012
  • 고대부터 회화 장신구 장식품 무기 일상용품 등에 사용된 안료는 시대 제작기법 문화이동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물질로, 우리나라에서는 1963년부터 분석을 통해 안료의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최근에는 휴대용형광X선분석기를 사용하여 안료에 손상을 주지 않고 성분분석을 실시하여 고대 안료 물질을 밝히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편적인 연구로는 시대별, 지역별 안료의 쓰임 및 사용시기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안료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조성시기가 전해지는 불국사 대웅전 석가모니후불탱화의 안료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안료를 밝히는 한편, 시대와 지역이 비슷한 조선시대 불화 안료와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성분분석 결과와 기존의 연구자료를 종합해본 결과, 불국사 대웅전 석가모니후불탱화는 연백을 이용해 배채하였으며, 채색안료로는 연백, 주사, 연단, 구리 화합물인 석록(혹은 동록, 녹염동광), 철산화물인 석간주 및 금분 등을 이용하여 색을 표현한 것으로 판단된다. 불국사 대웅전 석가모니후불탱화에 사용된 안료들은 전통안료를 혼합하여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나 모든 안료에 대해 결정구조를 분석한 것이 아니므로 명확히 판단하기는 어렵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회화 안료의 성분 및 제작특성, 특히 조선시대 불화의 안료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장곡사 미륵불 괘불탱의 채색 재료 분석을 위한 휴대용 라만 분광기의 적용성 연구 (Application of Handheld Raman Spectroscopy for Pigment Identification of a Hanging Painting at Janggoksa Temple(Maitreya Buddha))

  • 이나라;유영미;김소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4호
    • /
    • pp.216-228
    • /
    • 2023
  • 본 연구는 대형불화 현장 조사에 비파괴 조사장비 중 하나인 휴대용 라만 분광기를 적용하고 그 결과를 HH-XRF 데이터와 상호 비교하여 장곡사 미륵불 괘불탱에 사용된 채색 재료를 동정하였다. 대형불화에 사용된 채색 재료 분석시, 현장에서 주로 휴대용 현미경과 HH-XRF를 이용한다. 하지만 채색 재료가 경원소로 구성되어 있거나 여러 안료가 중첩 또는 혼합 채색된 경우, 비파괴 분석 데이터만으로는 해석에 한계가 있다. 또한 문화유산이라는 특성상 수습할 수 있는 시료의 양은 제한적이어서 XRD, SEM-EDS 및 라만 분광을 이용한 정밀 분석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현장 조사 시 HH-XRF 분석 데이터를 보완할 분석기술이 필요하다. 장곡사 미륵불 괘불탱을 대상으로 백색, 적색, 황색, 녹색, 청색 색상별 채색 재료에 대하여 HH-XRF로 성분을 분석하고 휴대용 라만 분광기를 적용하여 분자구조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백색은 연백, 적색은 진사, 석간주, 황색은 등황, 석황, 녹색은 염화동, 청색은 쪽이 사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휴대용 라만 분광기를 적용함으로써 데이터에 대한 교차검증뿐 아니라 HH-XRF로 확인이 어려웠던 혼합 채색된 안료에 대한 식별과 유기안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또한 대형불화 등 회화문화유산의 비파괴 현장 조사에 휴대용 라만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초기 한국 유화의 과학적 조사-동경예술대학 예술자료관 소장 유화 자화상을 중심으로 (An essay on the Korean early oil painting of self-portrait in the museum of Tokyo National Univerity of Fine Arts and Music)

  • 김지희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15호
    • /
    • pp.59-103
    • /
    • 1994
  • Painting is well regarded as a stratified structure by the conservators and restorers. Hence, the scientific method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study of the interal layer of paintings. Examples of such methods are X-ray, infra-red, and ultra-violet photography. A more direct method is to look at the painting in cross section under the microscope and to analyze pigments using an electron probe X-ray micro analyzer(EPMA).In this research, I study and analyze twenty two Korean paintings of self-portraits including the first oil painting of Hui Dong Koh's self-portrait stored in the museum of Tokyo National University of Fine Arts and Music, employing these scientific techniques. The small fragments taken from the ground layers of the early oil paintings(1915∼1942)are analyzed using the EPMA. According to their main materials, the ground layers can be classified into five types ; 1. Lead white layer and double layer of calcium carbonate and lead white, 2. Zinc white with some mixiture of lead white, 3.Titanium white with some barium white, 4. Barium white, 5.Double layer of titanium white and zinc white.

  • PDF

Histopathologic and electron microscopic findings of canine malignant melanoma from the lower limb and digit

  • Woo, Gye-Hyeong;Kim, Ha-Young;Park, Jung-Won;Bak, Eun-Jung;Kim, Jin-Young;Choi, Cheong-Up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33-538
    • /
    • 2007
  • A 16-year-old female mixed dog was submitted for examination at the pathology division of national veterinary research and quarantine service (NVRQS). Grossly, white or grayish spherical, multinodular, firm to friable masses were present in the tibiofibula to the pharenge area of the right limb, and dysphagia, breathing difficulties and tachypnea were shown. Various-sized white or grayish black masses were scattered in lungs and diaphragm and one mass was observed in the trachea and in the jejunum, respectively. Histopathologically, the neoplastic cells were composed of polygonal or spindle shaped cells with various sized round to oval nuclei and abundant cytoplasm. These cells formed lobules or nests separated by fine connective tissue and contained little amount of melanin pigments. Melanin pigments were stained dark gray or black with Fontana-Masson method. Melanosomes were also ultrastructurally demonstrable by electron microscopy. Based on above results, the present case was diagnosed as canine malignant melanoma originating from the lower limb and digit.

Manufacturing Technique of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Mural Painting in Geungnakjeon Hall, Daewonsa Temple, Boseong

  • Yu, Yeong Gyeong;Jee, Bong Goo;Oh, Ran Young;Lee, Hwa Soo
    • 보존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34-346
    • /
    • 2022
  • The manufacturing technique was studied through the structure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walls and the painting layers of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mural of Geungnakjeon Hall, Daewonsa Temple. The mural is painted and connected to the earthen wall and the Junggit, and the wall is composed of wooden laths as a frame, the first and middle layers, the finishing layer, and the painting layer. The first layer, middle layer, and finishing layer constituting the wall were made by mixing weathered soil and s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first layer had a high content of loess below silt, and the finishing layer had a high content of fine-sand and very fine sand. For the painting layer, a ground layer was prepared using soil-based mineral pigments, and lead white, white clay, atacamite, minium, and cinnabar (or vermilion) pigments were used on top of it.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mural was confirmed to belong to a category similar to the soil-made buddhist mural paintings of Joseon Dynasty. However, it shows characteristics such as a high content of fine sand in the finishing layer and overlapping over other colors. Such materi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can constitute important information for future mural conservation status diagnoses and conservation treatment plans.

Decolorization of Blue-Stain by Dual Culture of Blue Staining and Basidial Fungi

  • Pashenova, Natalia;Lee, Jong-Kyu;Cho, Nam-Seok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2호통권130호
    • /
    • pp.65-71
    • /
    • 200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Ophiostomataceae and basidiomycetes fungi during cultures, and whether the basidiomycetes fungi inhibit the growth and decolorize dark pigments of blue staining fungi. The conjoint cultivation was studied on 2% malt extract agar. The ability of basidial cultures to decolorize dark pigments of ophiostomatoid fungi was the main characteristics estimated during this study. More than half of basidial cultures were characterized by deadlock interaction with blue staining fungi. In the dual cultures, where basidial partners were presented by Agaricus bisporus(64), Laetiporus sulphureus(L01/89), Trametes versicolor(09) and unknown fungus(02), antagonism was found at the phase of primary contact of colonies. Replacement interaction resulted usually in decreasing dark colour of substrate was observed for 11 basidial cultures that were belonging mainly to white-rot fungi. Among them Abortiporus biennis(123), Antrodiella hoehnelii(S28/91), Bjerkandera fumosa (137), and Gleophyllum odoratum(124) were 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deadlock-phase: they began to grow over dark colonies of their partners just after primary contact. Basidiomycetes did not affect strongly the pigments of Ceratocystis spp. and Leptographium sibirica isolates, but completely decolorized colonies of Ophiostoma ips and to a smaller degree Ophiostoma minus. Antrodiella hoehnelii(S28/91), Bjerkandera fumosa(137), Gleophyllum odoratum(124) and Trametes versicolor(B18/91) cultures were found to be the most active in decreasing dark color of blue staining fungi colonies. The cultures were recommended for further development as agents of biopulping of wood chips and bio-control of blue stain in woods.

조선시대 심희수 초상화 채색 안료 분석 (Analysis of Pigment on Portraits of Sim Hui-su in Joseon Period)

  • 윤은영;장연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71-578
    • /
    • 2016
  • 심희수 초상화 2점의 채색 안료에 대한 분석과 현미경 관찰을 통해 채색 안료의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비파괴분석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심희수 초상화에 사용된 안료는 색상에 따라 유사한 안료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적색 안료는 진사/주, 연단을 사용하였으며, 청색 안료는 석청, 녹색 안료는 녹염동광, 백색 안료는 연백을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유사한 형식으로 제작된 17~18세기 조선시대 관복초상화 6점과의 채색 안료를 비교한 결과 제작 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적색 안료의 경우 18세기에 제작된 초상화에서 산화철 계통의 안료가 추가적으로 사용된 특징을 보인다. 청색 안료의 차이점은 18세기 초반까지 사용되지 않았던 회청 안료가 18세기 후반에 제작된 초상화에서 확인된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