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eat Flour

검색결과 1,014건 처리시간 0.025초

숙지황 분말을 첨가한 국수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Noodles Added with Rehmanniae Radix Preparata Powder)

  • 민아영;손아영;김현정;신숙경;김미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86-392
    • /
    • 2015
  • 본 연구는 숙지황 분말을 이용한 기능성 면류를 제조하기 위해서 숙지황 분말을 밀가루에 0, 2.5, 5, 7.5% 첨가하여 제조한 국수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성을 조사하였다. 숙지황 분말 첨가가 증가함에 따라 국수의 중량, 부피, 함수율은 감소하였고 탁도는 증가하였다. 색도는 숙지황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b값은 감소하고 a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분 함량은 숙지황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숙지황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국수의 경도는 증가하였고, 탄력성, 응집성, 검성 및 씹힘성은 감소하였다. 숙지황 분말의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아밀로그래프상의 호화개시 온도는 증가하였고, 최고 점도와 최종 점도는 감소하였다. 숙지황 분말 첨가 농도가 높아질수록 polyphenol 함량은 증가하였고, DPPH radical 소거능에서 $IC_{50}$값이 감소하였으므로 숙지황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능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관능검사 결과 숙지황 분말 2.5% 첨가 국수가 전체적인 기호도 및 구입의사에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숙지황 분말을 첨가한 기능성 국수의 개발이 가능하였고 기능성을 고려하였을 때는 숙지황 분말 7.5% 첨가가 가장 그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였다. 하지만 제품 개발 특성상 관능적 특성을 크게 고려하였을 때, 숙지황 분말을 2.5% 첨가하여 국수를 제조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전분질첨가 김치의 숙성중 총 Vitamin C와 환원당 함량의 변화 (Changes in the Contents of Total Vitamin C and Reducing Sugars of Starchy Pastes 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 이귀주;한정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01-206
    • /
    • 1998
  • 전분풀의 첨가가 김치 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세 종류의 김치, 즉 대조군, 밀가루풀 첨가군, 찹쌀풀 첨가군을 1$0^{\circ}C$에서 2주간 저장하면서 발효 중 pH, 산도, 총 vitamin C 함량, 환원당함량 및 김치의 관능검사를 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전분풀을 첨가한군들이 대조군보다 빠른 감소를 보였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산도는 밀가루풀 첨가군, 찹쌀풀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큰 폭으로 증가하여 전분풀의 첨가가 김치 발효를 촉진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찹쌀풀 첨가군보다는 밀가루풀 첨가군에서 산도가 더 빨리 증가되었다. pH 4.0~4.5의 숙성 적기라고 여겨지는 발효 5일째에 총 비타민 C함량은 대조군이21.3~25 mg%, 밀가루풀 첨가군이 21.4~22.2 mg%, 찹쌀풀 첨가군은 19.4~20.4 mg%로 대조군>밀가루풀 첨가군>찹쌀풀 첨가군 순으로 높았으나 발효 말기에는 대조군의 잔존량이 가장 적었다. 김치액의 환원당 함량은 대조군>밀가루풀 첨가군>찹쌀풀 첨가군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최적숙기 인 발효 5일째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이취와 신맛이 가장 적게 나타난 찹쌀풀 첨가군이 전체적인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숙성이 빨리 진행된 밀가루풀 첨가군은 가장 선호도가 낮았다.

  • PDF

Inclusion effect of soybean meal, fermented soybean meal, and Saccharina japonica in extruded pellet for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Reeve 1846)

  • Yun, Ahyeong;Kim, June;Jeong, Hae Seung;Lee, Ki Wook;Kim, Hee Sung;Kim, Pil Youn;Cho, Sung Hwoa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1권9호
    • /
    • pp.26.1-26.8
    • /
    • 2018
  • Inclusion effect of soybean meal (SBM) and fermented SBM (FSM) in extruded pellet for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was compared in abalone farm. Dietary inclusion effect of the combined macroalgae (MA) (Undaria pinnatifida and Hizikia fusiforme) and a single Saccharina japonica on abalone was also compared. Three thousand six hundred juvenile abalone were purchased from a private hatchery and acclimated to the experimental conditions for 2 weeks. Six 5-ton flow-through raceway tanks were used, and abalone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tanks (n = 600 per tank). Three experimental diets were prepared in duplicate. Fish meal, FSM, corn gluten meal, and shrimp meal and wheat flour and dextrin were used as the protein and carbohydrate sources, respectively, in the FSM diet. MA was also included in the FSM diet. FSM and MA in the FSM diet were substituted with SBM at the expense of wheat flour and S. japonica, referred to as the SBM and SJ diets. The experimental diets were pelletized by an extruded pelleter. Water stability of nutrients in the experimental diets was monitored at 12, 24, and 48 h after seawater immersion. The experimental diets were fed to abalone once a day to satiation with a little leftover for 120 days. The retained crude protein and lipid and ash content of the extruded pellets were changed over all period of time. Weight gain and specific growth rate (SGR) of abalone fed the SBM diet were greater than those of abalone fed the FSM and SJ diets. Weight gain and SGR of abalone fed the SJ diet were also greater than those of abalone fed the FSM diet. The longest shell length, widest shell width, highest shell height, and greatest soft body weight were obtained in abalone fed the SBM diet, followed by the SJ and FSM diets. Proximates of the soft body of abalone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experimental diets. In conclusion, SBM was a superior protein source to FSM in extruded pellet for growth performance of abalone. Dietary inclusion of a single S. japonica was superior to the combined inclusion of U. pinnatifida and H. fusiforme in the production of abalone.

까나리 액젓 부산물과 건조 비지를 첨가한 압출성형물의 제조 (Production of Extrudates Formulated from Pacific Sand Lance Sauce By-Product and Dried Biji)

  • 한규홍;김병용;이재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86-193
    • /
    • 2002
  • 까나리 액젓 부산물을 이용하고자 단백질 효율이 뛰어난 건조 비지를 혼합하여 압출성형을 하였고, 통계적 모델링과 분석을 통하여 혼합비에 따른 압출성형물의 최적화를 이루었다. 수학적인 모델과 trace plot을 이용하였을 때 건조 비지는 압출성형물의 단백질을 증가시키고, 까나리 액젓 부산물과 상호작용을 일으켜 절단파손강도를 강하게 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압출성형물내에 건조 비지가 증가함에 따라 회분과 염도는 감소하였고, 각각의 성분이 독립적으로 작용한 지방과 색도는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건조 비지를 첨가한 최적의 압출성형물을 결정하기 위해 각 반응의 canonical 계수를 이용하여 수적 최적화를 한 결과 까나리 액젓 부산물 15.83%, 건조 비지 44.17%, 밀가루 40%로 나타났고, 혼합물 성분 모형을 중첩시킨 모형적 최적화에서는 까나리액젓 부산물 15.74%, 건조 비지 44.26%, 밀가루 40%로 나타났다. 최적화된 압출성형물이 제조하여 동물실험을 하였을때 건조 비지를 첨가한 압출성형물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낮은 식이효율을 보였으나 단백질 함량의 증가가 식이효율에 주요하게 작용하여 대조군과의 차이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쥐치 농축단백질(濃縮蛋白質)의 제조(製造) 및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 4 보 : 말쥐취 농축단백질(濃縮蛋白質)-밀가루 복합분(複合粉)을 이용(利用)한 제빵시험(試驗)- (Studies on the Preparation and Utilization of Filefish Protein Concentrate (FPC) -IV. The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Bread using FPC-Wheat Composite Flour-)

  • 양한철;임왕진;백순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69-276
    • /
    • 1983
  • File fish protein concentrate 를 5%, 10%, 15% 및 20%를 밀가루에 첨가한 복합분(複合粉)을 사용하여 반죽의 20%를 밀가루에 제빵적성을 조사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FPC를 첨가(添加)함에 따라 수분흡수율(水分吸收率)이 증가 하였고 farinograph에서 development time과 stability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2. Extensigraph 측정에서는 FPC를 첨가함에 따라 신장력(伸張力)은 감소(減少)하고 신장저항력(伸張抵抗力)은 증가 하였다. 3. 제빵시 FPC를 첨가(添加)함에 따라 부피가 감소하고 crumb의 조직이 거철어지고 색택이 검어졌다. 4. Headed & gutted FPC 10%에 SSL(sodium stearoyl-2 lactlate) 0.25%, 0.50%, 1.00%, 2.00%를 첨가시험 하였을 때 SSL 0.50%에서 가장 효과적인 결과(結果)를 얻었다. 5. 0.5% SSL 첨가(添加)시 farinograph의 측정(測定)에서는 반죽형성기간이 지연되고 stability가 크게 증가(增加) 하였다. 6. Headed & gutted FPC 5%, 10%, 15%, 20%복합분에 SSL 0.5%를 첨가하였을 때, 10%까지는 그 제품성이 양호하게 개선(改善) 되었으나 그 이상 첨가할 경우에는 개선효과(改善效果)를 보지 못했다. 7. 관능검사(官能檢査) 결과(結果) whole FPC의 경우는 5%까지 headed & gutted FPC 의 경우는 10%까지 첨가 하였을 때 제빵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소맥분식품(小麥粉食品)의 영양학적(營養學的) 연구(硏究) -국산(國産) 인조미(人造米)가 쥐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효과(效果)- (A Nutritional Study on Food of Wheat Flour -Effect of Injomi (Manufactured Rice) on Rat Growing-)

  • 정호권;정동효;박택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291-299
    • /
    • 1972
  • 쥐의 성장률변화(成長率變化)에 있어서 백미사료(白米飼料)는 쌀과 대맥(大麥) 소맥분(小麥粉)등이 여러 혼합사료(混合飼料)에 비(比)해 가장 열등(劣等)하였고 소맥분(小麥粉)에 약간의 쌀을 혼합(混合)한 인조미사료(人造米飼料)는 표준사료(標準飼料)와 같이 타시험구(他試驗區)보다 우수(優秀)한 변화(變化)를 보였다. 2) 소화율(消化率)은 전시험구(全試驗區)에서 상호간(相互間) 큰 차이(差異)는 볼 수 없었으나 대맥사료(大麥飼料)는 약간 낮은 치(値)였고 백미사료(白米飼料)와 인조미사료(人造米飼料)는 단백질(蛋白質) 당질(糖質) 지방(脂肪)의 소화율(消化率)에서 공(共)히 표준사료(標準飼料) 기타(其他) 사료등(飼料等) 보다 약간 높은 치(値)를 나타냈다. 3) 시험진행중(試驗進行中) 각사료(各飼料)의 일일평균섭취량(一日平均攝取量)의 변화(變化)는 자웅간(雌雄間)의 차이(差異)는 있었으나 각시험구간(各試驗區間)에는 거의 차(差)가 없었다. 따라서 각사료(各飼料)에 대(對)한 쥐의 기호성(嗜好性)은 대개 같은 것으로 볼 수 있었다. 4) 시험기간중(試驗期間中) 각사료(各飼料)의 효율(效率)은 시일경과(時日經過)에 따라 거의 비슷하게 감소경향(減少傾向)을 보였고 그 중(中)에서 백미사료(白米飼料)는 쥐가 어릴때 자웅(雌雄) 두 경우에서 모두 타시험구(他試驗區)에 비(比)해 사료효율(飼料效率)이 낮았으며 표준사료(標準飼料)와 인조미(人造米)는 성장시종(成長始終) 좋은 치(値)를 나타내었다.

  • PDF

탈지대두와 밀가루 코오지를 이용한 산분해간장의 양조 (Brewing of Acid-hydrolyzed Soy Sauce with Defatted Soybeans and Wheat Flour Koji)

  • 선성균;한은미;이택수;이명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2호
    • /
    • pp.147-152
    • /
    • 1987
  • 탈진대두와 밀가루 코오지를 산분해간장에 첨가하여 담금한 각 시험구 간장(시험구 A : 탈지대두와 밀가루 배합량이 동일한 대량 담금구, 시험구 B : 배합량이 A구와 같은 소량 담금구, 시험구 C : 탈지대두 6, 밀가루 4의 비율로 담금한 소량 담금구)의 숙성 과정중 각종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질소와 아미노태 질소는 경시적으로 증가하였고, A구, B구, C구의 순으로 높았다. 환원당은 $20{\sim}40$일에 $12.13{\sim}15.76\;%$ 로 가장 높았고 120일에는 $10.75{\sim}12.40\;%$ 였으며 C구가 높았다. ethyl alcohol은 경시적으로 완만하게 증가되어 120일에 $0.45{\sim}1.23\;%$ 로 가장 높았고 B구와 C구가 높았다. 레블리린산은 담금 직후 A구에서 0.40% 였으나 100일에는 0.17% 로 저하되었고, B구와 C구는 당금 직후 $0.54{\sim}0.60\;%$ 였다. 젖산은 담금 직후보다 100일에 다소 증가되었으나 경시적으로 불규칙적인 변화를 보였고 A구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유리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lencine, alanine, phenylalanine이 모든 시험구에서 높았으나 histidine, tyrosine, methionine은 낮았다. 총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담금 직후보다 90일에 시험구 모두 증가되었고, B구, C구, A구의 순으로 높았다.

  • PDF

Monascus sp. MK2-2가 생산하는 홍국천연색소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Monascus Natural Pigments Produced by Monascus sp. MK2-2)

  • 전춘표;김창숙;이중복;신지원;최성연;최충식;이오석;권기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7-142
    • /
    • 2007
  • Monascus purpureus KFRI 1134 균주에 대해 UV ($235_{nm}$, 30 second) 조사를 통한 변이주 형성을 유도하여 Monascus sp. MK2-2를 분리하였다. 홍국 천연색소 생산의 최적조건은 rice powder 0.3%와 0.2% yeast extract, 0.3% $NH_4H_2PO_4$의 배지 조성에서 초기 pH 5.0, 배양온도 $30^{\circ}C$ 및 배양기간은 5일이었으며, 홍국 천연색소 생산에 미치는 탄소원의 영향은 wheat flour > rice powder > fructose 순으로 높았다. 질소원은 sodium nitrate > $KNO_3$의 순서로 생성능이 높았으며, C/N ratio가 $17\sim22$일 때 색소의 생성능이 우수하였다. Anti-thrombosis activity 측정결과 Monascus sp. MK2-2 추출물은 aspirin과 유사한 항혈전 기능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허브를 첨가한 빵의 물성학적 및 관능적 특성 연구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Herb Bread)

  • 박인덕;정동옥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39-545
    • /
    • 2003
  • 다양한 허브 즉, 로즈마리, 레몬밤, 라벤다를 첨가해 만든 허브빵에 대한 물성학적,관능적 특성을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용적 및 높이 측정 결과, 1% 로즈마리, 레몬밤, 라벤다를 첨가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오븐 팽창이 더 컸고, 3% 첨가시는 로즈마리 첨가의 경우는 대조군에 비해 더 큰 오븐팽창이 있었으나 레몬밤, 라벤다 첨가의 경우는 약간 감소하였다. 2. 발효손실과 냉각손실은 허브를 첨가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더 작은 손실량을 나타내었는데 굽기손실의 경우는 대조군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허브를 농도별로 첨가하여 제조한 빵의 외부와 내부 색도 변화 중 외부 색도는 L값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허브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a값은 허브첨가에 따라 약간의 감소가 있었으며 b값은 L값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내부 색도는 L값은 허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현저한 감소가 있었고, a값은 3% 라벤다 첨가군에서 가장 높은 값이었으며 b값은 허브 첨가군 모두 대조군보다 높은 값이었다. 4. 텍스쳐 측정결과 1% 허브 첨가군은 모두 대조군보다 경도가 낮았는데 3% 첨가시는 대조군보다 약간 높은 경도를 나타내었다. 탄력성과 응집성은 군간 의 차이가 없었고, 점착성과 씹힘성은 허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5. 관능검사 결과 전체적인 기호도는 대조군과 1% 첨가군 모두 비슷한 선호도를 나타내었는데 3% 첨가군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6. 저장 중 곰팡이의 생육은 대조군의 경우 저장 3일째에 곰팡이가 생성되었으며, 허브를 첨가한 빵은 3종류 모두 허브 농도가 높을수록 곰팡이의 생성이 늦어 1% 첨가군에서는 저장 4일째, 3% 첨가시는 저장 5일째 곰팡이가 생성되었다. 7. 갓구운 빵의 경우 허브를 첨가한 빵은 3종 모두 대조군에 비해 다소 수분함량이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저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대조군에 비해 허브첨가군의 수분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멍게껍질로부터 정제된 섬유소 첨가 빵반죽의 물리적 및 제빵의 품질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Dough and Qualities of Bread Prepared with Dietary Fiber Purified from Ascidian(Halocynthia roretzi) Tunic)

  • 육홍선;김영호;안현주;김동호;김정옥;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87-395
    • /
    • 2000
  • 멍게껍질로부터 정제된 섬유소 슬러리를 첨가한 빵반죽의 물리적 및 제빵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Farinograph는 멍게껍질섬유소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흡수량의 증가를 보였다. 반죽도달시간 및 반죽형성시간은 섬유소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짧아졌고, 안정도에서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약화도는 멍게껍질섬유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약화도가 커졌다. Extensograph에서는 섬유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흡수율은 증가하였고, 신장도 및 신장저항도는 감소하였다. R/E값은 섬유소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Amylograph에서는 멍게껍질 섬유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최고점도는 감소하였다. 멍게껍질 섬유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식빵의 loaf volume 및 용적비가 감소되는 결과를 보였고, 멍게껍질 섬유소 슬러리 20% 첨가까지는 빵의 관능적 품질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섬유소 첨가 식빵은 보습성을 높혀 빵의 경화를 지연시킴과 함께 저장성 향상 효과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