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tlands Assessment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8초

습지생태계 평가를 위한 동물플랑크톤 지수 적용 방안 고찰 (Consideration on Application of Zooplankton Index for Wetland Ecosystem Evaluation)

  • 김현우
    • 생태와환경
    • /
    • 제57권1호
    • /
    • pp.51-59
    • /
    • 2024
  • This note summarizes the application of zooplankton indices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and estimation based on main research topics of articles focusing on wetland ecosystems, topics that are remained poorly investigated in S. Korea. The aquatic ecosystem-based consists of indices that respond to different target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environmental disturbance. Among the major indicator species and biota, we reviewed that management strategy for the wetland environment has to be focused more on small-sizes, in terms of zooplankton ecology and indices. The ecology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 freshwater ecosystem has been the focus of an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since 2019, and considerable progress has been made in understanding the major mechanisms involved in regulating their abundance, diversity and spatio-temporal patterns. Even though studies on the freshwater ecosystem in Korea have a long history, a few of studies on zooplankton biota were conducted at wetlands. We suggested the candidate zooplankton indices proposed by the U.S. EPA and EU to suit Korean conditions. In the step of selecting metrics, the best available metrics are species-related variables, such as composition and abundance, as well as richness and diversity. Overall, in spite of several limitations, the development of a plankton-based multivariate assessment method in Korea wetlands is possible using mostly field research data. Later, it could be improved based on qualitative metrics on zooplankton, and with the emergence of further survey data. The present information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for researchers who are dealing with aquatic environments and its interaction with organisms.

수변지역 소규모 개발사업의 유형별 환경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Environment Assessment for the Various Type of Small-Scale Development Projects in the Riparian Areas)

  • 주용준;사공희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18-225
    • /
    • 2016
  • 수변지역은 하천의 수질 및 수생태계의 보전과 수변경관의 훼손 방지 특히, 안정적인 상수원의 확보를 위하여 다양한 정책과 계획이 수립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수원보호구역과 수변구역 등 특정지역을 제외한 수변지역은 소규모 개발사업이 무분별하게 입지하게 되면서 하천의 수질 및 경관을 훼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업유형별로 동 식물, 지형 지질, 경관, 수질 등의 측면에서 예상되는 환경영향을 분석하고, 환경적 영향 정도에 따라 3-12점까지의 환경점수를 부여하여 중점검토사업과 일반검토사업, 간이검토사업 등으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업유형별로 예상되는 환경영향을 회피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도록 평가항목별로 평가기준을 마련하여, 수변지역의 소규모 개발사업을 합리적으로 규제하여 친환경적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멸종위기 식물인 갯봄맞이 최남단 군락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Strategies of Glaux maritima var. obtusifolia Community on the Southernmost Distribution Area in Korea)

  • 임정철;이철호;김의주;최병기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3
    • /
    • 2018
  • 갯봄맞이는 한국에서 매우 제한적인 분포를 보여 멸종위기종으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갯봄맞이의 남방한계지역에 해당하는 당사해안습지의 식생 다양성을 확인하고 식생결정 요인과 서식처 중요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식생분류를 위해 Z.-M. 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환경요인과 식생과의 관계 분석을 위해 수리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당사해안습지는 갯봄맞이-지채군락 (3개 하위군락), 갯꾸러미풀s.l.군락, 기장대 풀군락, 갈대-꼬마부들군락의 4개 단위식생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 식생의 주요 결정요인은 수분환경과 토심, 수위교란정도, 식생고, 군락구조 등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갯봄맞이는 갯봄맞이-지채군락의 전형아군집에서 가장 우세하게 생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인접한 일본의 남방한계지역과도 유사한 종조성 및 우점상황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사해안습지는 식물지리 및 식생지리학적 측면에서 큰 의미를 지니는 입지이며, 다양한 종의 피난처로서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당사해안습지의 가치를 다양한 관점에서 정밀하게 파악하고 보호 및 관리하기 위한 보전전략의 수립이 요구된다.

남해중부연안관리의 발전적 정책방향에 대한 고찰 (A Study on direction of developmental policy for coastal management in the central southern sea)

  • 윤성윤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17
    • /
    • 2000
  • The natural ecology of our coastal zone has been well preserved because of the designation of Han-Ryea national sea park. However, recently, it is being threatened by the frequent request of district regulation of national park and relaxation of green belt, etc. And also, with the reclamation of the foreshore by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complex and tourism resource cultivation on a large scale, development pressure for natural coast is increasing. For that reason, preservation of the ecology, organized management and investigation is needed for the islands which scenery is beautiful and rare animals and plants inhabit. And also, it is worried that major habitats of migrants are diminishing because of the district regulation of national park, relaxation of green belt zone and construction of coastal streets. Therefore. on the basis of the through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nly the business which are aimed at the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the natural coast should be admitted and the act of eroding must be restricted.

  • PDF

Assess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and Priority Management Areas using an HSPF Model in Sejong City, South Korea

  • Lim, Dohun;Lee, Yoonji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8호
    • /
    • pp.881-891
    • /
    • 2017
  • In this study, the discharge loads of non-point pollution sources were analyzed using a Hydrologic Simulation Program-Fortran (HSPF) model for 46 sub-watersheds in order to guide the management plan for water and streams passing through the city. The results using HSPF showed good applicability in comparison to point measurements, which were based on BOD, TP, and TN. The mean value of the BOD loads was $4.08kg/km^2$ per day, and the highest level of BOD was $17.75kg/km^2$ per day at Namri. Three potential areas of high priority for the installment of constructed wetlands were selected in order to reduce non-point pollution sources based on BOD loads and on environmental and economic conditions. The results for these scenarios indicated a maximum rate of reduction in BOD of 39.12% within the proposed constructed wetlands.

남강 주변 습지의 보전 현황과 보전 대책 (Present State and Conservation Counterplan for the Wetlands of the Tributaries around Namgang-River)

  • 하혜정;오경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1-37
    • /
    • 2010
  • 남강 본류로 유입되는 경상남도 진주시 관내에 소재한 13개 지류에서 습지의 보전 현황을 평가하고 우수한 습지생태계를 발굴하며 인위적인 훼손과 오염으로부터 습지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한 보전 대책을 제시하기 위하여 습지생태계의 생물 서식지로서의 물리적 특성과 식생의 자연도를 조사하였다. 지류 주변의 토지 이용, 제방상단의 생태적 기능, 제방 사면의 구조, 둔치의 인공화 정도 및 이용 강도, 호안의 인공화 정도, 하상 재료의 다양성, 하천의 횡단 구조물 등으로부터 산정한 물리적 특성의 자연도 평가지수는 오미천이 가장 높고 반성천, 향양천, 그리고 나불천, 영천강 및 수곡천, 중촌천, 대곡천 등의 순이었으며, 문산천이 가장 낮았다. 식생의 다양성, 외래종의 우점면적, 1년생 초본의 우점면적, 현존식생의 자연도 및 특이성, 종다양성 등으로부터 산정한 식생자연도의 평가지수는 오미천이 가장 높고, 수곡천, 반성천, 영천강, 중촌천, 지내천, 나불천, 지수천 등의 순이었으며 용아천이 가장 낮았다. 물리적 특성과 식생 자연도의 평가지수로부터 산정한 하천 자연도는 오미천이 I등급으로 가장 높고, II등급인 반성천, 수곡천, 영천강, 나불천 및 중촌천, 향양천, 지내천, 지수천, 대곡천, 문산천 및 독산천 등의 순이었으며, 용아천이 III등급으로 가장 낮았다. 지류의 습지생태계를 복원하여 하천의 자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보전대책이 제시되었다.

국내 IUCN Red List of Ecosystem(생태계 적색목록) 평가를 위한 국제 사례 연구와 전략 제시 (International Case Study and Strategy Proposal for IUCN Red List of Ecosystem(RLE) Assessment in South Korea)

  • 한상학;강성룡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08-416
    • /
    • 2023
  • IUCN 생태계 적색목록은 생물다양성의 감소 위험이 높은 생태계를 평가하고 식별하기 위한 글로벌 표준으로, 효과적인 생태계 관리 및 보전 정책 수립에 필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한다. IUCN 생태계 적색목록은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목표 A의 핵심지표(A.1)로 지정하였다. 생태계 적색목록 평가는 특정 생태계 유형을 분포의 감소(기준 A), 제한된 분포(기준 B), 환경 황폐화(기준 C), 생물학적 상호작용의 변화(기준 D), 생태계 붕괴 위험의 정량적 추정(기준 E)으로 생태계 붕괴 징후를 판별한다. IUCN 생태계 적색목록은 2014년부터 110개 이상의 국가에서 평가를 진행하였다. 80% 이상이 육상 및 육상-담수 생태계에서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이중 열대림과 아열대림에 위협 받는 생태계가 집중 분포하고 있다. 평가 기준은 공간적 징후(기준 A 및 B)에서 68.8%로 집중되어 있다. 국내에서 생태계 적색목록을 평가를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은 크게 세가지로 나뉜다. 첫째, 국내 적용가 능한 지구 생태계 유형(GET)을 적립해야 한다. 둘째, 생태계 적색목록 범주·기준 중 공간적 징후 평가에서 국내의 소규모로 이루어진 다양한 생태계 유형에 적용 가능한지를 판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평가를 위한 활용 가능한 시계열(50년) 데이터 수집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고려사항을 바탕으로 국내에 IUCN 생태계 적색목록 평가를 적용하면, 우리나라의 독특한 생태계 유형의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세계적인 생태계 보전 및 복원 노력에 기여할 것이다.

도시 생태공원의 풍환경 평가 적용에 관한 고찰 (Consideration for Application of Wind Environment Assement on Ecological Parks in Cities)

  • 김원술;정일원;권지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spc호
    • /
    • pp.117-122
    • /
    • 2019
  • 도시공원은 지구온난화와 대기오염을 줄여주고 열섬현상을 완화시켜주는 중추적인 역학을 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공원 일몰제에 따른 2020년 7월 이후 도시공원 제한이 일부 해제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정부와 지자체는 공원부지 확보와 더불어 생태공원 조성 등 공원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도시공원 주변에 건설되고 있는 고층건축물에 의해 발생하는 빌딩풍은 보행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고, 생태공원에 서식하고 있는 동·식물의 생태계를 위협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풍환경 평가에 대한 기준은 명확하게 제안된 바가 없으며, 관련 연구 또한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외풍환경 평가기준 및 관련 연구를 검토하여, 풍환경 평가 기준의 중요 인자를 도출하고, 국내 기상관측자료를 이용한 풍환경 평가에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댐습지의 기능 및 가치평가 연구(1) - HGM을 이용한 기능평가 : 보령댐을 대상으로 - (Study on Assessment of Value and Functions of Dam-wetland(1) - Assessment of Functions by HGM : Focussing on Boryung Dam -)

  • 신한규;김덕길;김재근;김형수;안재현;유병국;안경수;박두호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15-132
    • /
    • 2009
  • 댐의 습지로서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댐도 하나의 습지로 정의하고, HGM 습지 평가 방법에 따라 보령댐을 우포늪의 습지 기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보령댐의 습지로서 수문학적 기능은 단기적이고 작은 흐름들에 대해서는 취약성을 가지지만, 반면 장기적이고 큰 흐름들에 대해서는 강점을 가진다. 생지화학적 기능은 우포의 약 50%정도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 서식처로서의 기능도 식물 군집의 유지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 서식처로서의 기능은 우포늪에 준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다만 조류의 서식처로서의 기능이 다소 부족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보령댐의 장점과 단점을 명확히 하여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강 할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PDF

습지형 구하도의 기능평가 제안 (Proposal of Functional Assessment for Wetland-type Abandoned Channel)

  • 강수진;강준구;홍일;여홍구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47-559
    • /
    • 2012
  • 구하도는 예전에 물이 흘렀던 흔적을 말하며 우리나라는 1960년대 하천정비사업으로 인해 인위적으로 생성된 습지형 구하도가 대부분이다. 습지형 구하도는 홍수조절을 하며, 생물서식의 보고가 되고, 인간에게 심미적 가치를 주는 등 중요한 생태계이다. 하지만 폐천부지로 분류되어 관리가 소홀하고 그 흔적조차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습지형 구하도의 훼손정도를 명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관리 및 투자의 근거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습지형 구하도의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국내 습지형 구하도 환경에 적합한 4가지 속성(자연성, 서식처, 친수성, 수질)과 21개의 지표를 선정하였으며, 낙동강의 두 개 지점에 적용해 본 결과 지점1은 중 장기적으로 보호 또는 개선이 필요한 지역으로 나타났으며, 지점2는 우선보호지역으로 나타났다. 이 평가법은 국내에 방치되어 있는 습지형 구하도의 상황에 맞는 적절한 관리에 도움을 줄 것이며, 향후 국가하천사업시 하도에 최적화된 평가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