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t Feeding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4초

투입식 탈곡기의 탈곡 및 선별 성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Threshing and Separating Performanee of the Newly Developed Throw-in Type Thresher)

  • 이승규;정창규김성래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878-3884
    • /
    • 197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throw-in type thresher with its size as small as possible. Developing the smallest possible size of the throw-in type thresher has been very important to increase mobility and to reduce the machine price. The thresher that developed for this purpose was tested as to threshing and separation performance for the samples collected in eight catch boxes under the concave while threshing. The amount of grain collected in each compartments was measured and the threshing and separating pattern along the total span of the threshing drum was determined. The performance of separating and threshing units of the test thresher and threshing loss was evaluated by use of the developed grain separating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grain separating performance of thresher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unthreshed grain (drum losses) and semi-threshed grain did not appeared at all throughout the treatments. 2. When threshed by making use of the developed throw-in type thresher, the threshing grain loss at about 25 per cent grain moisture was about one-half when threshed at about 18 per cent grain moisture. 3. And its grain separating loss in higher feed rate was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that of lower feed rate. These results suggests that the throw-in type thresher may be suitable for wet threshing and for higher feed rate of threshing. 4. Above 60 per cent of total grain passing through concave fell through the screen within a scant 30 cm from the feeding inlet. This threshing pattern may suggest that major threshing action may be finished before about one third of cylinder length. The required separating load extended over the whole drum span is so defferent that separating elements should be redesigned so as to accomodate this variable pattern of separation load. 5. It was apparent from the experiment that the length of the threshing drum of the throw-in type thresher could be reduced from 1285mm to about 1050mm without increasing grain separation loss greatly.

  • PDF

육상어류양식장 고형오물을 공급한 해삼(Apostichopus japonicus)의 성장과 에너지 수지 (Effect of Fish Farm Fecal Solid Diets on the Growth and Energy Budget of Juvenile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cus)

  • ;정우철;최종국;;김경덕;최병대;강석중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68-175
    • /
    • 2016
  • We conducted a 90-day feeding experiment to evaluate the growth and energy budget of the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cus. Sea cucumbers with a mean initial wet body weight of 3.03±0.06 g were fed one of the following three diets: an eel fecal solid diet, rainbow trout fecal solid diet, or a commercial diet at a water temperature of 17±1℃ and salinity of 32±1 psu.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diets affected the final body weight, specific growth rate (SGR), food ingestion, feces production ratio, and hence the growth and energy budget of the sea cucumbers. Sea cucumbers fed the eel and rainbow trout fecal solid diets showed poorer energy absorption, assimilation, and growth than those fed the commercial diet. The sea cucumbers fed the commercial diet had a significantly higher SGR and proportion of energy used for growth than those fed the other two diets. Sea cucumbers fed the rainbow trout fecal solid diet showed a comparatively higher ingestion rate and feces production ratio than those fed the commercial diet. The eel and rainbow trout fecal solid diets, therefore, were not suitable for sea cucumbers in intensive cultivation. Our findings will facilitate further development of more appropriate diets for culture of sea cucumber.

성숙한 쥐의 대퇴골과 요추의 조성과 골격관련 인자에 대한 난소절제와 칼슘섭취 효과 (Effect of Ovariectomy and Calcium Intake on Femur and Lumbar Compositions and Bone Related Factors in Adult Rats)

  • 이연숙;김은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4권5호
    • /
    • pp.532-540
    • /
    • 2001
  •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calcium levels and/or ovariectomy on bone composition and its related factors using the female Sprague-Dawley rats which achieved peak bone mass in normal(0.5%) calcium intake during growth period. The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six groups and fed 0.1%, 0.5% and 1.5% calcium diets for 8 weeks after ovariectomized and sham oper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dy weight gain was higher in ovariectomized groups than sham groups, regardless of dietary calcium levels and food intakes. Serum Ca and P concentrations were normal level regardless of dietary calcium levels and operation. Estrogen concentration was decreased in ovariectomized rat groups. Serum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nd urinary hydroxyproline were increased in ovariectomized groups. When rats were fed normal Ca diet during growing period, weight, length and breaking force of femu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groups but increased the same level. Generally, lipid contents in lumbar and femur were lower in low calcium groups and this effect was more pronounced in femur. In case of femur, the significant decrease in Ca contents of bone was observed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feeding low Ca diet, even though it appeared th desirable peak bone mass had achieved through the growing period by supplementing the adequate amount of calcium. The marked decrease of estrogen levels after ovariectomy did not seem to influence greatly bone parameters measured except bone wet weight. Therefore, this study indicated that lower intake of Ca might be more important determinating factor against osteoporosis than postmenopausal state stimulated by ovariectomy in female rats. With normal or high intake of Ca it appears possible to prevent bone loss in postmenopausal period, and this might apply only in case of achieving peak bone mass in the growing with the adequate intake of calcium. (Korean J Nutrition 34(5) : 532∼540, 2001)

  • PDF

입자크기분석을 위한 레이저회절 분광계의 측정오차 분석 (Analysis of Measuring Error for Particle Size Analysis by Laser Diffraction Spectrometer)

  • 하상안;손희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13-722
    • /
    • 2000
  • 본 연구는 입자크기를 분석하기 위한 장치인 레이저회절 분광계의 측정오차 및 재현성을 분석한 것이다. 레이저회절 spectrometers는 입자크기를 분석하기 위한 장치 중에서 가장 대표적이고 중요성을 가진다. 이 측정장치는 운전이 간단하며, 입자분석에 있어서 재현성이 우수하고, 빠른 속도로 분석이 가능한 형태이다. 입자크기를 분석하는 과정에 있어서 공급되는 분산형태와 흐름율에 따라서 측정오차가 미세하게 발생되었고, 흐름율은 분산형태가 건식인 경우 0.1~23 g/min로 공급하였고, 습식인 경우는 분산되는 용매에 따라서 1.4~35 %가 되도록 조절하여 측정결과에 따라서 발생되는 측정오차를 분석하였다. 흐름을 변화에 따라서 발생되는 측정 오차는 측정 cell 내의 입자에 입사되는 레이저 회절패턴이 변화함으로서 측정오차가 다양하게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 측정오차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입자모양, 크기, 분산형태와 용매, 흐름율과 농도의 변화에 따라서 실험을 실행하였고, 분석장치의 시스템에 따른 측정오차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장치내의 역학적인 공정, 측정시간, 초점거리, 주입압력, 전처리과정인 ultrasonic이나 혼합에 의한 분산효과에 따라 측정오차 및 재현성을 분석하였다.

  • PDF

국내 어린이집의 아동학대 판례 분석 연구 : 정서적 학대 유형, 쟁점 사안 및 예방대책을 중심으로 (An Analytical Study on Precedents of Emotional Child Abuse at Daycare Centers of Korea : Focusing on Emotional Abuse Type, Issues, and Preventive Measures)

  • 윤기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57-167
    • /
    • 2017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어린이집에서 발생한 정서적 학대와 관련된 법원의 판례를 분석하여 정서적 학대를 예방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정서적 학대 사건 관련한 1심 판례 10건과 항소심 및 상고심 판례 4건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집에서 발생한 정서적 학대 유형은 폭행(손과 발로 머리, 얼굴, 엉덩이 등을 때림), 물건 던짐, 방치, 강제로 음식 먹이기, 손수건과 물티슈로 입 틀어막기, 식사 거르기, 무서운 영상 보여주기 등 다양한 형태의 정서적 학대가 나타났다. 그리고 판례의 주요 쟁점 사안은 위법성조각사유로서의 정당행위 여부, 양벌규정의 적용 여부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어린이집의 정서적 학대 예방을 위한 대책을 제시하였다.

부어초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I) - 인조섬유 로우프의 정적시험 -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loating Fish Aggregating Devices , Part I - Laboratory Static Tests on Synthetic Fiber Ropes -)

  • 신현경;;;박규원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1권1호
    • /
    • pp.22-31
    • /
    • 1994
  • 해양 공간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과 지형에 변화를 주며, 대상 수산 생물의 유집에 의한 생산 어장의 조성과 치어의 보호 육성을 도모하는 중효한 어장 시설인 인공어초의 기술 개발은 점차 다양화되어지고 있다. 부체부와 계류부로 구성되어 있는 부어초의 개발에 있어서는 부어초의 특성 및 안전상 계류시스템의 설계가 극히 중요한 부분이 된다. 이 논문에서는 부어초의 계류시스템에 많이 사용되어지는 나일론, 폴리에스터와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인조섬유로우프의 정적시험의 과정과 그 결과로서의 Creep거동 및 하중-인장 곡선을 얻었다. 특히 나일론 로우프의 경우 수중에서 20%내외의 강도 하락(Strength drop)이 관찰되며, Creep 시험 곡선은 대수시간 축(longerithmic time axis)상에서 직선을 유지하고, Flessner's formula와 평행한 결과를 얻었다.

  • PDF

Effects of enzymatically hydrolyzed fish by-products in diet of juvenile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 Bae, Jinho;Azad, Abul Kalam;Won, Seonghun;Hamidoghli, Ali;Seong, Minji;Bai, Sungchul C.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2권1호
    • /
    • pp.1.1-1.8
    • /
    • 2019
  • Five experimental diets were formula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etary enzymatically hydrolyzed tuna by-product on growth,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and hematology of juvenile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A basal diet with 50% of fishmeal was used as control (CON) and four other diets replaced 12.5% ($TBB_{12.5}$), 25% ($TBB_{25}$), 37.5% ($TBB_{37.5}$), and 50% ($TBB_{50}$) of fish meal in the CON diet. Juvenile rainbow trout ($4.87{\pm}0.05g$)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15 tanks (50 L) and fed 3-4% of wet body weight two times a day. At the end of 7 weeks of feeding trial, weight gain, specific growth rate, feed efficiency, and protein efficiency ratio of fish fed CON die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TB_{50}$ diet (P < 0.05).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ish fed CON, $TBB_{12.5}$, $TBB_{25}$, and $TBB_{37.5}$ diets (P > 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PT levels among fish fed CON, $TBB_{12.5}$, $TBB_{25}$, and $TBB_{37.5}$ diets.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ysozyme, superoxide dismutase, glucose, and total protein levels in all experimental diet (P > 0.05). The broken-lin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inimum dietary level of enzymatically hydrolyzed tuna by-product to replace fishmeal could be 29.7% in rainbow trou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optimum level of dietary enzymatically hydrolyzed tuna by-product could replace greater than 29.7% but less than 37.5% of fishmeal in juvenile rainbow trout diet.

안정동위원소를 이용한 낙동강 하구 실뱀장어의 먹이 습성 분석 (Feeding Habits of the Glass Eel Anguilla japonica Determined by C and N Stable Isotope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of the Korean Peninsula)

  • 김정배;이원찬;김형철;홍석진;박경동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1권1호
    • /
    • pp.36-43
    • /
    • 2016
  •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자연산 실뱀장어는 마리아나 해구에서 산란 및 부화의 과정을 거친후 북적도 해류를 따라 회유한다. 자연산 미성어인 실뱀장어는 우리나라의 남 서해안에서 채집되어 양식용 종묘로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산 실뱀장어의 섭식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4년 3월과 4월 낙동강 하구에서 실뱀장어를 채집하여 전장, 습중량, 건중량, 탄소 및 질소 함량, 안정동위원소비를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수온과 염분을 측정하였다. 낙동강 하구의 수온은 $13.2{\pm}1.0$(평균 ${\pm}$ 1SE; 범위는 $10.1{\sim}15.7)^{\circ}C$ 이었고, 염분은 $24.8{\pm}2.4$(13.2~34.0)이었으며, 수문 개방시 염분은 13.2~30.0(평균 21.2)로 낮은 값을 보였다. 실뱀장어의 전장은 $56.5{\pm}0.2$(51.0~63.6) mm, 습중량은 $70.9{\pm}1.4$(33.6~133.2) mg, 건중량은 $16.5{\pm}0.3$(10.1~29.1) mg이었다. 실뱀장어의 탄소와 질소 함량은 각각 $51.0{\pm}0.8%$$13.9{\pm}0.1%$ 이었다. 낙동강 하구에서 채집된 실뱀장어의 ${\delta}^{13}C$${\delta}^{15}N$값은 각각 -20.9±0.2‰, 6.1±0.1‰로 북적도 해류에서 채집된 뱀장어 자어인 렙토세팔루스와 유사한 값을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낙동강 하구에서 채집된 실뱀장어는 뱀장어 자어에서 실뱀장어로의 변태과정을 거친 이후 회유하는 동안 먹이를 섭이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맥주박 발효사료 및 대두의 급여가 한우 거세우의 육성성적 및 도체등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Feedstuff with Wet Brewer’s Grain and Soybean on Fattening Performance and Carcass Grade in hanwoo Steers)

  • 박병기;길준민;김종복;홍병주;라창식;신종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397-408
    • /
    • 2003
  • 본 연구는 한우 거세 비육우에 맥주박을 이용하여 개발한 발효사료 및 분쇄대두의 급여가 육성성적, 혈액성상 및 도체등급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축은 한우 사육농가에서 평균 체중 455$\pm$25.9㎏의 한우 거세 비육우 20두를 공시하여 실시하였다. 시험구 처리는 모든 처리구에 배합사료와 볏짚을 기본사료로 급여하였으며, 배합사료를 전량 급여하는 대조구(Control), T1(배합사료:맥주박 발효사료=60:40), T2(배합사료:분쇄대두=80:20), T3 (배합사료:맥주박 발효사료:분쇄대두=50:40:10) 및 T4(배합사료:맥주박 발효사료:분쇄대두=40: 40:20)로 구분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일당증체량은 비록 통계적인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지만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들에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사료효율의 경우 대조구, T1, T2, T3 및 T4에서 각각 11.90, 8.25, 9.44, 6.69 및 7.71로 나타나 T2를 제외한 처리구들에서 대조구에 비해 사료효율이 유의적으로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P<0.05). 혈중 BUN 농도는 대조구에 비해 T4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반면에 혈중 creatinine 농도의 경우에는 대조구에 비해 T4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P< 0.05). 대조구, T1, T2, T3 및 T4의 혈중 glucose 농도는 각각 51.00, 59.39, 62.44, 62.17 및 54.00mg/$d\ell$로 나타나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들에서 대체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등지방두께의 경우 T3에서 대조구 및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다소 두꺼워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최장근단면적의 경우 T1, T3 및 T4에서 대조구에 비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구, T1, T2 및 T4의 A등급 출현율은 각각 66, 33, 75 및 33%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맥주박 발효사료를 단독 급여하게 되면 사료단가는 낮추면서도 비육우의 증체율 및 도체등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분쇄대두와 맥주박 발효사료를 혼합 급여하게 되면 증체율 및 사료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맥주박 발효사료와 적정 비율의 분쇄대두(농후사료 급여량의 10%)는 거세우를 위한 비육사료로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맥주박 발효사료 제조과정에서 사료에 대한 발효처리는 맥주박 발효사료의 저장성을 크게 높여주기 때문에 맥주박과 같이 고수분부산물을 가축의 사료자원으로 활용하는데 있어서 의미하는 바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나일틸라피아의 암모니아 배설에 미치는 어체중과 사료 내 단백질 함량의 영향 (Effects of Body Weight and Dietary Protein Level on Ammonia Excretion by the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 오승용;조재윤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2-129
    • /
    • 2005
  • 암모니아는 양식 생산성을 제한하는 주요 인자로서 암모니아 배설의 정량화는 양식시스템 내 수질 관리를 위해 중요하다. 어류의 암모니아 배설은 체중과 사료내 단백질 함량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실험에서는 나일틸라피아의 암모니아 배설에 미치는 체중과 사료 내 단백질 함량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세가지 크기의 나일틸라피아, 초기 평균 무게가 4.8 g, 42.7 g, 그리고 176.8 g를 대상으로 두가지 단백질 함량(30.5%와 35.5%)의 사료를 각각 어체중의 6%, 3%,그리고 1.5%공급하였다. 각 실험어는 17.1 L수조에 3반복 수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사료 공급 후 최대 총암모니아성 질소(total ammonia nitrogen, TAN) 배설률은 $4{\sim}8$ 시간 사이에 나타났으며, 24시간 이내로 사료 공급 이전 농도로 회복되었다. TAN 배설률$(mg\;kg^{-1}\;h^{-1})$은 어류 무게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사료 내 단백질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P<0.05). 단백질 함량이 다른 두 가지 사료를 공급했을 때 나일틸라피아의 어체중(X, 습중량)에 따른 일간 TAU 배설식$(Y\;mg\;kg^{-1}\;d^{-1})$은 다음과 같다. 저단백질(30.5%)실험구$(Y\;mg\;kg^{-1}\;d^{-1})=955.69-147.12\;lnX\;(r^2=0.95)$, 고단백질(35.5%) 실험구$(Y\;mg\;kg^{-1}\;d^{-1})=1362.41-209.79\;lnX\;(r^2=0.99)$. 섭취된 질소에 대한 TAN 배설 비율은 저단백질(30.5%) 및 고단백질(35.5%)실험 구에서 각각 $28.5{\sim}37.1%$$37.4{\sim}38.5%$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총 질소 손실은 각각 $0.22{\sim}0.68g\;kg^{-1}\;d^{-1}$$0.26{\sim}0.91g\;kg^{-1}\;d^{-1}$으로 고단백질 실험구와 어체중이 감소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순환여과식 나일틸라피아 양식장 내 수질 및 사육관리를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