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st-coast

검색결과 1,086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 서해 남양만 조수 퇴적분지의 제 4기 퇴적층서와 부정합 (Unconformity and Stratigraphy of late Quaternary Tidal Deposits, Namyang Bay, West Coast of Korea)

  • 박용안;최진용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32-340
    • /
    • 1995
  • 한국 서해 남양만 조수분지의 기반지층에서부터 현세 조간대 지층에 이르는 전체 적인 층서와 층서 단위 구분의 기초가 되는 부정합을 규명하기 위해 만조선에서부터 간조선 및 조하대에 이르는 단면에 따라 8개의 진동시추가 실시되었고 진동시추의 수 직적 층서 단위 퇴적물질의 퇴적상 (조직, 구조 및 광물 조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중 요 층서 위치에서 발견된 유기물 (토탄과 패각)의 /SUP 14/C연령이 측정되었다. 남양 만 조수분지의 퇴적체는 기저 부정합 (basal unconcomformity)에서 집적되는 층서단위 (간월도층$\longrightarrow$용두리 맴버$\longrightarrow$현세 조수퇴적층{조하대 및 조간대층})로 이루어진 퇴적층서 와 부정합적 시간차를 달리하는 층서적 경계(부정합)를 나타낸다. 현세 후기에 해당되 는 현세 조수퇴적층은 퇴적상에 의하면 상부층과 하부층으로 나누어지며, 상부와 하부 에 함유된 쇄설사립자 광물조성은 서로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하부층은 해록석의 사 립자를 비교적 다량으로 함유하며 광물조성의 높은 성숙도를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상부층은 해록석 사립자를 거의 함유하지 않으면 비교적 낮은 값은 성숙도를 나타낸 다. 결론적으로 하부층의 사질 퇴적물은 서해(황해) 대륙붕의 퇴적물 조성과 성숙도에 유청사하다고 해석되는 동시에 이 하부층의 사립 퇴적물 근원은 서해 대륙붕 퇴적물에 있으며, 현세 후기 해수면 상승 과정에 따르면 남양만 조수분지내의 초기 퇴적과정에 서 운반,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 PDF

한반도 서해 태안반도 연근해 부유퇴적물의 기초 해양환경적 특성 (Basic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Sediments in the Inner Shelf Zone off Tae-An Peninsula, West Coast of Korea)

  • 최진용;박용안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권1호
    • /
    • pp.46-54
    • /
    • 1996
  • 한반도 서해 태안반도 연근 해역에서 춘계동안 부유물 함량분포경향을 분석 하여, 부유물질의 운반 양상을 해석하였다. 특히 비파괴 방식의 SPECTREX 분석 기기를 이용하여 부유물의 입도분포를 정밀 분석하였다. 연구해역의 수괴 특성은 강한 조석전선이 형성되어, 수직적으로 균질한 수괴의 연안역과 수온약층이 뚜렷한 외양역으로 구분되었다. 부유물 함량은 대체로 10 mg/l 이하로 낮지만, 연안역의 저층수와 외양역의 중층수에서는 혼탁한 수괴가 관측되었다. 부유물은 평균입도가 각각 5-6$\mu\textrm{m}$와 8-10$\mu\textrm{m}$에 해당하는 세립질 부유물과 조립질 부유물로 구분되며, 주로 쇄설성 성분이 우세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전반적으로 태안반도 연근해역에서는 강 한 조류에 의해 해저 퇴적물의 재부유작용이 우세하며, 세립 퇴적물의 집적이 제한 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경기만의 초입에 해당하는 북부역으로부터 공급되는 쇄설성 부유 퇴적물이 수온약층의 중층수역을 따라 남쪽 또는 남서쪽 방향으로 우 세하게 운반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Seasonal Dynamics of Phytoplankton and Environmental Factors around the Chagwi-do off the West Coast of Jeju Island, Korea

  • Affan, Abu;Lee, Joon-Baek;Kim, Jun-Teck;Choi, Young-Chan;Kim, Jong-Man;Myoung, Jung-Goo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2권2호
    • /
    • pp.117-127
    • /
    • 2007
  • The dynamics of phytoplankton abundance with seasonal variation in physicochemical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monthly at 10 stations around the Chagwi-do off the west coast of Jeju Island, Korea, including inshore, middle shore, and offshore in the marine ranching are a from September 2004 to November 2005. Water temperature varied from 12.1 to $28.9^{\circ}C$ (average $18.8^{\circ}C$), and salinity from 28.9 to 34.9 psu (average 33.7 psu). The chlorophyll a concentration was $0.02-2.05\;{\mu}g\;L^{-1}$ (average $0.70\;{\mu}g\;L^{-1}$), and the maximum concentration occurred in the bottom layer in April. A total of 294 phytoplankton species belonging to 10 families was identified: 182 Bacillariophyceae, 52 Dinophyceae, 9 Chlorophyceae, 12 Cryptophyceae, 6 Chrysophyceae, 4 Dictyophyceae, 13 Euglenophyceae, 6 Prymnesiophyceae, 5 Prasinophyceae, and 5 Raphidophyceae. The standing crop was $2.21-48.69\times10^4\;cells\;L^{-1}$ (average $9.23\times10^4\;cells\;L^{-1}$), and the maximum occurred in the bottom layer in April. Diatoms were most abundant throughout the year, followed by dinoflagellates and phytoflagellates. A phytoplankton bloom occurred twice: once in spring, peaking in April, and once in autumn, peaking in November. The spring bloom was represented by four Chaetoceros species and Skeletonema costatum; each contributed 10-20% of the total phytoplankton abundance. The autumn bloom comprised dinoflagellates, diatoms, and phytoflagellates, of which dinoflagellates were predominant. Gymnodinium conicum, Prorocentrum micans, and P. triestinum each contributed over 10% of the total phytoplankton abundance.

Study on the monthly changes of Perkinsus infection in Komsoe Bay, Chullabukdo, Korea

  • Park, Kwang-Sik;Park, Kyung-Il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05-505
    • /
    • 2000
  • Perkinsus sp. has been identified as responsible organism for the decrease in Manil clam production along the west and south coast of Korea. Monthly investigation on infection intensity and pathology of Perkinsus infected Manila clam population was carried out in Komsoe Bay located in the west coast during February and December 1999. About one hundred clams were collected each month for the analysis. Infected clams were incubated in fluid thioglycollate media over a week, stained with iodine solution, digested with 2M NaOH and the number of Perkinsus present in an individual recorded. Histological slides were also prepared from infected clams and their pathologic symptoms were examined using a microscope. Trophozoites of Perkinsus sp. were dominantly distributed on gills and epithelia of digestive glands however a few numbers could be detected at siphons and foot tissues. Heavily infected clams often exhibited white spots on mantle and foot tissues due to the inflammatory reaction of the hemocytes, forming nodules. Trophozoites were also found along the connective tissues of follicles during spawning season indicating that Perkinsus sp. may disturb reproduction of the clam. Total number of Perkinsus sp. in an individual clam varied from none to 9, 550, 000 with a monthly mean of 279, 663 to 2, 198, 558 during the course of study. The number of Perkinsus sp. in the clam was found to lowest durin July and August when unusually low salinity was recorded in this area due to the heavy rain. Highest monthly infection intensity in terms of total number of Perkinsus sp. i clam was observed in February, when water temperature recorded as lowest during the study. Small size of clams with shell length of ten mm or less were not infected with Perkinsus sp. It was concluded that Perkinsus infection in Manila clam is in pa controlled by changes in salinity and clam growth; low salinity environment minimize infection intensity while tile clams get more Perkinsus as they grow.

  • PDF

서해안 양식 바지락에 발생한 Perkinsus sp. 감염증과 신속검출 (Infection and Rapid Detection of Perkinsus sp. In Cultured Babyneck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from Western Coast of Korea)

  • 최동림;권정노;박성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9-76
    • /
    • 1998
  • 매년 폐사가 발생해 온 서해안 연안의 고창과 태안에서 채집한 양식 바지락에서 복합포자충류인 Perkinsus sp.가 관찰되었다. 기생충에 감염된 바지락은 육안적으로 아가미와 육질의 표면에서 유백색의 결절이 나타났다. 기생충의 영양체는 편재된 핵을 가지고 있으며, 아가미와 외투막, 간 췌장, 생식소 조직에서 이분열에 의해 증식하며, 육아종의 형성과 혈구의 침윤을 유발하였다. 감염된 바지락을 FTM에 배양한 결과 영양체의 크기가 커지면서 루골용액에 의해 검게 염색된 구형의 유주자낭들 형성하였다. Perkinsus sp.의 평균 감염율은 9개월의 조사 기간 동안 고창이 73.1%, 태안이 94.8%로 나타났으며, 감염율은 각장의 크기가 클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Hemacolor kit는 바지락의 대량폐사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Perkinsus sp.의 영양체의 신속진단에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서해안 염하구 습지 퇴적물의 지화학적 분석 (C/N 및 ${\delta}^{13}C$)에 기반한 동아시아 몬순 변동 연구 (East Asian Monsoon History as Indicated by C/N Ratios and ${\delta}^{13}C$ Evidence from the Estuarine Tidal Flat Sediments in the West Coast of Korea)

  • 박정재;신영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541-552
    • /
    • 2010
  • 후기 플라이스토신 및 홀로신 시기 동아시아 여름 몬순의 변화를 밝히기 위해 지화학적 분석 방법(탄소동원원소(${\delta}^{13}C$), 탄질율(C/N), 대자율, 입도 분석 등)을 활용하여 서해안 염하구 습지 퇴적물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반도에서 여름 몬순은 7,700-7,800년 전에 정점이었고 7,400년 전 경부터 약화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마지막 빙하 최성기 중 24,000-24,500년 전 경에는 몬순이 상대적으로 약했고 18,500-19,500년 전 경에는 상대적으로 강했다. 염하구 습지 퇴적물의 지화학적 분석 자료는 과거 여름 몬순의 변동을 밝힐 수 있는 새로운 고환경 자료로서 가치를 갖는다. 특히 고환경 자료가 부족한 한국 학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서남권 연약지반의 장기침하 특성과 침하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ng-term Settlements Characterlistics and Settlement Prediction of Soft Ground in West-South Region)

  • 이승호;정지수;지영환;김성문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77-91
    • /
    • 2012
  • 최근 우리나라는 국토의 고도 이용과 지역 간의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택지 및 단지, 도로, 항만 및 공항 등의 건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도 많은 공사들이 연약한 지반에서 실시되고 있다. 이로 인해 건설현장에서 지반의 장기침하, 파괴, 부등침하, 국지적인 구조물 손상 등의 공학적인 문제들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연약지반이 비교적 두껍게 발달한 서 남해안 지역과 내륙지역의 연약지반 위에 축조되는 각종 구조물, 도로 등의 경우 필연적으로 하중에 의한 지반의 장기침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장기침하량 예측기법들인 쌍곡선법, 호시노법, $\sqrt{S}$법, 아사오카법 등의 지역별 적정 분석기법을 검토하는 한편, 일반화된 산정식의 도출을 통한 새로운 예측기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토질특성 및 시공조건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장기적인 침하특성과의 연관계수를 도출하였다. 수식의 검증을 위해 16개 지역의 계측자료와 수치해석 결과를 비교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태안 안면도 조간대에 서식하는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의 조위별 성장양상 (Growth Patterns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at Each Tidal Level in the Intertidal Zone in Tae-an, West Coast of South Korea)

  • 한형섬;마채우;김지연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9-35
    • /
    • 2012
  • Growth patterns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each tidal level were studied in the intertidal zone in Tae-an on the west coast of South Korea from April to August 2009.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specimens of R. philippinarum were monthly collected at three intertidal locations: low intertidal zone, low-middle intertidal zone and middle intertidal zone. Temperature of sediment in low intertidal zone were lower than those in other intertidal locations. Concentrations of Chl-${\alph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in each tidal level. Exposure hours in low intertidal zone were shorter than those in other intertidal locations. Density of each year class in low intertidal zone were higher than those in low-middle intertidal zone and middle intertidal zone. Growth factors of R. philippinarum in low intertidal zone were better than those in other intertidal locations. The growth rate of under one year class individuals of low intertidal zone were higher than those in low-middle intertidal zone and middle intertidal zone, before the main recruitment period of R. pilippinarum. Although the growth patterns of R. philippinarum may be affected b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we suggests that the exposure duration is the main affect in the growth patterns of R. philippinarum in intertidal zone.

대형자연시료를 이용한 지반교란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ft Ground Distubance Characteristics by Large Block Sample)

  • 유성진
    • 건설안전기술
    • /
    • 통권43호
    • /
    • pp.98-106
    • /
    • 2007
  • In this paper, a ground disturbance effects, strength and consolidation characteristics of soft clay through using the large block samples($\theta$:300mm, H:400mm) and the piston samples, f hose which had been gathered in west coast and south coast. Especially, we have assessed the coefficient of horizontal consolidation when penetrating the mandrel considering the variance of ratio between diameter and height in drainage sample through the experiment of the oedometer test and Rowecell and also investigated the disturbance area in smear zone by interior model test, the strength originated by disturbance, the variance in characteristics of the consolidation. As the result, the large block sample has been investigated that ihe uniaxial compression test(qu) was shown bigger than the piston sample by about 11-19%. Under the size of anistropy in consolidation, the coefficient ratio of consolidation(ch/cv,) perfomed by standard consolidation test(SC) was shown bigger than that of (Cro/Cv) by the Rowecell test. And the coefficient ratio of consolidation(Cro/Cv) perfomed by piston sample was evaluated bigger than that Of (Cro/Cv) by the large block sample by about 0.9-1.9. The coefficient ratio of consolidation along with the variance in ratio of between diameter and height when penetrating the mandrel was shown big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oil of the specimen. In addition, ds/dw of smear zone at the marine clay in west-south was ranged from 1.6 to 4.2. The width of variance in rat io[(qud)/(quud)] of strength n the area between disturbance and undisturbance was shown big as about 72-91% but the principle was judged with the similiar range when the decrease of the strength in smear zone become the zone under 25% in unditurbance area.

  • PDF

서해안지역 어패류의 크롬(Cr)과 코발트(Co) 함량 (Contents of Cr and Co in Some Fisheries Caught in the West Coast)

  • 김애정;김선여;이완주
    • 분석과학
    • /
    • 제11권1호
    • /
    • pp.29-35
    • /
    • 1998
  • 서해안 일부지역에서 채취되는 어패류를 동결 건조한 후 ICP-AES분석법을 이용하여 수분함량, 크롬과 코발트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수분함량은 연체류>어류>갑각류 순이었고 연체류의 수분함량은 갑각류에 비해 유의성있게 높았다. 어류, 연체류 및 갑각류간의 크롬함량은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코발트함량은 갑각류가 어류나 연체류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그리고 어패류 중에 존재하는 크롬과 코발트함량 사이의 연관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체류중의 크롬함량이 422ppm으로 가장 높이 존재하는 것은 피조개였고, 박대, 맛살 및 보리새우는 어류, 연체류 및 갑각류 각각에서 크롬과 코발트의 함량이 모두 높은 시료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