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eds dry weight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7초

건답직파재배(乾畓直播栽培)에서 재생지(再生紙) 멀칭에 따른 잡초발생(雜草發生)과 벼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 (Effect of Recycled Paper Mulch on Weed Occurrence and Yield in Dry-seeding Rice Culture)

  • 이변우;최일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81-285
    • /
    • 1998
  • 골판지 고지로 제조된 재생 멀칭지를 벼 파종시 피복하여 멀칭지의 분해, 잡초 발생, 벼의 생육 및 수량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건답상태에서는 멀칭지의 분해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관개한 후부터 분해속도가 급격히 빨라져서 파종 후 80일인 7월 20일경까지 멀칭지는 50% 정도 분해되었다. 2. 벼 생육초기에는 종이멀칭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잡초가 방제되었으며, 생육후기에는 멀칭지의 분해 및 후기잡초의 발생으로 방제효율이 다소 떨어지기는 하였지만 잡초 방제가는 제초제에 의해 잡초를 방제한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3. 멀칭처리구의 수량은 무멀칭 제초제 처리구와 차이가 없었다. 4. 이상의 결과로부터 볼 때 벼 건답직파(乾畓直播)재배에서 종이멀칭에 의해 잡초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수량 또한 제초제에 의해 잡초방제를 하는 관행 재배와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수도(水稻)의 이앙시기(移秧時機)와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이 잡초(雜草)의 발생(發生)과 수도(水稻)의 생장(生長)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mergence, Growth of Weeds and Growth, Yields of Rice as Affected by Rice Transplanting Time and Nitrogen Levels)

  • 변종영;심이성;안수봉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9-25
    • /
    • 1984
  • 수도(水稻)의 이앙시기(移秧時期)와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을 달리하였을 때 발생되는 잡초의 발생량(發生量)과 수도(水稻)의 생육(生育) 및 수량(數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하여 잡초방제(雜草防除) 기술확립(技術確立)에 필요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提供)하고자 포장실험(圃場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우점잡초(優點雜草)는 알방동산이, 마디꽃, 물달개비, 너도방동산이, 올미, 올챙고랭이와 바람하늘지기였다. 2. 잡초(雜草)의 발생본수(放生本數)는 이앙기가 빠를수록 많았고 질소시비량이 증가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3. 잡초(雜草)의 건물중(乾物重) 5월 26일에 조기이앙(早期移秧)하였을 때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이 증가됨에 따라 감소되었으나 6월 10일 이후에 이앙하면 질소(窒素) 8 혹은 16kg/10a에서 건물중(乾物重)이 증가되었고 그 이상에서는 감소되었다. 4. 벼의 초장(草長), 건물중(乾物重), 엽면적지수(葉面積指數)와 수량(收量)은 이앙기(移秧期)가 늦을수록 적었으며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이 증가됨에 따라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5. 잡초(雜草)에 의한 벼의 감수율(減收率)은 이앙기(移秧期)가 빠르고 질소시비수준(窒素施肥水準)이 낮은 조건(條件)에서 높았다.

  • PDF

돼지풀이 작물과 잡초의 초기 생장에 미치는 Allelopathy 효과 (Allelopathic Effects of Common Ragweed (Ambrosia artemisifolia var. elatior) on the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Crops and Weeds)

  • 최봉수;송득영;김충국;송범헌;우선희;이철원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4-42
    • /
    • 2010
  • 돼지풀의 추출물에 의한 잡초의 발아와 토양혼입에 따른 작물 및 잡초의 초기생육을 조사하였다. 돼지풀의 잎 추출물은 줄기 및 뿌리 추출물보다 잡초의 발아를 억제시켰으며, 5%농도에서 돌피, 바랭이 및 금방동사니의 발아율은 각각 23.0, 19.5 및 9.2%로 대조구와 비교하여 각각 68.3, 74.7 및 87.3% 억제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돼지풀의 혼입에 의한 작물과 잡초의 출아율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는데 출아 억제효과는 돌피보다 바랭이와 금방동사니에서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돼지풀의 혼입은 콩과 옥수수의 출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돼지풀의 잎 혼입량이 5%까지 증가함에 따라 돌피, 바랭이, 금방동사니의 초장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각각 48, 63 및 66% 억제되었다. 돼지풀 혼입에 따른 잡초의 생육으로 돌피, 바랭이 및 금방동사니의 건물중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각각 72, 78 및 71% 억제되었다.

The Effect of Soil Textures on the Flowering characteristics and Green Manure Yield of Crimson Clover (Trifolium incarnatum L.) in Upland Soil

  • Cho, Hyeoun-Suk;Seo, Myung-Chul;Park, Tea-Sun;Kim, Jun-Hwan;Sang, Wan-gyu;Shin, Pyeong;Lee, Geon Hwi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67-367
    • /
    • 2017
  • Crimson clover, a legume crop, is a landscape crop and green manure crop that can be sowing in spring and autumn. Its red flower blooms in May, and serves various roles such as landscape composition, weeds suppressing, prevention of soil loss and nutrient on sloping land and supplying nitrogen and organic matter in soil. Thus, in order to utilize this crop in agriculture land, we evaluat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crimson clover cultivated in four different soil textures, sand, sandy loam, loam, and clay loam. The nitrogen content of crimson clover was 15.8 g kg-1 and C/N rate was 20.3. Its growth was good in sandy loam and loam. Its plant height was 42.5 cm in sandy loam and 49.5 cm in loamy, respectively, which are approximately 20 cm longer than the sand and clay loam. The crimson clover in sandy loam and loam bloomed about seven days earlier than those in sand and clay loam. Regarding number of flower per hill and flower length,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soil textures. Dry weight of crimson clover was 2.5 Mg ha-1, 2.3 Mg ha-1 each in sandy loam and loam. Therefore, it was approximately 0.8 ~ 1.1 Mg ha-1 higher than dry weight of sand and sandy loam. Plant height and dry weight of crimson clover was increased late harvest time. Nitrogen contribution were higher in loam and clay loam, when it was respectively 51.3 kg ha-1, 53.5 kg ha-1. Therefore, according to flowering properties and dry weigh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rimson clover was finest in sandy loam and loam.

  • PDF

여름철 휴경조건에서 잡초의 발생과 몇 가지 두과식물의 녹비로서의 이용성에 대한 비교 (Comparison of Weed Occurrence and Growth of Some Leguminous Plants for Green Manure Cover Crop During Summer Fallow)

  • 이광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69-175
    • /
    • 2007
  • 본 실험은 강원도 영서지역에서 맥류 수확 후 가을채소 파종까지 휴경을 하게 될 경우의 여름 휴경지 관리방안으로 가을채소용 두과녹비작물의 도입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여름철 휴경을 할 경우 주요 잡초는 바랭이, 방동사니, 쇠비름 그리고 털비름 등 비두과 식물로, 자연적인 두과식물의 출현은 없었다. 2. 두과식물을 6월 중순 로타리 경운 후 파종할 경우 동부와 예팥은 출현율이 높았으나, 돌콩과 헤어리벳치는 출현율이 낮았으며, 동계일년생 두과녹비작물인 헤어리벳치는 하계잡초와의 경합에서 도태되는 경향이었다. 3. 만성형식물인 동부는 잡초의 생육을 가장 크게 억제하였으며, 만성 예팥이나 돌콩, 그리고 헤어리벳치보다 생육량이 많았다. 따라서 우리나라 기상조건에서 여름철 휴경을 할 경우 두과식물의 인위적인 파종이 필요하며, 동부는 여름철 휴경지의 녹비작물로서의 이용 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착색(着色) 폴리에틸렌 필름 멀칭이 잡초(雜草)의 발아(發芽), 발생(發生) 및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olored Polyethylene Film Mulching on Germination, Emergence, and Growth of Weeds)

  • 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9-23
    • /
    • 1985
  • 1. 화간(畫間) 지온(地溫)은 나지(裸地), 투명(透明) 및 청색(靑色)필름에서 높은 반면, 흑색(黑色) 및 녹색(綠色)필름과 짚으로 멀칭한 경우에 낮으며 투광율(透光率)도 흑색(黑色)필름과 짚으로 멀칭하였을 때 매우 낮았다. 2. 바랭이, 쇠비름, 망초를 제외한 대부분의 잡초는 투명(透明)필름에서 발아(發芽)가 양호(良好)하였으나 흑색(黑色)필름에서는 불량(不良)하였다. 청색(靑色)필름에서 쇠비름, 강아지풀과 털비름의 발아(發芽)가 촉진(促進)된 반면, 망초, 메귀리, 명아주, 바랭이, 망초를 비롯한 대부분의 잡초(雜草)는 녹색(綠色) 필름에서 발아(發芽)가 억제(抑制)되었다. 3. 잡초발생본수(雜草發生本數)는 투명(透明)필름에서 가장 많았고, 나지(裸地)에서도 비교적 많이 발생(發生)되었으나 녹색(綠色) 및 청색(靑色)필름, 짚멀칭에서는 매우 적었으며 흑색(黑色)필름에서는 잡초(雜草)가 거의 발생(發生)되지 않았다. 4. 잡초(雜草)의 건물중(乾物中)은 투명(透明)필름과 나지(裸地)에서 매우 높은 반면, 녹색(綠色) 및 청색(靑色)필름, 짚멀칭에서는 현저하에 감소(減少)되었으며 흑색(黑色)필름에서는 잡초(雜草)의 생장(生長)이 완전히 억제(抑制)되었다.

  • PDF

몇가지 잡초(雜草)들의 Allelopathy 효과(效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Allelopathic Effects of the Several Weeds)

  • 심상인;손정규;이상각;강병화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1-218
    • /
    • 1991
  • 본(本) 실험(實驗)은 농경지(農耕地)에서 발생(發生)하는 주요(主要) 잡초(雜草)들의 allelopathic effect를 조사하기 위해서 잡초(雜草)들의 수용성(水溶性) 물질(物質)과 건조(乾燥)시킨 잡초(雜草)의 조직(組織)을 여러 농도(濃度)로 처리하여 지표식물(地表植物)의 발아(發芽)의 초기생육(初期生育)을 조사(調査)하였다. 실험(實驗)에 쓰인 여러가지 잡초종중(雜草種中)에 에서 쇠비름과 명아주의 allelopathic effect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명아주의 증유수(蒸溜水) 추출액(抽出液)은 지표(指標)가되는 식물(植物)의 발아속도(發芽速度)를 대조구(對照區)와 비교할때 감소(減少)시켰으나 쇠비름의 경우는 4.7% 증가(增加)시켰다. 온실(溫室) 실험(實驗)에서 쇠비름은 대맥(大麥), 대두(大豆), 무우, 옥수수 유묘(幼苗)의 출현속도(出現速度)를 대조구(對照區)의 30, 49, 36, 68%로 감소시켰다. 쇠비름과 명아주의 토양내(土壤內) 첨가물(添加物)은 지표식물(地表植物)의 초장(草長)과 건물중(乾物重)을 감소(減少)시켰다.

  • PDF

벼 직파재배(直播栽培) 유형(類型)에 따른 잡초발생(雜草發生) 및 벼의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Weed Occurrence and Yield Loss due to Weeds in Different Direct - Seeded Rice Paddy Fields)

  • 김현호;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2-19
    • /
    • 1998
  • 벼 직파재배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잡초 방제법을 확립하고자 농가답 잡초분포조사, 벼 직파재배 유형에 따르는 잡초발생 및 건답직파재배에서 파종기 이동에 따른 우점초종, 무제초시 재배유형별 수량감소 정도 등을 어린모 기계이앙재배와 비교분석하였다. 1. 벼 직파재배 농가답의 주요 우점잡초는 피, 바랭이, 너도방동산이, 여귀바늘 등으로 피는 44%로서 가장 많이 발생되었으나 Simpson 우점지수는 0.185로서 낮아 여러 초종이 다양하게 분포된 결과를 보였다. 2. 건답직파에서는 피 > 알방동산이 > 너도방동산이 > 여뀌바늘, 담수직파답에서는 피 > 올방개 > 올챙이고랭이 > 물달개비 순으로 우점되어 벼 직파재배시에는 피가 공통적으로 우점초종이었다. 3. 벼 재배유형별 건물중으로 나타낸 잡초발생량은 건답직파답에서 1,074g/$m^2$로 가장 많이 발생되었으며, 담수직파답에서는 723g/$m^2$으로 어린모이앙답의 218g/$m^2$ 보다 각각 3.3~5배 정도 더 많았다. 4. 무제초시 잡초발생에 따른 벼의 수량감소는 건답직파답에서 96%로 거의 수확량이 전무한 상태였으며 담수직파답에서는 61%, 그리고 어린모이앙답에서는 40% 감수되었다.

  • PDF

깎기주기, 통기작업, 시비수준 및 비료종류가 한국 잔디의 품질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wing interval, aeration, and fertility level on the turf quality and growth of zoysiagrass( Zoysia japonica Steud.))

  • 황연성;최준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9-90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understandings for proper management of zoysiagrass fairways. Mowing intervals of 2, 4 and 6-days, with and without aeration were compared at two fertility levels. Turfgrass quality, growth and pest infestation were evaluated. Turf density, number of tillers, leaf width and resiliency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mowing frequency. Turfgrass plots mowed every 2-day had greater density, tillering, and resiliency but had narrower leaf width compared to other mowing treatments. Clipping dry weight with every 2-day mowing increased in the early stage of mowing treatment regardless of fertilizer application rates but gradually decreased in the later stage of mowing treatment compared to every 4 or 6-day mowings. The dry weight of above-ground part was not affected by mowing frequency, but that of underground part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every 6-day mowing frequency(3.3kg/day/m2) compared to every 2 or 4-day mowings. The organic mater content in soil was not different among mowing treatments but it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the core aerification treatment, indicating significant effect of core aerification on thatch decomposition. Occurrences of weeds such as annual bluegrass and crabgrass according to mowing frequency were greater in every 2-day mowing treatment, while plots mowed every 6 days had less weed occurrence. Occurrence of rusts significantly increased in high fertility plots and frequently mowed turfgrasses.

  • PDF

시비조건과 제초제의 연용이 잡초군락의 변화와 수도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tilization and Yearly Application of Identical Herbicides on Weed Succession and Yields of Rice)

  • 이종영;박석홍;변종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87-292
    • /
    • 1981
  • 무비, 퇴비, 금비, 생고의 시비조건과 동일 제초제를 동일 포장에 4년간 연용하였을때 일어나는 잡초군락의 변화와 수도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잡초발생량은 모든 시비조건에서 매년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퇴비구에서 현저하게 급증되었다. 2. 올갱고랭 이는 전만적으로 모든 시비조건에서 최우점잡초이 었으며 무비구에서는 올방개, 을챙고랭이, 쇠털골, 전비구에서는 올방개 너도방동산이 물달개 비, 퇴비구에서는 가래, 을방개, 너도방동산이, 생고구에서는 올챙고랭이, 너도방동산이가 우점화원경 향이었다. 3. 잡초의 발생량은 제초제의 연용에 따라 매년 급증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Butachlor와 Nitrofen 구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다. 4. Butachlor 구에서는 가래, 을방개, 너도방동산이, Nitrofen 구에.서는 가래와 너도방동산이, Benthiocarb -S구에서는 너도방동산이, Bentazon 구에서는 가래, Oxadiazon과 CG 102구에서는 너도방동산이와 가래가 급증하는 경향이었다. 5. 제초제의 연용에 따라 일년생잡초는 Oxadiazon과 CG 102 Benthiocarb-S 구에서 증가되는 경향이 었으며 다년생잡초는 Butachlor, Nitrofen과 Bentazon을 연용함에 따라 급격히 증가되었다. 6. 수도의 수량은 제초제의 연용에 의하여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며 Butachlor와 Nitrofen 연용시에 감수정도는 더 큰 경향이었다. 7. 따라서 동일 제초제의 연용은 내성인 잡초의 만연을 초래하여 수도의 수량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제한된 특정 간제잡초를 방제할 수 있는 제초제와 번갈아 사용하거나 혼합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