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ed species

검색결과 518건 처리시간 0.026초

충남지역 배추재배지 발생잡초 분포특성 (Occurrence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weed species on upland Chinese cabbage fields in Chungnam province)

  • 황기선;엄민용;박수혁;원옥재;서수정;이인용;박기웅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4호
    • /
    • pp.303-308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utilize the basic data for weed control by surveying the occurrence of weed species. Total 63 sites of upland Chinese cabbage fields in Chungnam Province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 of survey, 71 weed species in 25 familie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to 39 annuals, 16 biennials and 16 perennials. Based on the occurrence ratio, the most weed species belonged to Compositae (20 species). 8, 6 and 5 weed species belonged to Poaceae, Cruciferae and Polygonaceae, respectively, and these 10 weed species in the most six families accounted for 50% of total weed occurrence. The most dominant weed species in upland Chinese cabbage fields were Portulaca oleracea (8.07%), followed by Digitaria ciliaris (7.54%), Rorippa palustris (6.44%), Chenopodium album (5.73%), Echinochloa crus-galli (5.02%) and Cyperus amuricus (3.95).

경남지역 밭 잡초 발생분포 및 군락변화 (Weed Population Distribution and Change of Dominant Weed Species on Upland Field in Gyeongnam Province of Korea)

  • 성덕경;배성문;김영광;조용조;이상대;심상인;정정성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3호
    • /
    • pp.199-208
    • /
    • 2015
  • 본 연구는 경남지역의 밭에서 발생하는 잡초의 분포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보리 재배지에서는 21과 55종, 마늘 재배지 22과 56종, 양파 재배지 19과 47종, 배추 재배지 26과 68종, 감자 재배지 22과 54종, 고구마 재배지 25과 62종, 고추 재배지 29과 87종, 옥수수 재배지 28과 79종, 콩 재배지 29과 84종이 발생되었다. 작목별 우점하는 초종은 보리 재배지 뚝새풀 20.7%, 마늘 재배지 황새냉이 12.3%, 양파 재배지 좀명아주 18.7%, 배추 재배지 쇠비름 8.1%, 감자 재배지 좀명아주 13%, 고구마 재배지 바랭이 12.6%, 고추 재배지 바랭이 12.6%, 옥수수 재배지 11.3%, 콩 재배지 바랭이 13.2%로 발생되었다. 동작물 재배지에서는 뚝새풀, 황새냉이 및 좀명아주가, 하작물 재배지에서는 바랭이, 쇠비름, 깨풀이 가장 문제시 되었다. 이러한 잡초 발생 정보는 경남지역 밭잡초 관리방안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Occurrence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weed species in organic paddy fields

  • Hwang, Ki Seon;Jung, Sunghoon;Kim, Sung-Chul;Chung, Doug-Young;Park, Kee Woo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3호
    • /
    • pp.325-331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ominance and distribution of weed species in organic and conventional paddy fields. The organic paddy fields were maintained for organic farming for more than five years in Anseong, Gyeonggi province of Korea. According to the Braun-Blanquet method, 42 and 36 weed species were found in the organic paddy fields in 2015 and 2016, respectively, while 38 and 36 weed species were found in the conventional paddy fields in 2015 and 2016,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wo years' survey, 53 species from 24 families in the organic paddy field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as 32 annuals, 3 biennials and 18 perennials. In conventional paddy fields, 51 species from 24 families (30 annuals, 6 biennials, and 15 perennial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y family, the most abundant weed species were Compositae (9 species), followed by Poaceae (8 species) and Polygonaceae (6 species) in organic paddy fields. In conventional paddy fields, Compositae (9 species) were the most abundant weed species, followed by Cruciferae (6 species), Poaceae, Polygonaceae, and Cyperaceae.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difference in diversity of weeds in paddy fields was influenced more by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than the type of cultivation. Our results could be used as a base data to control the occurrence of weed species in the paddy fields.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weed species on horticulture fields in Chungnam province of Korea

  • Hwang, Ki Seon;Eom, Min Yong;Park, Su Hyuk;Won, Ok Jae;Lee, In Yong;Park, Kee Woo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3호
    • /
    • pp.353-360
    • /
    • 2015
  • A survey of weed occurrence was conducted to identify problematic weed species in a horticultural crop field to get basic information for effective weed control. Surveys of weed species occurring in horticultural crop fields (garlic, onion, red pepper and Chinese cabbage) were conducted in Chungnam province of Korea from April to October in 2014. A total of 516 sites of the 17 regions were identified as having 114 weed species belonging to 32 families. The most dominant weed species in the horticultural crop fields were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8.83%), followed by Digitaria ciliaris (5.71%), Conyza canadensis (5.46%) and Capsella bursa-pastoris (4.67%). Specificall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occurrence of 35 species of exotic weeds, such as Chenopodium album and Taraxacum officinale, were confirmed. Almost 68% of the investigation sites was determined under dominance value 1 (range of cover < 10; numerous individuals) by Braun-Branquet cover-abundance scale, indicating a proper weed control in horticultural crop field. As a result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dvances, an improved cultivation method is changing the weed occurrence in agricultural land. Additional research needs to be undertaken for the development of weed control methods through such periodic monitoring of occurrence of weeds.

충남지역 포도원에서 발생하는 잡초분포조사 (The Survey of Weed Occurrence at Grape Orchard in Chungnam Province)

  • 황기선;노석원;이윤미;김지윤;이정선;이인용;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3호
    • /
    • pp.177-180
    • /
    • 2016
  • 본 연구는 충남지역 포도원의 발생잡초를 확인하고 잡초관리기술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5년 4월부터 6월, 9월부터 10월까지 2차례에 걸쳐 대전광역시와 세종특별자치시를 포함한 충청남도지역의 포도원에서 잡초분포조사를 수행하였다. 충남지역 포도원에서 발생하는 잡초는 일년생 33종, 다년생 17종을 포함하는 23과 50종의 발생을 확인하였다. 1차 조사에서는 새포아풀(7.07), 돌피(6.56), 바랭이(6.43), 냉이(5.63)가 우점하였고, 2차 조사에서는 속속이풀(9.59), 가는잎한련초(9.13), 바랭이(7.68), 새포아풀(7.68) 순으로 우점하였다. 잡초방제방법에 따른 잡초발생은 제초제만 처리한 경우 6과 7종으로 잡초종의 발생이 가장 적었으며, 예초와 경운을 이용한 경우 9과 21종으로 가장 많은 초종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fluence of Moisture, pH, Depth of Burial and Submerged Conditions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Emergence of Major Weed Species in Coconut Plantations of Sri Lanka

  • Senarathne, S.H.S.;Sangakkara, U.R.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06-214
    • /
    • 2010
  • The laboratory and green house studies evaluated the effect of three different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seed germination, seedling emergence and survival of four major weed species in coconut plantations, Mimosa pudica, Ureana lobata, Panicum maximum and Pennisetum polystachyon. Germination percentage of all the weed species was significantly reduced with increasing soil moisture stress, no germination was observed at -0.9 MPa. Germination of both grass seeds ranged from 8% to 25% and 10% to 45% as moisture stress decreased from -0.4 MPa to 0 MPa, respectively. In contrast, seeds of M. pudica, and U. lobata were moderately tolerant to soil moisture stress and best adapted to moist environment. All the weed species seeds germinated over a wide range of soil pH values with the highest germination occurring at pH 6. In all the species, seedling emergence was declined rapidly with increasing depth with the exception of U. lobata. Seedling emergence significantly declined when the duration of flooding was three days or longer in dicotyledonous weed species and two days or longer in monocotyledonous weeds. This study illustrates the adaptability of these weeds to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which would enable the development of management strategies to reduce their populations below economic threshold levels in coconut plantations.

전남지역 벼 재배방법에 따른 잡초 발생 특성 (Weeds on Rice Paddy Field of Jeonnam Western Region)

  • 임일빈;임보혁;박재현;장정한;임민혁;이인용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4호
    • /
    • pp.295-307
    • /
    • 2015
  • 본 연구는 전남지역 논에서 벼 재배양식별 잡초 발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3년 7월에 9개 시 군의 237지점에서 잡초분포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전체 논에는 일년생잡초가 33종, 다년생잡초 15종을 포함한 18과 45종의 잡초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발생한 잡초의 과별 구성을 보면 화본과 9종, 사초과 8종, 현삼과 4종 순으로 상위 3개 과가 포함하는 21종이 전체의 45.5%를 차지하였다. 조사된 잡초는 피 18.5%, 물달개비 12.3%, 개구리밥 8.2%, 올방개 5.2%, 올챙이고랭이 5.2% 순으로 우점하였다. 이번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앞으로 논 잡초의 발생양상을 예측하며 잡초군락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효과적인 잡초 관리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충남지역 사과원의 잡초관리방법과 잡초발생특성 (A Survey of Weed Occurrence and Management on Apple Orchard Fields in Chungnam Province in Korea)

  • 황기선;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1호
    • /
    • pp.5-9
    • /
    • 2016
  • 본 연구는 2015년 4월부터 6월(1차 조사), 9월부터 10월까지(2차 조사) 2차례에 걸쳐 대전광역시와 세종특별자치시를 포함한 충청남도지역의 사과원에 발생하는 잡초분포현황과 잡초관리방법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사결과 충남지역 사과원에 27과 64종의 잡초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중 일년생잡초는 39종이였으며 다년생 잡초는 25종이였다. 1차 조사에서는 새포아풀(6.51), 개불알풀(5.36), 질경이(5.36)순으로 우점하였으며, 2차 조사에서는 별꽃(5.73), 바랭이(5.36), 소리쟁이(5.18)순으로 우점 하였다. 발생잡초를 과별로 분류하면 국화과가 12종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화본과는 7종, 마디풀과는 6종 발생하였다. 잡초관리 방법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충남지역 사과원의 55%가 예초와 제초제나 경운 또는 초생재배를 함께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예초를 통해 잡초관리를 할 경우 25종의 잡초가 발생하여 방제효과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충남지역 사과원에서 선호하는 제초제는 glufosinate-ammonium으로 연간 2-3회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작약(芍藥) 재배포장(栽培圃場)에 발생(發生)하는 잡초(雜草)의 종류(種類)와 우점초종(優占草種) (Dominant Weed Species in Peony(Paeonia lactiflora Pallas) Fields)

  • 김세종;류정기;유오종;박소득;최부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4-50
    • /
    • 1998
  • 작약 재배지에서 발생하는 잡초의 종류와 우점초종을 조사하여 잡초 방제의 기초 자료로 활용코자 경북의 의성, 영천 농가 작약 포장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의성, 영천지역 작약재배지에 발생하는 초종수는 각각 14과 29종, 16과 30종의 잡초가 발생하였으며 두지역에서 총 17과 33종의 잡초가 발생하였다. 2. 잡초(雜草)의 분류학적(分類學的) 분포(分布)는 국화과 9종, 화본과 4종, 십자화과 3종, 마디풀과와 현삼과, 대극과가 각각 2종 등이었다. 3. 잡초의 생활사별 분류에 의한 발생비율은 일년생(一年生)이 19종(種)으로 57.6%, 월년생(越年生)이 8 종(種)으로 24.2%, 다년생(多年生)이 6 종(種)으로 18.2%이었다. 4. 형태적(形態的) 특성별(特性別) 잡초발생 초종은 화본과(禾本科) 4(12.1%), 광엽잡초(廣葉雜草) 25(84.8%), 사초과(莎草科) 1종(種)(3.1%)이었다. 5. 작약밭에 발생하는 주요 우점초종(優占草種)은 4월하순에는 냉이, 명아주, 쇠뜨기, 망초, 씀바귀, 6월하순에는 바랭이, 망초, 피, 쇠비름, 명아주, 8월하순에는 바랭이, 망초, 피, 쇠비름, 명아주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GIS 이용 잡초관리체계 연구 - 2. 논잡초 분포의 생태학적 분석과 GIS 분석의 차이 (GIS Application in Weed Management System - 2. Difference between Ecological Analysis and GIS analysis of Weed Population)

  • 박광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64-370
    • /
    • 1998
  • 1981 및 1992년도 우리 나라 논잡초 조사자료를 이용한 생태학적 종합우점도 분석과 GIS에 의한 분석결과에 대한 요약을 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1981년 생태학적 종합우점도 분석에 의하여 가장 우점도가 높았던 잡초는 물달개비이었으며, 이는 전국적인 논에 걸쳐 가장 발생밀도가 높은 것으로 이해되지만 GIS분석에 의한 전국지역에 걸친 발생밀도는 이와 큰 차이가 나타났다. 2. 1981년 GIS분석에 의한 일년생 광엽잡초 물달개비의 발생우점 지역으로서는 경기의 시흥, 여주지역, 충남의 당진, 예산, 아산, 공주, 청양, 부여, 논산, 천안, 금산 등이었으며, 경북지방은 점촌, 청도, 영천, 봉화, 영풍 등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발생량을 보였다. 3. 1992년 우점도가 가장 높았던 잡초는 다년생 사초과 잡초인 올방개이었으며. GIS분석에 의한 지역별 발생밀도는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주로 경기남부지역과 충남 중 서부지역, 전남 남 서부지역 등이 상대적으로 발생밀도가 높았다. 4. 1992년 올방개 발생이 극심한 지역은 경기 용인, 안성, 화성, 평택, 이천, 여주 일원과 충남의 서산, 당진, 태안, 천안, 공주, 아산, 청양, 예산, 대전일원, 전북의 장수, 전남의 무안, 나주, 해남 등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