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ed distribution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2초

경기북부 논 잡초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addy Weeds in Northern Gyeonggi-do)

  • 오영주;홍선희;이욱재;김창석;이인용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4호
    • /
    • pp.413-420
    • /
    • 2013
  • 기후변화는 기온, 강수량, 일사량 등을 변화시켜 잡초의 생육에 영향을 많이 미치며 잡초발생의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논에 발생하는 문제잡초의 대부분이 C4 식물이며 이는 기후변화에 의해 문제잡초 발생이 많아지며 잡초방제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논 잡초발생 현황을 조사하여 문제잡초의 향후 변화양상에 대비하고 자 수행하였다. 경기북부 논 잡초 조사결과 23과 41속 57종 7변종 1품종으로 총 65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전체 식물중에 일년생 식물은 46종이고 다년생 식물을 16종으로 분석되었다. 이중 사초과가 23.1%로 가장 비율이 높았으며 벼과, 마디풀과, 국화과 순으로 나타났다. 중요치 분석에서는 돌피가 가장 높았으며 여뀌바늘, 좀개구리밥, 물달개비, 사마귀풀순으로 분석되었다. 지역별로는 가평군, 고양시, 파주시, 의정부시, 김포시, 양주시에서는 돌피의 중요치가 높았으며 남양주시는 물달개비, 연천군은 사마귀풀, 동두천시, 포천시는 좀개구리밥의 중요치가 높았다. TWINSPAN 분석을 통한 시군의 잡초종의 유사성은 바람하늘지기, 마디꽃, 병아리방동사니에 의해 지역이 구분되었다. CCA 분석에서 잡초종과 토양환경을 이용한 지역간의 차이는 김포시가 높은 토양 EC와 파대가리, 애기부들에 의해 구분되고 남양주시가 낮은 토양 온도조건과 미꾸리낚시, 통발에 의해 다른 지역과 구별되었다.

말레이지아 세랑고지역 부식질토양경지 잡초식생의 정량생태분석 (Weed Flora of Arable Peat in Selangor, Malaysia - Quantitative and Spatial Pattern Analyses)

  • 바키 빈 바카;훼니 옹 뉵 인;권용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82-389
    • /
    • 1997
  • 말레이지아 Selangor지역(地域)의 부식질 경지토양(耕地土壤)에 분포(分布)하고 있는 경지(耕地)의 잡초식생(雜草植生)을 조사하고 정량적 생태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이 지역(地域) 경지잡초(耕地雜草) 종조성(種組成)은 19과(科)에 속하는 31종(種)의 광엽잡초(廣葉雜草), 10종(種)의 화본과(禾本科) 잡초(雜草), 7종(種)의 사초과(莎草科) 잡초(雜草)로 이루어졌고, 잡초(雜草)의 식생피도(植生被度)에서 각각 77. 8. 15%를 점유하였으며, 이들의 중요도(重要度)는 각각 71, 11, 18%이었다. 2. 이 지역(地域) 경지잡초(耕地雜草)중 10종(種)의 우점종(優點種)은 우점도(優點度) 순위(順位)에서 Fimbristylis acuminata, Murdannia nudiflora, Hedyotis corymbosa, Ageratum conyzoides, Asystasia gangetica, Cleome rutidosperma, Cyperus sphacelatus, Lindernia crustacea, Ludwigia hyssopiflora 및 Ludwigia perennis이었다. 3. 이상과 같은 초종간(草種間) 우점도(優點度) 및 공간분포유형(空間分布類型)의 차이(差異)는 각 초종(草種) 본래(本來)의 종자생산성(鐘子生産性) 및 번식습성(繁殖習性)과 군집성(群集性)의 차이(差異)와 이 지역(地域) 경지(耕地)의 작물종류(作物種類), 작부체계(作付體系) 및 경종방법(耕種方法)과 제초관행(除草慣行)의 차이(差異)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 PDF

경남지역 시설원예작물 재배지 및 표토관리별 잡초발생 양상 (Distribution of Weeds with Different Surface Management Systems of Greenhouse Soil in Gyeongnam Province)

  • 황재복;윤을수;박창영;박성태;남민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21-228
    • /
    • 2011
  • 본 연구는 시설원예작물 후작물의 재배가 증가하고 있어 이들 작물에 대한 효과적인 잡초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시설작물 재배지를 중심으로 작물별로 춘 추계 분포 상태와 하계 표토관리 방법별로 잡초발생 양상을 조사하였다. 시설작물 재배지 시기별로 춘계에는 24종으로 화본과 잡초 3종, 방동사니과 잡초 2종, 그리고 광엽잡초가 19종 발생하였으며, 추계에는 33종으로 화본과 7종, 방동사니과 3종, 그리고 광엽잡초가 23종 조사되었다. 시설내 춘 추계 잡초의 과별로는 국화과는 한련초, 쑥 등 9종, 화본과는 피, 뚝새풀 등 7종, 방동사니과는 알방동사니, 올방개 등 4종, 십자화과는 개갓냉이 등 3종, 석죽과는 쇠별꽃 등 3종, 대극과와 마디풀과가 각각 2종, 그리고 괭이밥과 등 총 18과로 분류되었다. 추계시설 내 잡초 우점순위를 보면, 바랭이 11.6%> 참방동사니 10.9%> 쇠비름 10.5%> 속속이풀 8.3%> 주름잎 7.8%로 대부분이 밭잡초의 우점순위가 높았으며 한련초, 피, 알방동사니, 여뀌바늘과 같은 논잡초도 발생되었다. 한편, 시설작물 수확 후 표토관리 방법별 잡초 발생은 하계 일년생 잡초로는 한련초, 참방동사니, 쇠비름, 왕바랭이 4종, 동계 일년생 잡초는 좁쌀냉이, 속속이풀, 꽃마리 3종이었다. 그리고 다년생 잡초로는 괭이밥으로 전체 7과 8종이 발생하였다. 적산우점도로는 경운 시 좁쌀냉이 88.1%> 한련초 57.5%> 쇠비름 55.2%> 괭이밥 53.4% 순이었다. 비닐제거구에서는 쇠비름이 88.9%> 한련초 57.9%> 꽃마리 25.1%> 왕바랭이 23.7% 순이었다. 비닐피복구는 쇠비름 98.7%> 꽃마리 49.1%, 한련초 36.8% 순이었다.

전북지역 제초제 저항성 논 잡초 발생분포 및 제초제 사용실태 (Fact-Finding Survey of Herbicide Use at Farmer's Level and Distribution of Herbicide Resistant Weeds in Paddy Field of Jeonbuk Province, Korea)

  • 조승현;권석주;송영은;이덕렬;송영주;김정곤;이인용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4호
    • /
    • pp.312-317
    • /
    • 2014
  • 전라북도 지역 논에서 발생되고 있는 저항성잡초와 문제 잡초의 발생 모니터링을 통하여 효율적인 논 잡초 방제기술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북지역 논에서의 잡초 발생 분포와 재배농가들이 선호하는 제초제 등을 설문조사한 결과, 우점초종은 피, 올방개, 올챙이고랭이, 물달개비 등이었으며 재배농가들이 선호하는 제초제는 초 중기처리 제초제(48.0%)>이앙전처리 제초제(36.7%)>경엽처리 제초제(15.3%) 순이었다. 논 토양조사에 의해 전북지역 제초제 저항성잡초 발생정도를 조사한 결과, 제초제 저항성잡초 발생면적은 총 재배면적의 18.4%인 24,413 ha 였으며 발생 초종은 4초종으로 올챙이고랭이(39.0%)>물달개비(27.8%)>강피(16.6%), 알방동사니(16.6%) 순으로 발생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전북지역의 제초제 저항성잡초 발생을 예측하고 이에 맞는 제초제 저항성잡초 관리 방안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동부지역 밭잡초의 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Weed Species on Dry Field in the Eastern Region of Korea)

  • 조광진;오영주;이욱재;최정오;손수인;김명현;양동우;김창석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3호
    • /
    • pp.188-19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동부지역(강원도, 경상남도, 경상북도)의 밭에서 발생하는 잡초의 분포현황 및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조사결과 밭내부(IDF), 밭둑(EDF), 경사면(LS)에서 46과 117속 127종 1아종 22변종이 포함된 150분류군이 조사되었고 밭내부에서 83분류군이, 밭둑에서 133분류군이, 경사면에서 10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우점종을 나타내는 상대기여도(rNCD)는 밭내부에서는 쇠비름, 밭둑에서는 바랭이, 경사지에서는 환삼덩굴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과별로는 국화과, 벼과, 마디풀과, 콩과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생활형은 Th-R5-D4-e로 특징지어졌으며 세부 서식처도 동일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교란지수는 작물을 직접적으로 재배하는 밭내부가 83.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밭둑 68.4%, 경사면 62.9% 순이었고 귀화율도 밭내부가 28.9%, 밭둑이 22.6%, 경사면 20.0%로 조사되었다. 밭에서 서식처의 안정성은 밭잡초의 교란지수, 귀화율, 제초관리, 토지이용 강도나 인위적 간섭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경북지역 고추, 콩, 옥수수, 배추밭의 잡초종 발생 분포와 우점 양상 (Dominance and Distribution of Weed Occurrence on Hot Pepper, Soybean, Maize, and Chinese Cabbage Fields of Gyeongbuk Province)

  • 김상국;김학윤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2호
    • /
    • pp.95-103
    • /
    • 2015
  • 본 연구는 2014년 4월부터 9월까지 경북지역 17개 시 군의 고추, 콩, 옥수수 및 배추 재배포장에 발생되는 잡초의 분포와 우점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사결과, 고추밭 32과(family) 132종(국화과 23종, 벼과 10종, 메꽃과 8종), 콩밭 31과 116종(국화과 21종, 벼과 10종, 메꽃과 9종), 옥수수밭 37과 134종(국화과 16종, 벼과 12종, 메꽃과 11종), 배추밭 35과 170종(국화과 28종, 메꽃과 14종, 벼과 13종)이 출현하였다. 작물별 우점도는 고추밭 쇠비름 10.07, 콩밭 바랭이 9.63, 옥수수밭 바랭이 8.28, 배추밭 속 속이풀 8.35로 나타났다. PCA-covariance 분석을 통한 주요 잡초군락은 냉이로 대표되는 배추밭과 돌피로 대표되는 옥수수밭 그리고 공통적으로 왕바랭이, 쇠비름 및 깨풀로 대표되는 고추밭과 콩밭으로 구별되었다.

최근(最近)의 경기지역(京畿地域) 논 잡초분포(雜草分布) 조사(調査) (The Survey of Weed Population Distribution in Kyonggi Area)

  • 김희동;김영호;주영철;성문석;최영진;이동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6-51
    • /
    • 1992
  • 1991년(年) 경기도(京畿道) 벼 식부(植付) 면적(面積) 172,000ha를 대상(對象)으로 500ha당(當) 1점(點)씩 기준(基準)하여 340개(個) 지점(地點)에서 답종류별(稻種類別)로 구분(區分)하여 실시(實施)한 잡초분포(雜草分布) 조사결과(調査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잡초분포(雜草分布)는 화본과(禾本科) 4종(種), 방동산이과(科) 7종(種), 광엽(廣葉) 및 기타 14종(種) 등(等) 총(總) 25종(種)이였으며 일년생(一年生)과 다년생(多年生) 잡초분포비율(雜草分布比率)은 25:75로 다년생(多年生) 잡초(雜草)가 많았다. 2. 우점도(優占度)가 높은 초종(草種)은 올방개, 벗풀, 피, 너도방동산이 등(等)이었다. 3. 농업(農業) 지대별(地帶別) 우점(優占) 잡초(雜草) 분포(分布)는 남부(南部) 평야지(平野地)에서는 피, 올방개, 벗풀, 너도방동산이 등(等), 서부해안(西部海岸) 지역(地域)에서는 올방개, 벗풀, 피, 너도방동산이 등(等), 동부내륙(東部內陸) 지역(地域)에서는 올방개, 벗풀, 피, 알방동산이 등(等), 북부지역(北部地域)에서는 벗풀, 올방개, 피, 물달개비 등(等)이 분포(分布)하였다. 4. 답(畓) 종류별(種類別) 우점초종(優占草種)은 보통답(普通畓)과 습답(濕畓)에서는 올방개, 벗풀, 피, 너도방동산이 등(等), 염해답(鹽害畓)에서는 매자기, 너도방동산이, 피, 물수세미 등(等)이었다. 5. 작부양식별(作付樣式別) 잡초(雜草) 발생량(發生量)은 1모작(毛作) 지대(地帶)가 2모작(毛作) 지대(地帶)보다 많이 발생하였다.

  • PDF

최근(最近) 한국(韓國)의 논 잡초분포(雜草分布)에 관하여 (Distribution of Weed Population in the Paddy Field in Korea, 1981)

  • 오윤진;구연충;이종훈;함영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1-29
    • /
    • 1981
  • 1981년(年) 전국(全國) 1,760개소(個所)에서 작부양식별(作付樣式別), 답유형별(畓類型別)로 논 잡초분포(雜草分布)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1. 조사(調査)된 초종(草種)은 화본과(禾本科) 2종(種), 방동산이과(科) 7종(種), 광엽잡초(廣葉雜草) 18종(種)이었다. 2. 초종분포(草種分布)와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의 분포비율(分布比率)은 중북부지역(中北部地域)이 남부지역(南部地域)보다 많았다. 3. 우점도(優占度)가 높은 잡초(雜草)는 물달개비 벗풀, 가래, 올미, 너도방동산이 등(等)이고 4. 1모작답(毛作畓)은 2모작답(毛作畓)보다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이 많고 5. 1모작답(毛作畓) 중(中)에서도 춘경답(春耕畓)에서 추경답(秋耕畓)보다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이 많으며 6. 2모작답(毛作畓) 중(中)에서도 맥류재배답(麥類栽培畓)에서 채소재배답(菜蔬栽培畓)보다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이 많았다. 염해답(鹽害畓)과 습답(濕畓)에서 보통답(普通畓)에서보다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이 많았고 어느 답조건(畓條件)에서나 1년생(年生)보다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의 발생량(發生量)이 많았다.

  • PDF

더덕 및 참취포장에서의 물리적인 방법을 이용한 잡초방제 I. 더덕 및 참취포장에서의 주요잡초 분포양상 및 잡초종자발아에 미치는 황산 및 열처리효과 (Weed Control in Herb Field by Means of Physical Treatments I.Weed Occurrence in Herb Field and Effect of $H_2SO_4$ and Heating on the Germination of Weed Seeds.)

  • 강화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69-174
    • /
    • 1997
  • 1. 더덕 및 참취 포장에 출현빈도로 나타나는 주요 우점 잡초는 더덕포장에서는 바랭이, 여뀌, 씀바귀, 명아주 등이었으며, 참취포장에서는 바랭이, 망초, 깨풀, 쇠비름, 여뀌, 민들레 등이었다. 그리고, 생체중으로 본 주요 우점잡초는 더덕포장에서는 쇠비름, 여뀌, 명아주, 피, 닭의장풀, 바랭이등이었고, 취나물포자엥서는 쇠비름, 여뀌, 피, 털진득찰, 망초등이었다. 2. 더덕포장에서는 쌍자엽 잡초의 생체중이 1133g/$m^2$로 전체 잡초 생체중의 84.9%를 차지하였고 화본과 잡초가 13g/$m^2$로 12.5%, 사초과 잡초가 28g/$m2$로 2.6%를 차지하여 주로 쌍자엽 잡초가 발생하는 결과를 보였다. 3. 대부분 농황산 처리를 하였을 때 잡초 종자의 발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농황산 처리 시간과 잡초발아율과는 잡초종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4. 쇠비름 건조종자에는 $80^{\circ}C$ 3분 처리시 무처리에 비해 50%의 발아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150^{\circ}$이상의 고온에서는 30초 전후의 처리시간으로 100% 발아억제효과를 보였다. 습윤종자가 건조종자에 비해 발아력 상실에 요하는 온도 및 처리시간이 낮거나, 단축되는 경향을 보이며 $100^{\circ}C$의 30초 처리시, 쇠비름이 78%의 발아율을 보인 반면, 바랭이는 발아가 전혀 되지 않아 고온에 대한 종자 활력의 감퇴가 쇠비름 종자 보다 바랭이 종자가 더 심하였다.

  • PDF

벼 직파재배(直播栽培) 유형(類型)에 따른 잡초발생(雜草發生) 및 벼의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Weed Occurrence and Yield Loss due to Weeds in Different Direct - Seeded Rice Paddy Fields)

  • 김현호;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2-19
    • /
    • 1998
  • 벼 직파재배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잡초 방제법을 확립하고자 농가답 잡초분포조사, 벼 직파재배 유형에 따르는 잡초발생 및 건답직파재배에서 파종기 이동에 따른 우점초종, 무제초시 재배유형별 수량감소 정도 등을 어린모 기계이앙재배와 비교분석하였다. 1. 벼 직파재배 농가답의 주요 우점잡초는 피, 바랭이, 너도방동산이, 여귀바늘 등으로 피는 44%로서 가장 많이 발생되었으나 Simpson 우점지수는 0.185로서 낮아 여러 초종이 다양하게 분포된 결과를 보였다. 2. 건답직파에서는 피 > 알방동산이 > 너도방동산이 > 여뀌바늘, 담수직파답에서는 피 > 올방개 > 올챙이고랭이 > 물달개비 순으로 우점되어 벼 직파재배시에는 피가 공통적으로 우점초종이었다. 3. 벼 재배유형별 건물중으로 나타낸 잡초발생량은 건답직파답에서 1,074g/$m^2$로 가장 많이 발생되었으며, 담수직파답에서는 723g/$m^2$으로 어린모이앙답의 218g/$m^2$ 보다 각각 3.3~5배 정도 더 많았다. 4. 무제초시 잡초발생에 따른 벼의 수량감소는 건답직파답에서 96%로 거의 수확량이 전무한 상태였으며 담수직파답에서는 61%, 그리고 어린모이앙답에서는 40% 감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