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App

검색결과 257건 처리시간 0.033초

실시간 미디어 통신을 위한 하이브리드 웹앱 (Hybrid Web App for Real-Time of Media Communications)

  • 최성자
    • 한국콘텐츠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4-37
    • /
    • 2016
  • H/W, S/W 기술과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기술융합이 혁신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미디어 통신을 위한 기술 또한, 쉽고,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미디어 통신은 데이터 유형이 다양하고, 미디어 스트림의 경우 전송양이 방대하며, 전송기술 또한 다양하게 적용된다. 최근에는 웹을 활용한 전송기술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표준기술로 webRTC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무비용의 빠르고 쉽게 미디어 전송을 가능하게 하며, 다양한 스마트 및 미디어기기에 동일한 플랫폼이 제공 가능함으로써 개발비용을 단축시킬 수 있다. WebRTC 기술발전 과정 및 제공되는 플랫폼과 프로토콜 스택을 살펴보고, 멀티플랫폼이 제공 가능한 하이브리드 스마트 앱을 제공한다.

스마트 모바일 지원을 위한 HTML5 기반의 사례관리 실시간 커뮤니티 시스템 개발 (Smart mobile support for HTML5-based real-time Community Case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 이봉수;김봉한;오동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0호
    • /
    • pp.289-29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의 모바일 특성을 활용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서비스할 수 있고, 기존의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던 다양한 서비스들이 모바일에서도 구현될 수 있는 사례관리 실시간 커뮤니티 시스템을 연구하여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일반 PC/노트북이외에 스마트모바일까지 동일한 환경 제공을 위한 HTML5 웹 전환과 동일한 Network 상의, 장치별 브라우저 Size를 고려한 최적의 인터페이스 구성하여 차세대 웹표준 HTML5기반 통합사례관리 웹과 모바일 웹으로 구현하였으며,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기기 OS를 지원하는 SenchaTouch Mobile Framework 기반의 Hybrid App 개발하여 서버 간 실시간 동기화 및 메시지 Push Notification 기능 구현을 통하여 관리자와 보호자 간 대상자 실시간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구현하여 실시간 사례관리 커뮤니티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모바일 웹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한 Node.js 파일에 대한 조사 (An Investigation into the Applicability of Node.js as a Platform for implementing Mobile Web Apps.)

  • 라이오넬;장종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86-28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오직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만을 사용하여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앱에서 Node.js 파일이 비동기 차단, 비 차단, 이벤트 기반 프로그램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로 잘 알려진 MongoDB를 사용하여 App 사용자에 의해 전송된 방대한 데이터들을 처리한다. Node.js는 프로그래머가 동시 접속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원격 사용자들이 드라이버 입력을 전달하고 외부 응용 프로그램에서 출력을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고려하고 있는데, 차량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분석 할 수 있는 스마트 폰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응용 프로그램을 구현하여 제안 된 구조의 효과를 보여주고자 한다.

  • PDF

도형 검출을 통한 건축 평면도 자동 변환 웹앱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Apps that Automatically Convert Floor Plan by Detecting Geometric Shapes)

  • 손다연;김도영;신동호;왕태수;장종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25-228
    • /
    • 2022
  • 한국건축정책학회의 건축 설계 대가 산정 방법은 설계 기간 중 투입된 시간을 고려한다. 그래서 설계 시간을 단축하면 설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실제 건축학과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반복되는 도면 작성으로 인한 피로감과 도면 작성 시 고려할 사항이 많다는 점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건축 설계 과정 중 도면화 단계에서 스케치를 규격화된 평면도로 자동 변환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사용자의 편리를 위한 웹앱을 구현한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스케치 이미지를 웹앱을 통해 등록하게 되면 프로그램은 도형 검출을 통해 도면 내 공간을 분리한다. 스케치에 표기된 치수와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외벽과 내벽을 표시하고 공간에 적절한 인테리어를 배치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건축 설계 단계 중 도면화 과정의 시간을 줄여 설계 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으며, 실제 건축 전공자 학생들 중 95.2%는 본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싶다는 의향을 밝혔다.

  • PDF

내장형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델 기반 모바일 웹앱 자동 생성 도구 (User Interface Model Based Automatic Mobile Web Application Generation Tool for Embedded Systems)

  • 최기봉;김세화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13-27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모델로부터 모바일 웹앱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도구를 제시한다. UI 모델은 UI 중심적인 내장형 시스템을 UI 모델링을 통해 효율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방법인 PELUM(Pattern and Event based Logical UI Modeling)을 기반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도구는 모델 편집기와 코드 생성기로 이루어져 있다. 모델 편집기는 웹 상에서 논리적 UI 모델(LUM)과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모델(PIM)을 모델링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코드 생성기는 LUM을 기반으로 앱의 화면구성 및 이벤트 동작을 설정하고 PIM을 기반으로 로컬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자동으로 구성하여 모바일 웹앱을 생성한다. 또한 PIM에서 외부 혹은 open API 주소를 입력 받아 매쉬업 웹앱을 생성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생성된 모바일 웹앱은 사용자가 손쉽게 최적화할 수 있도록 Model-View-Controller(MVC) 아키텍처로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웹 상에서 UI를 모델링하여 여러 기기에서 동작 가능한 모바일 웹앱을 생성할 수 있다.

앱 엔진기반의 클라우드 환경에서 Python 및 Go로 작성된 웹어플리케이션의 성능 비교 (A Study on Tools for Agent System Development The Performance Comparison of Web Applications Written Using Python and Go in Google App Engine-based Cloud Environment)

  • 강민지;우별;이도영;조승현;문봉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13
    • /
    • 2015
  • Google App Engine(GAE)은 플랫폼 서비스 형태(Platform as a Service, PaaS)의 클라우드 인프라이며 GAE를 기반으로 웹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도록 다양한 개발 도구를 제공해 준다. 본 논문에서는 Python 및 Go를 이용하여 GAE 상에서 구현한 클라우드 기반의 web application들의 성능을 비교하고자 한다. 각 web application의 주요 기능은 회원가입, 로그인, 채팅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특히, 회원목록이나 채팅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GAE에서 제공하는 Google Datastore를 사용하였다. 성능비교를 위하여 Python2.5, Python 2.7 및 Go를 사용하여 통일한 기능의 web application을 구현하였으며 각각의 메뉴에 대하여 서버 로직의 실행과 장고 (Django) 스타일의 HTML 템플릿을 렌더링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구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Automatic Extraction of Dependencies between Web Components and Database Resources in Java Web Applications

  • Oh, Jaewon;Ahn, Woo Hyun;Kim, Taego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7권2호
    • /
    • pp.149-160
    • /
    • 2019
  • Web applications typically interact with databases. Therefore, it is very crucial to understand which web components access which database resources when maintaining web apps. Existing research identifies interactions between Java web components, such as JavaServer Pages and servlets but does not extract dependencies between the web components and database resources, such as tables and attributes. This paper proposes a dynamic analysis of Java web apps, which extracts such dependencies from a Java web app and represents them as a graph. The key responsibility of our analysis method is to identify when web components access database resources. To fulfill this responsibility, our method dynamically observes the database-related objects provided in the Java standard library using the proxy pattern, which can be applied to control access to a desired object. This study also experiments with open source web apps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QR코드를 활용한 코로나19 대응 관리시스템 (COVID19 Response Management System Using QR Code)

  • 장은겸;이수인;이효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1호
    • /
    • pp.145-146
    • /
    • 2021
  • 본 논문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코로나19 시대에서 확진자 동선을 파악하기 위해 매장 등 시설에 방문했다는 기록을 남기는 과정 중 방문자가 QR 코드를 생성하고 관리자가 방문자의 QR 코드를 인식하는 방식과 반대로 방문자가 매장의 QR 코드를 직접 인식하게 하여 방문자와 매장 관리자가 겪을 수 있는 불편함을 덜어주기 위한 논문이다. App은 방문자와 매장 관리자 App이 따로 나눠져 있으며 사용자 App은 관리자의 QR을 스캔하여 방문기록을 남기고 관리자 App은 QR 코드를 생성만 하고 출입문에 비치하기만 하면 된다. Web도 관리자와 사용자로 나눠지는데 사용자는 자신의 방문기록과 감염 위험 경로 목록을 확인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매장에 다녀간 방문자의 목록과 확진자가 다녀갈 경우 감염 위험 경로 목록에 해당 사용자 정보가 나타나게 설계하였다.

  • PDF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웹앱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WebApp System Based Smartphone)

  • 이명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4호
    • /
    • pp.209-213
    • /
    • 2013
  • 본 논문은 N-티어 모바일 웹앱 프레임워크 환경에서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웹앱 티켓 예매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모바일 프레임워크에서 표현 티어는 HTML5/CSS3와 센차터치를 이용하고, 미들 티어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와 마이바티스로 구성하며, 데이터베이스 티어는 오라클을 이용하여 엔터프라이즈 서비스의 모바일 웹앱 오피스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N-티어에서 앱의 지원 없이 배포 및 형상 관리에 신경 쓰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가진 모바일 프레임워크 환경에서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웹앱 티켓 예매 시스템을 분석 및 설계한 후 구현하고자 한다.

자바 웹 앱에서 서블릿 필터와 래퍼를 이용한 컴포넌트 협력 과정 자동 추출 기법 (Automatic Extraction of Component Collaboration in Java Web Applications by Using Servlet Filters and Wrappers)

  • 오재원;안우현;김태공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6권7호
    • /
    • pp.329-336
    • /
    • 2017
  • 웹 앱은 빠르게 진화하며 나날이 복잡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웹 앱의 검증(validation & verification)이 웹 앱의 개발 및 유지보수를 위해 더욱 중요해 지고 있다. 효율적인 검증을 위해서는 웹 앱 실행 시 일어나는 웹 컴포넌트 사이의 협력 과정(collaboration)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웹 페이지 요청 시 페이지 생성을 위해 실행되는 웹 컴포넌트와 이들의 협력 과정을 자동적으로 추출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복잡한 웹 개발 언어 및 기술에 덜 의존하는 동적 기법이며 웹 앱 소스를 블랙박스로 보고 웹 앱의 기능 변화 없이 협력 과정을 추출한다. 오픈 소스 웹 앱에 적용하는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