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 Novel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23초

크라우드 소싱 기반 딥러닝 선호 학습을 위한 쌍체 비교 셋 생성 (Generating Pairwise Comparison Set for Crowed Sourcing based Deep Learning)

  • 유기현;이동기;이창우;남광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1-11
    • /
    • 2022
  • 딥러닝 기술의 발전에 따라 학습을 통해 선호도 랭킹 추정을 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웹 검색, 유전자 분류, 추천 시스템, 이미지 검색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이용되고 있다. 딥러닝 기반의 선호도 랭킹을 추정하기 위해 근사(approximation) 알고리즘을 이용하는데, 이 근사 알고리즘에서 적정한 정도의 정확도를 보장할 수 있도록 모든 비교 대상에 k번 이상의 비교셋을 구축하게 되며, 어떻게 비교셋을 구축하느냐가 학습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크라우드 소싱 기반의 딥러닝 선호도 측정을 위한 쌍체 비교 셋을 생성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인 k-disjoint 비교셋 생성 알고리즘과 k-체이닝 비교셋 생성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특히 k-체이닝 알고리즘은 기존의 원형 생성 알고리즘과 같이 데이터 간의 연결성을 보장하면서도 안정적인 선호도 평가를 지원할 수 있는 랜덤적 성격도 함께 가지고 있음을 실험에서 확인하였다.

Amphidinium stirisquamtum sp. nov. (Dinophyceae), a new marine sand-dwelling dinoflagellate with a novel type of body scale

  • Luo, Zhaohe;Wang, Na;Mohamed, Hala F.;Liang, Ye;Pei, Lulu;Huang, Shuhong;Gu, Haifeng
    • ALGAE
    • /
    • 제36권4호
    • /
    • pp.241-261
    • /
    • 2021
  • Amphidinium species are amongst the most abundant benthic dinoflagellates in marine intertidal sandy ecosystems. Some of them produce a variety of bioactive compounds that have both harmful effects and pharmaceutical potential. In this study, Amphidinium cells were isolated from intertidal sand collected from the East China Sea. The two strains established were subjected to detailed examination by light, and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vegetative cells had a minute, irregular, and triangular-shaped epicone deflected to the left, thus fitting the description of Amphidinium sensu stricto. These strains are distinguished from other Amphidinium species by combination characteristics: (1) longitudinal flagellum inserted in the lower third of the cell; (2) icicle-shaped scales, 276 ± 17 nm in length, on the cell body surface; (3) asymmetrical hypocone with the left side longer than the right; and (4) presence of immotile cells. Therefore, they are described here as Amphidinium stirisquamtum sp. nov. The molecular tree inferred from small subunit rRNA, large subunit rRNA, and internal transcribed spacer-5.8S sequences revealed that A. stirisquamtum is grouped together with the type species of Amphidinium, A. operculatum, in a fully supported clade, but is distantly related to other Amphidinium species bearing body scale. Live A.stirisquamtum cells greatly affected the survival of rotifers and brine shrimp, their primary grazers, making them more susceptible to predation by the higher tropic level consumers in the food web. This will increase the risk of introducing toxicity, and consequently, the bioaccumulation of toxins through marine food webs.

웹툰 <화산귀환> 주인공 개성화 과정 연구 (A Study on the Individuation Process of the Protagonist in the Webtoon <Return of the Blossoming Blade>)

  • 임소영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9호
    • /
    • pp.152-158
    • /
    • 2023
  • 이 연구는 웹툰 <화산귀환>을 통해 제시되는 주인공 '청명'의 의식과 무의식, 개성화 과정을 융의 개성화 과정 이론에 접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성공한 웹소설을 기반으로 다양한 성별과 연령대의 독자층을 형성하고 있는 웹툰 <화산귀환>을 선정하였다. 융의 개성화 과정 이론에 접목하여 분석한 <화산귀환> 주인공의 개성화 과정은 첫째, 주인공의 자아는 무의식에서 파생된 그림자로부터 발생하였다. 둘째, 주인공의 페르소나는 현실에서는 사회적이며 긍정적이지만, 개인적인 페르소나는 드러낼 수 없는 그림자로 나타났다. 셋째, 주인공의 아니마/무스는 깊은 의식 내면과 현실을 연결하며, 페르소나와 보완적 관계에 있다. 넷째, 주인공의 자기(Self)는 총체적인 이상적인 인간과 화산의 근본을 상징한다. 주인공은 끊임없이 반복적으로 의식과 무의식의 통합과정을 거치면서 보상받는 과정에서 자기실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Unraveling the Web of Health Misinformation: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Emotions, and Motivations of Misinform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Vinit Yadav;Yukti Dhadwal;Rubal Kanozia;Shri Ram Pandey;Ashok Kumar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53-74
    • /
    • 2024
  • The proliferation of health misinformation gained momentum amidst the outbreak of the novel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eople stuck in their homes, without work pressure, regardless of health concerns towards personal, family, or peer groups, consistently demanded information. People became engaged with misinformation while attempting to find health information content. This study used the content analysis method and analyzed 1,154 misinformation stories from four prominent signatories of the International Fact-Checking Network during the pandemic. The study finds the five main categories of misinformation related to the COVID-19 pandemic. These are 1) the severity of the virus, 2) cure, prevention, and treatment, 3) myths and rumors about vaccines, 4) health authorities' guidelines, and 5) personal and social impacts. Various sub-categories supported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these categories. The study also analyzed the emotional valence of health misinformation. It was found that misinformation containing negative sentiments got higher engagement during the pandemic. Positive and neutral sentiment misinformation has less reach. Surprise, fear, and anger/aggressive emotions highly affected people during the pandemic; in general, people and social media users warning people to safeguard themselves from COVID-19 and creating a confusing state were found as the primary motivation behind the propagation of misinformation. The present study offers valuable perspectives on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spread of health-related misinformation amidst the COVID-19 outbreak. It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discerning the accuracy of information and the feelings it conveys in minimizing the adverse effects on the well-being of public health.

발생 간격 기반 가중치 부여 기법을 활용한 데이터 스트림에서 가중치 순차패턴 탐색 (Finding Weighted Sequential Patterns over Data Streams via a Gap-based Weighting Approach)

  • 장중혁
    • 지능정보연구
    • /
    • 제16권3호
    • /
    • pp.55-75
    • /
    • 2010
  • 일반적인 순차패턴 마이닝에서는 분석 대상 데이터 집합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의 발생 순서만을 고려하며, 따라서 단순 순차패턴은 쉽게 찾을 수 있는 반면 실제 응용 분야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는 관심도가 큰 순차패턴을 탐색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대표적인 연구 주제들 중의 하나가 가중치 순차패턴 탐색이다. 가중치 순차패턴 탐색에서는 관심도가 큰 순차패턴을 얻기 위해서 구성요소의 단순 발생 순서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의 가중치를 추가로 고려한다. 본 논문에서는 발생 간격에 기반 한 순차패턴 가중치 부여 기법 및 이를 활용한 순차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가중치 순차패턴 탐색 방법을 제안한다. 발생 간격 기반 가중치는 사전에 정의된 별도의 가중치 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순차정보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발생 간격으로부터 구해진다. 즉, 순차패턴의 가중치를 구하는데 있어서 구성요소의 발생순서와 더불어 이들의 발생 간격을 고려하며, 따라서 보다 관심도가 크고 유용한 순차패턴을 얻는데 도움이 된다. 한편, 근래 대부분의 컴퓨터 응용 분야에서는 한정적인 데이터 집합 형태가 아닌 데이터 스트림 형태로 정보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 생성 환경의 변화를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순차 데이터 스트림을 마이닝 대상으로 고려하였다.

스마트 홈 가스안전관리 시스템 개발 및 현장시험 (Development and Field Test of a Smart-home Gas Safety Management System)

  • 박규태;김은정;김인찬;김희식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28-135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가스안전에 적합한 무선 ZigBee통신모듈과 스마트 홈 가스안전기기 및 관리시스템 개발하여 가스안전관리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시스템과 시나리오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마이컴가스미터, 자동식소화기, 감지기 및 월패드로 구성된다. 마이컴미터는 가스압력, 가스유량, 지진을 모니터링한다. 자동식소화기는 가연성 가스의 누출상태, $100^{\circ}C$(차단)와 $139^{\circ}C$(화재)의 온도를 측정하며, 감지기는 연기와 일산화탄소(CO)를 검지한다. 제안한 시스템에서 가스사용중 이상상태발생시 마이컴가스미터는 경보와 함께 내부밸브를 차단시키고, 자동식소화기는 중간가스밸브를 차단하거나 소화약재를 분사시킨다. 감지기는 연기와 CO를 감지할 경우 각각 신호를 발생시켜 후속조치를 취하게 한다. 가스안전기기와 센서들은 자동적으로 조치를 취하고 그 정보를 월패드로 전달한다. 월패드는 실시간 상황정보를 서버에게 전달하고 사용자는 웹이나 모바일 앱을 통하여 서버에 접속하여 가스의 상황정보를 확인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기반 가스안전 및 위험관리의 시나리오를 고안하고 현장적용시험을 통하여 그 효율성을 증명하였다.

Prognostic Role of Hepatoma-derived Growth Factor in Solid Tumors of Eastern As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Bao, Ci-Hang;Liu, Kun;Wang, Xin-Tong;Ma, Wei;Wang, Jian-Bo;Wang, Cong;Jia, Yi-Bin;Wang, Na-Na;Tan, Bing-Xu;Song, Qing-Xu;Cheng, Yu-Fe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5호
    • /
    • pp.1803-1811
    • /
    • 2015
  • Hepatoma-derived growth factor (HDGF) is a novel jack-of-all-trades in cancer. Here we quantify the prognostic impact of this biomarker and assess how consistent is its expression in solid tumors. A comprehensive search strategy was used to search relevant literature updated on October 3, 2014 in PubMed, EMBASE and WEB of Science. Correlations between HDGF expression and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r cancer prognosis was analyzed. All pooled HRs or ORs were derived from random-effects models. Twenty-six studies, primarily in Eastern Asia, covering 2,803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ll of them published during the past decade. We found that HDGF overexpress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verall survival (OS) ($HR_{OS}=2.35$, 95%CI=2.04-2.71, p<0.001) and disease free survival (DFS) ($HR_{DFS}=2.25$, 95%CI =1.81-2.79, p<0.001) in solid tumors, especially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cholangiocarcinoma (CCA). Moreover, multivariate survival analysis showed that HDGF overexpression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poor prognosis ($HR_{OS}=2.41$, 95%CI: 2.02-2.81, p<0.001; $HR_{DFS}=2.39$, 95%CI: 1.77-3.24, p<0.001). In addition, HDGF overexpress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umor category (T3-4 versus T1-2, OR=2.12, 95%CI: 1.17-3.83, p=0.013) and lymph node status (N+ versus N-, OR=2.37, 95%CI: 1.31-4.29, p=0.03) in CCA.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literature available on the association of HDGF overexpression with OS, DFS and som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in solid tumors. Meta-analysis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HDGF may be a new indicator of poor cancer prognosis. Considering the limitations of the eligible studies, other large-scale prospective trials must be conducted to clarify the prognostic value of HDGF in predicting cancer survival.

블로그에서 포스팅 성향 분석과 갱신 가능성 예측 (Analysis of Posting Preferences and Prediction of Update Probability on Blogs)

  • 이범석;황병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7권5호
    • /
    • pp.258-266
    • /
    • 2010
  • 메타 블로그에 등록된 RSS(Really Simple Syndication)의 수는 수십만 개 또는 수백만 개에 이른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갱신 확인을 수행하는 것은 상당히 긴 시간과 네트워크 자원을 필요로 한다. 메타 블로그나 블로그 검색엔진은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하루에 방문할 수 있는 블로그의 수가 제한적이다. 하지만 블로그 검색엔진의 성능향상을 위해 새로운 데이터를 최대한 수집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우리는 이 논문에서 수집 효율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블로그의 포스팅 성향을 분석하여 그것을 토대로 향후 갱신 가능성에 대해 예측하고 갱신 가능성이 높은 시점에만 갱신 확인을 수행한다. 이 연구는 블로그의 입장에서는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DoS Attack: Distributed Denial-of-Service Attack)만큼이나 빈번한 갱신확인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고, 인터넷 전체로 보아서는 트래픽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블로거들의 포스팅이 이루어지는 요일과 시간에 특정한 패턴이 존재할 것이라는 가정을 하고, 15119개의 실제 블로그에 작성된 포스트에 대해 요일과 시간의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과거의 포스팅 이력과 요일에 대한 선호도를 바탕으로 갱신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12115개의 실제 블로그에 적용하여 그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성능평가를 통해 약 93.06%의 블로그에서 0.5 이상의 정확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누에 후부실샘 특이 발현 유전자 클로닝 (Cloning of the posterior silk glands specific-expressed gene of silkworm)

  • 박옥란;김성렬;김성완;강석우;구태원;최광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44-49
    • /
    • 2015
  • 본 연구는 누에 후부실샘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새로운 전사체를 탐색하고 이의 프로모터 영역을 분석함으로서 향후 형질전환누에 제작용 전이벡터 시스템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활용하고자 하였다. 우선 새로운 후부실샘 특이 발현 전사체 선발을 위해 ACP-based dd-PCR 방법으로 후부실샘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34개 PCR 증폭 산물이 선발되었는데, 이 중 지금까지 보고된 바 없는 새로운 전사체인 ACP-16(366 bp)이 선발되었다. Northern blotting hybridization 분석 결과, ACP-16은 후부실샘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전사체 발현량에서는 fibroin light chain 보다는 적었으며 전사체 크기에서는 fibroin light chain 보다는 다소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ACP-16 유전자 프로모터 영역을 클로닝 하기 위해 게놈 유전자은행으로부터 ACP-16 (366 bp)를 탐침으로 전체 17.4 kb 크기의 파이지 클론을 선발할 수 있었으며, 전사체 상류에 유전자 발현조절에 필요한 TATA box와 Cap box 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확보된 ACP-16 유전자의 프로모터 영역은 이후 코어 프로모터 개발 연구를 통하여 효과적인 누에 형질전환 시스템 구축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home 가스안전관리시스템 개발 및 성능시험 (Development and Performance Test of Gas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Ubiquitous Home)

  • 박규태;유근준;김영규;김영대;지차환;권종원;김희식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8권3호
    • /
    • pp.13-2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무선 ZigBee 통신모듈과 지능형 가스안전기기를 이용하여 u-홈 가스안전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가스안전관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마이컴가스미터, 자동식소화기, 감지기 및 월패드로 구성된다. 마이컴미터는 가스압력, 가스유량, 지진을 모니터링하고, 자동식소화기는 가연성 가스의 누출상태와 $100^{\circ}C$$130^{\circ}C$의 온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감지기는 연기와 일산화탄소(CO)를 검지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가스사용중 이상상태발생시 마이컴가스미터는 경보와 함께 내부밸브를 차단시키고, 자동식소화기는 중간가스밸브를 차단하거나 소화약재를 분사시킨다. 감지기는 연기와 CO를 감지할 경우 각각 신호를 발생시킨다. 가스안전기기와 센서들은 지능적 조치를 취하고 그 정보를 월패드로 전달한다. 월패드는 상황정보를 실시간으로 서버에게 전달하고 사용자는 웹기반으로 서버에 접속하여 가스의 상황정보를 확인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가스안전 및 위험관리의 시나리오를 고안하고 실험을 통하여 그 효용성을 증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