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eb Mining

검색결과 542건 처리시간 0.027초

Hybrid Internet Business Model using Evolutionary Support Vector Regression and Web Response Survey

  • Jun, Sung-Hae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6권 제2호
    • /
    • pp.408-411
    • /
    • 2006
  • Currently, the nano economy threatens the mass economy. This is based on the internet business models. In the nano business models based on internet, the diversely personalized services are needed. Many researches of the personalization on the web have been studied. The web usage mining using click stream data is a tool for personalization model.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ternet business model using evolutionary support vector machine and web response survey as a web usage mining. After analyzing click stream data for web usage mining, a personalized service model is constructed in our work. Also, using an approach of web response survey, we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customers' satisfaction.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we verify the performance of proposed model using two data sets from KDD Cup 2000 and our web server.

  • PDF

웹 마이닝을 위한 입력 데이타의 전처리과정에서 사용자구분과 세션보정 (User Identification and Session completion in Input Data Preprocessing for Web Mining)

  • 최영환;이상용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0권9호
    • /
    • pp.843-849
    • /
    • 2003
  • 웹 이용 마이닝은 거대한 웹 로그들을 이용하여 웹 사용자의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 데이타 마이닝 기술이다. 이러한 웹 이용 마이닝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처리 과정 중의 사용자와 세션을 정확하게 구분해야 하는데, 표준 웹 로그 형식의 로그 파일만으로는 완전히 구분할 수 없다. 사용자와 세션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로컬캐시, 방화벽, ISP, 사용자 프라이버시, 쿠키 등과 같은 많은 문제들이 있지만,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명확한 방법은 아직 없다. 특히, 로컬캐시 문제는 웹 마이닝 시스템의 입력으로 사용되는 사용자 세션을 구분하는데 가장 어려운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참조 로그와 에이전트 로그, 그리고 액세스 로그 둥의 서버측 클릭스트림 데이타만을 이용하여 로컬캐시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 세션을 구분하고 세션을 보정하는 휴리스틱 방법을 제안한다.

A Big Data Study on Viewers' Response and Success Factors in the D2C Era Focused on tvN's Web-real Variety 'SinSeoYuGi' and Naver TV Cast Programming

  • Oh, Sejong;Ahn, Sunghun;Byun, Jungmi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4권2호
    • /
    • pp.7-18
    • /
    • 2016
  • The first D2C-era web-real variety show in Korea was broadcast via tvN of CJ E&M. The web-real variety program 'SinSeoYuGi' accumulated 54 million views, along with 50 million views at the Chinese portal site QQ. This study carries out an analysis using text mining that extracts portal site blogs, twitter page views and associative terms. In addition, this study derives viewers' response by extracting key words with opinion mining techniques that divide positive words, neutral words and negative words through customer sentiment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success factors of the web-real variety were reduced in appearance fees and production cost, harmony between actual cast members and scenario characters, mobile TV programing, and pre-roll advertising. It is expected that web-real variety broadcasting will increase in value as web contents in the future, and be established as a new genre with the job of 'technical marketer' growing as well.

WebPR :빈발 순회패턴 탐사에 기반한 동적 웹페이지 추천 알고리즘 (WebPR : A Dynamic Web Page Recommendation Algorithm Based on Mining Frequent Traversal Patterns)

  • 윤선희;김삼근;이창훈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1B권2호
    • /
    • pp.187-198
    • /
    • 2004
  • 월드 와이드 웹(World-Wide Web)은 가장 커다란 분산된 정보저장소로서 계속하여 빠른 속도로 성장해왔다. 그러나 비록 웹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할지라도, 웹의 정보를 읽고 이해하는 데는 본질적으로 한계가 있다. 웹 사용자 입장에서 보면 웹의 정보 폭발, 꾸준하게 변화하는 환경, 사용자 요구에 대한 이해 부족 둥으로 오히려 혼란을 겪을 수 있다. 웹의 이러한 환경에서 사용자의 순회패턴(traversal patterns)을 탐사하는 것은 시스템 설계나 정보서비스 제공 측면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순회패턴 탐사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세션(sessions)에 나타나는 페이지들간의 연관성 정보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세션에 나타나는 페이지들간의 연관성 정보를 활용하여 빈발 k-페이지집합을 탐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추천 페이지집합을 생성함으로써 효율적인 웹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Web Page Recommend(WebPR) 알고리즘들을 제안한다. 제안한 WebPR 알고리즘은 웹 사이트를 방문한 사용자에게 추천 페이지집합을 포함하는 새로운 페이지뷰(pageview)를 제공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찾고자하는 목표 페이지에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기존 연구들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페이지들간의 연관성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들을 일관성 있게 고려하고 있다는 점과 가장 효율적인 트리모델을 제안한다는 점이다. 두개의 실제 웹로그(Weblog) 데이터에 대한 실험은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방법들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보여준다.

러프 셋 이론을 이용한 시퀀스 데이터의 클러스터링 알고리즘 (A Clustering Algorithm for Sequence Data Using Rough Set Theory)

  • 오승준;박찬웅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13-119
    • /
    • 2008
  • 월드 와이드 웹에는 거대한 양의 하이퍼링크들과 웹 사용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는 동적인 페이지들이 모여 있다. 이러한 구조화되어 있지 않은 웹 데이터들과 온라인 정보들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해 효율적인 웹 데이터 마이닝 툴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웹 사용자들의 특성을 자동적으로 발견하기 위한 Web usage mining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 사용자들의 방문 기록, 단백질 시퀀스, 소매점 거래 데이터 등과 같은 시퀀스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러프 셋 이론을 이용하여 시퀀스 데이터들을 클러스터링 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간단한 예제를 통하여 제안하는 절차를 소개하고 splice 데이터셋과 합성 데이터셋을 통한 실험 결과를 제시한다.

  • PDF

eCRM을 위한 데이터마이닝 에지전트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Data Mining Agent for eCRM)

  • 손달호;홍덕훈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236-244
    • /
    • 2006
  • 전자상거래의 성장에 따라 고객의 특성을 파악하고 고객의 기호에 맞는 정보를 제공하여 구매력에 영향을 주고 동시에 웹사이트 운영자의 정보선별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도구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시스템도구들은 웹운영기업에 경제적 부담을 주고 컴포넌트화 되어 있지 않아서 원하는 데이터를 수집하기보다는 수집된 데이터에 기업들의 요구정보를 맞춰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는 기업의 필요정보에 대한 맞춤형 웹에이전트 시스템의 설계로 도구기반 로그분석을 대신할 수 있는 시스템개발을 연구목적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웹에이전트는 설계언어로 Java와 ASP를 이용하였으며 데이터 저장방식은 쿠키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구현되었고 장기적 보존 데이터를 위해서 My-SQL의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스템은 데이터마이닝개념을 이용하여 도구에 분석데이터를 전달시키기보다는 적극적으로 웹사이트의 컴포넌트형 에이전트로 데이터를 가공하도록 하였고 따라서 고객 개인화 인터페이스 설계 뿐 아니라 의사결정과 전문가 시스템의 성격을 지닌 정보제공방식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여도가 있다고 본다.

  • PDF

전자상거래에서 FSM을 이용한 고객구매패턴 분석 (Analysis of Customer Purchase Patterns for Electronic Commerce Using FSM)

  • 주종문;황승국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53-67
    • /
    • 2003
  • 웹 마이닝은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의 발전과 함께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주로 전자상거래에서 구매자의 구매 경향을 분석하기 위해 중요한 주제로서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상거래에서 구매자의 구매과정을 퍼지환경으로 정의하고 기존의 웹 마이닝 방법론에 퍼지 이론을 도입한 새로운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 PDF

점진적인 웹 마이닝을 위한 효율적인 후보패턴 저장 트리구조 및 알고리즘 (An Efficient Candidate Pattern Storage Tree Structure and Algorithm for Incremental Web Mining)

  • 강희성;박병준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3-5
    • /
    • 2006
  • Recent advances in the internet infrastructure have resulted in a large number of huge Web sites and portals worldwide. These Web sites are being visited by various types of users in many different ways. Among all the web page access sequences from different users, some of them occur so frequently that may need an attention from those who are interested. We call them frequent access patterns and access sequences that can be frequent the candidate patterns. Since these candidate pattern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incremental Web mining, it is important to efficiently generate, add, delete, and search for them. This thesis presents a novel tree structure that can efficiently store the candidate patterns and a related set of algorithms for generating the tree structure adding new patterns, deleting unnecessary patterns, and searching for the needed ones. The proposed tree structure has a kind of the 3 dimensional link structure and its nodes are layered.

  • PDF

기계학습 기반의 웹 마이닝을 이용한 고객 세분화에 관한 연구 (Identification of Customer Segmentation Sttrategies by Using Machine Learning-Oriented Web-mining Technique)

  • 이건창;정남호
    • 산업공학
    • /
    • 제16권1호
    • /
    • pp.54-62
    • /
    • 2003
  • With the ubiquitous use of the Internet in daily business activities, most of modern firms are keenly interested in customer's behaviors on the Internet. That is because a wide variety of information about customer's intention about the target web site can be revealed from IP address, reference address, cookie files, duration time, all of which are expressing customer's behaviors on the Internet. In this sense, this paper aims to accomplish an objective of analyzing a set of exemplar web log files extracted from a specific P2P site, anti identifying information about customer segmentation strategies. Major web mining technique we adopted includes a machine learning like C5.0.

웹 마이닝과 의사결정나무 기법을 활용한 개인별 상품추천 방법 (A personalized recommendation methodology using web usage mining and decision tree induction)

  • 조윤호;김재경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2-351
    • /
    • 2002
  • A personalized product recommendation is an enabling mechanism to overcome information overload occurred when shopping in an Internet marketplace. Collaborative filtering has been known to be one of the most successful recommendation methods, but its application to e-commerce has exposed well-known limitations such as sparsity and scalability, which would lead to poor recommendations. This paper suggests a personalized recommendation methodology by which we are able to get further effectiveness and quality of recommendations when applied to an Internet shopping mall. The suggested methodology is based on a variety of data mining techniques such as web usage mining, decision tree induction, association rule mining and the product taxonomy. For the evaluation of the methodology, we implement a recommender system using intelligent agent and data warehousing technolog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