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 Map Service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2초

다양한 공간정보 웹 2.0 플랫폼 Open API의 벡터 레이어 기반 매쉬업 성능 분석 (Analysis of Mashup Performances based on Vector Layer of Various GeoWeb 2.0 Platform Open APIs)

  • 강진원;김민수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745-754
    • /
    • 2019
  • GeoWeb 2.0 기술이 활성화됨에 따라 공간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매쉬업하는 응용 서비스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특히 GeoWeb 2.0 기술 기반으로 Google Maps, OpenStreetMap, Daum Map, Naver Map, olleh Map, VWorld 등의 다양한 공간정보 플랫폼들이 매쉬업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공간정보 플랫폼의 Open API를 통하여 제공되는 매쉬업 서비스는 2차원 지도, 3차원 지도, 항공영상 등과 같이 다양한 공간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그 응용 분야도 크게 확장되고 있다. 최근 빅데이터 서비스와 더불어 매쉬업되는 사용자 정보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매쉬업 수행에서 성능상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매쉬업 성능 개선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며, 심지어 다양한 플랫폼들에 대한 매쉬업 성능 비교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접근 가능한 다양한 공간정보 플랫폼들을 기반으로 공간정보와 대용량 사용자 정보의 매쉬업 성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매쉬업 성능 분석을 위하여 매쉬업 시간과 사용자 인터랙션 시간의 두가지 성능 지표를 제안하고 시스템을 구현하여 성능 분석을 수행한다. 끝으로 성능 분석 결과를 통하여 사용자 정보가 크게 증가하고 사용자 인터랙션의 발생 빈도가 높은 경우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공간정보 플랫폼을 제시한다.

드론 비행 금지 구역 정보 제공 방법 (To Provide Information on Drone Prohibited Area)

  • 최효현;조영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2호
    • /
    • pp.301-302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대한민국 공항 관제권 구역과 비행금지구역을 표시하는 API를 이용하여 드론비행금지구역을 나타내는 서비스를 구현한 결과를 보인다.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응용 프로그램인 QGIS에 WMS(Web Map Service)를 이용하여 오픈 API를 연동하였다. 항공정보도 API로부터 얻은 관제권 및 비행금지구역, 비행제한구역 레이어 등을 결합하여 드론 비행금지구역에 대한 데이터를 가진 새로운 레이어를 생성하였다.

  • PDF

Node.js를 활용한 웹GIS 서버의 설계와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GIS Server Using Node.js)

  • 전상환;도경태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45-53
    • /
    • 2013
  • 웹GIS는 수년 동안 사용자들에게 효율적이고 정확한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최신 웹기술을 기반으로 발전해왔다. 또한 웹GIS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빠르게 연산 처리하고 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성능개선을 지속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서버 개발에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를 사용하는 이벤트 기반의 비동기식 I/O 처리가 가능한 프레임웍 기술인 Node.js를 활용하여 NodeMap이라고 이름붙인 웹GIS 서버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NodeMap은 기본적으로 OGC 표준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웹GIS 서버이다. 이를 위해 공간 인덱스 및 표준 공간쿼리 함수를 지원하는 DBMS를 활용하여 GIS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공간 정보를 타일 맵 위에 렌더링 하기 위해 HTML5 Canvas를 지원하는 Node-Canvas 모듈을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Node.js의 가장 많이 쓰이는 커넥트 모듈 기반의 프레임웍인 Express 모듈을 활용하였다. 구현된 NodeMap은 성능테스트를 통해 향 후 웹GIS 서버개발기술로서 Node.js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 서버 개발 기술과 차별화된 기술인 Node.js를 웹GIS 서버 구현에 우선적용 함으로서 향 후 인터넷 GIS 서비스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Location Based Routing Service In Distributed Web Environment

  • Kim, Do-Hyun;Jang, Byung-Tae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340-342
    • /
    • 2003
  • Location based services based on positions of moving objects are expanding the business area gradually. The location is included all estimate position of the future as well as the position of the present and the past. Location based routing service is active business application in which the position information of moving objects is applied efficiently. This service includes the trajectory of past positions, the real-time tracing of present position of special moving objects, and the shortest and optimized paths combined with map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describes the location based routing services is extend in distributed web GIS environment. Web GIS service systems provide the various GIS services of analyzing and displaying the spatial data with friendly user - interface. That is, we propose the efficient architecture and technologies for servicing the location based routing services in distributed web GIS environment. The position of moving objects is acquired by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converted the coordinate of real world by map matching with geometric information. We suppose the swapping method between main memory and storages to access the quite a number of moving objects. And, the result of location based routing services is wrapped the web-styled data format. We design the schema based on the GML. We design these services as components were developed in object-oriented computing environment, and provide the interoperability, language-independent, easy developing environment as well as re - usability.

  • PDF

회의공지에서 회의장소를 나타내는 문자열의 지도상 실제 위치 추정 시스템 (A system for finding actual location on the map from the meeting location text in the meeting announcement)

  • 김경렬;최동현;최기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8 No.1(C)
    • /
    • pp.255-25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각종 웹사이트와 이메일을 통해 전달되는 회의공지에 포함된 회의장소를 나타내는 문자열로부터 실제 위치를 추정하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직접 구현한 NER과 Relation-type Classification 모듈을 사용하였으며, 장소에 대한 모델은 기존의 지리정보시스템들과의 상호 운용성을 위하여 OpenStreetMap[6]과 Geonames[7]의 데이터 구조를 참조하여 설계되었고, 실제 위치를 구하기 위하여 내부자원 외에도, 각종 오픈API들을 외부자원으로 활용하였다.

웹 서비스 이용 옥내위치기반 콘텐츠 디스플레이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an Indoor Location Based Contents Displaying System Using Web Services)

  • 임재걸;김민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147-155
    • /
    • 2011
  • 위치기반서비스 시스템의 주요 컴포넌트에는 도면출력, 측위, 데이터베이스 관리 등이 포함된다. 도면출력은 일반적으로 구글 지도를 사용하며 측위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사용한다. 그러나 위치기반서비스를 옥내에서 구현하려면 이러한 일반적인 솔루션을 사용할 수가 없다. 즉, 구글 지도로 건물 내부 도면을 출력할 수도 없고, GPS로 건물 내부의 이동객체의 위치를 측정할 수도 없다. 본 연구는 도면출력 기능, 옥내측위 기능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에 콘텐츠 업로드 및 출력 기능들을 웹서비스로 구현한 사례를 소개하여, 프로그램 개발자가 누구나 쉽게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구현한 웹서비스들의 효용성을 실험적으로 보이기 위하여 이러한 웹서비스들을 이용하여 박물관 관람객의 위치를 고려한 콘텐츠 출력 시스템 프로토타입을 구현한다.

GeoRSS 분할기법 기반의 지도 서비스 구현 (Implementation of Map Service based on Splitting Method of GeoRSS)

  • 이범석;황병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4권7호
    • /
    • pp.728-732
    • /
    • 2008
  • GeoRSS는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RSS로 구글맵과 같은 지도 서비스와의 매쉬업(Mash-up)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간단한 자바스 크립트로 효율적인 웹서비스 구축이 가능하지만, 사진이나 동영상과 같은 다량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페이지 로딩 속도가 매우 느려지고, 과도한 트래픽 발생을 유발시켜 시스템 유지비용을 증가시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웹상에서 빠른 제어를 할 수 있도록 분할된 GeoRSS의 분할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으로 구현된 구글맵 웹서비스는 일반 GeoRSS를 사용하는 것보다 원하는 지리정보를 빠르게 브라우징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성능평가를 통해 제안하는 방법이 좋은 성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한다.

SVG 그래픽을 이용한 GeoWeb 서비스 방법 (A Method of GeoWeb Services Using SVG)

  • 나방현;권창희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401-411
    • /
    • 2008
  • 웹 기반 지리정보서비스는 기본도와 지리적 위치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의 정보를 서비스하는 것으로서 지도에 그래픽으로 표시되는 각각의 도형 요소들을 통한 상호작용을 풍부하게 지원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정보접근성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SVG는 SML에 의한 2차원 그래픽 어플리케이션으로서 DOM에 의해 점, 선, 면, 텍스트, 심볼 등으로 구성되는 그래픽 객체들에 대한 다양한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SVG 포맷의 지도를 유선과 무선 인터넷 환경 모두에서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는 지도 서버와 클라이언트 뷰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지도서버는 OGC의 WMS와 WFS 지도서비스 표준에 따라 개발함으로써 상호운용성을 지원하며, 클라이언트로는 윈도우즈와 WinCE를 위한 SVG 뷰어를 개발하였다.

  • PDF

KANO모형을 이용한 국가R&D보고서 시스템의 서비스 방안 (Service Plan of National R&D Report System Using KANO Model)

  • 박만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364-373
    • /
    • 2014
  • 정보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와 사용자 만족간의 관계는 정보시스템의 신규 서비스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사항으로 고려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IT기술변화에 따른 웹 환경변화를 고려하여 국가R&D보고서 서비스에 적용 가능한 12개 핵심 서비스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12개 신규 서비스는 국가R&D보고서 시맨틱검색 서비스, 연관보고서 서비스, RSS 서비스, mesh-up 서비스, topic-map service, open API 서비스, 개인화 서비스, 집단지성 서비스, SNS 서비스, 비정형데이터 서비스, 상세검색 서비스, 메일링 서비스 등이다. 국가R&D 보고서 서비스에서 도출한 12개 신규 서비스의 품질속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KANO모형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와 서비스별 만족계수 및 서비스 분류결과를 바탕으로 단계별 서비스전략을 제시하였다. 1단계로 추진해야 할 서비스로는 비정형데이터 서비스, 개인화서비스, 연관보고서 서비스, topic-map 서비스, open API 서비스, 집단지성 서비스 등이고, 2단계로 추진해야 할 서비스로는 RSS 서비스, mesh-up 서비스, 국가R&D보고서 시맨틱검색 서비스, 메일링 서비스, 상세검색 서비스, SNS 서비스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