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 3D

검색결과 736건 처리시간 0.028초

A Study on the Performance Comparison of 3D File Formats on the Web

  • Lee, Geon-hee;Choi, Pyeong-ho;Nam, Jeong-hwan;Han, Hwa-seop;Lee, Seung-hyun;Kwon, Soon-chu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1호
    • /
    • pp.65-74
    • /
    • 2019
  • 3D file formats typically include OBJ (Wavefront file format), STL (STereoLithography), and FBX (Filmbox). Each format has limitations depending on its configuration and usage, and supported format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oftware application. glTF helps uniform integration of 3D file formats and allows for more efficient transmission of large 3D geometry files by organizing them in a binary format. This paper presents explanation on OBJ, FBX, and STL which are major examples of existing 3D file formats. It also explain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glTF and compares its performance with other 3D file formats on the web. The loading time and packets of each 3D file format are measured according to the web browser environment by means of Google Chrome, Firefox and Microsoft Edg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glTF is the most efficient and that it exhibits the best performance. As to STL, relatively excessive traffic was observed.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educing rendering time on the web as 3D file formats are used.

Performance Comparison of 3D File Formats on a Mobile Web Browser

  • Nam, Duckkyoun;Lee, Daehyeon;Lee, Seunghyun;Kwon, Soonchul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1권2호
    • /
    • pp.31-42
    • /
    • 2019
  • As smartphone H/W performance an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have been enhanced, large-capacity 3D modeling files are available in smartphones. Common formats of 3D modeling files include STL (STereoLithography), OBJ (Wavefront file format specification), FBX (Filmbox), and glTF (open GL Transmission Format). Each format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s, and formats that are supported are varied depending on the applications. Large-size files are commonly used. The 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ecures loading of 3D modeling files and transmission of large-size geometric files in order to provide augmented reality services via smartphones. This paper explain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major 3D file formats such as OBJ, FBX, and glTF. In addition, it compares their performance in a wired web with that in the 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loading time and packet transmission in each 3D format are also measured by means of different mobile web browsers (Google Chrome and MS Edge). The experiment result shows that glTF demonstrated the most efficient performance while the loading time of OBJ was relatively excessiv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selecting specific 3D file formats for rendering time reduction depending on the mobile web environments.

Cyberspace에서 Web 3D를 이용한 3차원 공사 구조물 모델링의 활용성 제언 (A Study on the Modeling of Three-Dimensional Work Structure Using Web 3D in Cyberspace)

  • 이희철;이태식;김영현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531-534
    • /
    • 2002
  • 건설 프로젝트는 갈수록 대형화${\cdot}$복잡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형 건설업체들은 시간적${\cdot}$지리적으로 상이한 환경의 많은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것이 오늘날의 현실이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Collaboration System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웹 기반 정보시스템들을 구축${\cdot}$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시스템들의 내용을 살펴보면, 2차원 평면 위주의 도면 및 Picture들을 활용하여 공사 진행 정도 및 현황을 체크하고 확인하는데 국한되어 있다. 따라서, 해외-본사 간 지리적${\cdot}$문화적 차이가 존재하는 상이한 환경에서 설계 변경 등과 같은 문제 발생 시 원활한 문제 해결 저해 및 시간적 지연을 야기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부적으로 Web 3D 및 3D 라이브러리들을 소개하고, 결과적으로 Web 3D을 이용한 3차원 공사 구조물 모델링 활용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Korea's traditional pagoda WebXR service

  • Byong-Kwon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69-75
    • /
    • 2024
  • 본 연구는 전통적인 건축물인 '탑'에 대한 형태와 특징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WebXR 기술을 활용하여 웹 상에서 3D 모델로 확인하고 가상현실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우리 나라의 전통 탑은 직접 방문해서 확인하기 어렵고, 탑의 규모로 인해 각 층의 구조와 특징을 파악하는 것도 어려움이 있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리적이고 시간적 제약 없이 사용자가 WebXR 형태의 서비스를 통해 탑을 확인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했다. 연구방법으로는 WebAR을 활용하여 스마트 기기 및 현장에서도 직접 3D 모델을 웹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야외에서는 카메라 품질과 외부 조건에 따라 성능이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탑의 원형을 검출하고 매칭하는 기술을 적용했다. 이를 통해 현장 방문 없이 전국의 다양한 전통 탑에 대한 정보와 특징을 웹-상에서 확인하고 분석할 수 있는 원격지원 서비스를 제안하며, 현장에서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증강현실 형태의 탑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eb GIS 기반의 3차원 도시경관 시뮬레이션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3D Urban Landscape Simulation System Based on Web GIS)

  • 장문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103-117
    • /
    • 2005
  • 최근 정보통신 및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정보의 시각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Web 3D 기술의 진보와 인터넷에서의 가상현실 구현에 관한 기술개발로 인하여 웹에서 3차원으로 정보를 제공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모든 지리정보를 영상화, 3차원화 하는 추세이다. 시각성에 주목하는 현대인들에게 2차원 평면정보는 현대의 복잡한 도시행정의 효율적 구현에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경관 현황을 분석하고, 신규 도시개발사업에 따른 도시경관을 예측$\cdot$분석함에 있어서 Web 3B GIS 기술을 이용하였다 특히 도시경관 계획 수립시 정책집행의 오차를 줄이고, 보다 객관적이며 시각적인 자료제시와 함께 주민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근사 모델링을 이용한 웹 기반 3D 패션쇼 애니메이션 구현 (Implementation of 3D Fashion Show Animation Based on Web using Similar Modeling)

  • 조진애;양옥렬;남명우;이용주;정성태;정석태;이강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33-38
    • /
    • 2006
  • 본 논문은 웹 기반 3D 패션몰 구축 시 필요한 3D 모델의 패션쇼 애니메이션 설계 기법 및 구현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3D MAX를 이용하여 제작된 3D 모델을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식으로 출력시킨 후, D3D(Direct 3D)를 사용하여 제작된 ActiveX 컨트롤을 이용하여 웹상에 구현하였다. 소비자가 웹기반 패션몰에서 선택한 다양한 의상을 입은 3D 모델의 패션쇼 애니메이션을 구현하기 위해, 기본형태의 3D 모델에 계층적 구조를 가진 근사 의상을 이용하여 표현하였다. 근사의상은 표준 의상 조각들을 설계하고 제작한 후, 이를 조합하는 방식으로 구현하였으며, 여기에 텍스처를 맵핑하여 소비자가 선택한 의상의 근사 모델이 표현 될 수 있도록 구현 하였다.

  • PDF

X3DOM을 이용한 가상현실 (Virtual Reality Using X3DOM)

  • 부띠에;류가애;정상권;이국환;류관희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4권1호
    • /
    • pp.165-170
    • /
    • 2017
  • 웹 3D 기술은 과학, 의료, 공학 그리고 멀티미디어 가시화의 경험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웹 환경에서 3D 가상현실은 운영체제 등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가상현실은 3차원 컴퓨터에 의해 생성된 현실적인 영상, 음향과 다른 감각을 표현하고 사람들과의 사용작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가상현실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몰임하여 객체를 조작할 수도 있고, 원하는 목표를 위해 단계별 행동을 실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웹 환경에서 3D 상호작용 콘텐츠를 정의한 ISO 국제표준인 X3D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공간을 생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X3D 가상현실 공간에서 스테레오 렌더링을 논의하고, HMD VR을 위한 새로운 X3D 노드를 제안한다. 제안한 노드들은 X3D 웹 브라우저인 X3DOM에 의해 가시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