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arable computer

검색결과 375건 처리시간 0.037초

생체신호 습득과 건강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헬스케어 의복 개발 (Development of Smart Healthcare Wear System for Acquiring Vital Signs and Monitoring Personal Health)

  • 주문일;고동희;김희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808-817
    • /
    • 2016
  • Recently, the wearable computing technology with bio-sensors has been rapidly developed and utilized in various areas such as personal health, care-giving for senior citizens who live alone, and sports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wearable computing equipment to measure vital signs by means of digital yarns and bio sensors is noticeable. The wearable computing devices help users monitor and manage their health in their daily lives through the customized healthcare service. In this paper, we suggest a system for monitoring and analyzing vital signs utilizing smart healthcare clothing with bio-sensors. Vital signs that can be continuously acquired from the clothing is well-known as unstructured data. The amount of data is huge, and they are perceived as the big data. Vital sings are stored by Hadoop Distributed File System(HDFS), and one can build data warehouse for analyzing them in HDFS. We provide health monitoring system based on vital sings that are acquired by biosensors in smart healthcare clothing. We implemented a big data platform which provides health monitoring service to visualize and monitor clinical information and physical activities performed by the users.

Seafarers Walking on an Unstable Platform: Comparisons of Time and Frequency Domain Analyses for Gait Event Detection

  • Youn, Ik-Hyun;Choi, Jungyeon;Youn, Jong-Hoo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5권4호
    • /
    • pp.244-249
    • /
    • 2017
  • Wearable sensor-based gait analysis has been widely conducted to analyze various aspects of human ambulation abilities under the free-living condition. However, there have been few research efforts on using wearable sensors to analyze human walking on an unstable surface such as on a ship during a sea voyage. Since the motion of a ship on the unstable sea surface imposes significant differences in walking strategies, investigation is suggested to find better performing wearable sensor-based gait analysis algorithms on this unstable environment.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wo representative gait event algorithms including time domain and frequency domain analyses for detecting heel strike on an unstable platform. As results, although two methods did not miss any heel strike, the frequency domain analysis method perform better when comparing heel strike timing. The finding suggests that the frequency analysis is recommended to efficiently detect gait event in the unstable walking environment.

The Companion Animal Monitoring System using Low-Power Protocol Wearable Device

  • Kim, Woo-Chan;Kim, Soo Kyun;Kwak, Ho-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2호
    • /
    • pp.17-23
    • /
    • 2020
  • 반려 동물을 키우는 가구가 늘어나면서 원격지에서 반려동물의 상태를 파악하려는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우리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반려동물에게 착용시켜서 심박신호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블루투스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식은 근거리에서만 접속할 수 있는 단점이 있고, WiFi를 통해 받아보는 방식은 전력 소모량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지 않는 시점에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요청을 간접적으로 받고, 사용자가 모니터링 요청을 한 경우 WiFi를 통해 센서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으로 전력 소비량을 줄이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웨어러블 컴퓨터 환경에서 포인팅 인터페이스의 동적 이득 방법의 효율성 평가 (Evaluating Performance of Pointing Interface of Dynamic Gain Control in Wearable Computing Environment)

  • 홍지영;채행석;한광희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9-16
    • /
    • 2007
  • Input devices of wearable computer are difficult to use, so a lot of alternative pointing devices have been considered in recent years. In order to re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d a dynamic gain control method which is a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wearable pointing device and showed an experimental result comparing this method with conventional method. Also the effects of methods were compared in terms of device (wearable and desktop). The result of calculating throughputs(index of performance) by Fitts' law showed that the pointing performance in dynamic gain condition was improved 1.4 times more than normal gain.

A Study of The Wearable Input Device Based on Human Hand-Motions Recognition

  • Daehui Won;Lee, Hogil;Kim, Jinyoung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2년도 ICCAS
    • /
    • pp.51.5-51
    • /
    • 2002
  • In this paper, we propose and developed a keyglove using the touch-typing method as new solutions to the problem of text input into the mobile computing devices. This device recognizes that character is typed in though the hand's movements analysis and requires no additional space on a person's desktop or work surface, and can be easily used with computers of any size, even the smallest mobile computer, and is designed as an input device for wearable computers and virtual environment. The concept of the wearable input device based on human hand-molies recognition.

  • PDF

IEEE 802.15.6 표준 기반 무선 USB 서비스의 차등화된 WBAN 트래픽 QoS 제공 방안 (Differentiated QoS Provisioning of WBAN Traffic in WUSB Services based on IEEE 802.15.6)

  • 허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087-1095
    • /
    • 2014
  • 최근 컴퓨터 기술의 발전으로 웨어러블 컴퓨터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는 HCI (human-centric interface)기술과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웨어러블 컴퓨터 시스템은 WiMedia PHY/MAC 기술과 결합된 USB 기술로 W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논문은 U-Health 기능을 지원하는 무선 웨어러블 컴퓨터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WUSB기술과 IEEE 802.15.6 WBAN (wireless body area networks) 기술을 결합한 통신시스템 구조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리고 IEEE 802.15.6 기반 WUSB 통신 구조에서 서로 다른 전송 우선 순위를 갖는 U-health WBAN 트래픽 및 WUSB트래픽의 QoS를 차등화하기 위한 통신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내용 및 성능 평가에서는 단일 클래스 및 다중 클래스 환경에서 U-health WBAN 및 WUSB 트래픽의 수율 성능을 분석하여, WUSB over IEEE 802.15.6 통신구조에서 QoS 차등화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WUSB over WBAN 통신을 위한 신체 영역 위치 인식 기술 (A Body-Area Localization Technique for WUSB over WBAN Communication)

  • 허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99-50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웨어러블 컴퓨터 시스템을 위한 WUSB over WBAN 프로토콜에서 요구되는 신체 영역 위치인식기술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위치인식기술은 웨어러블 컴퓨터의 주변 장치를 구성하는 WUSB over WBAN 프로토콜 기반 센서노드에서 실행된다. 웨어러블 컴퓨터 시스템에서 다양한 신체 모션을 통한 입력 정보의 정확성을 높이기위해서는, 높은 정밀도를 갖는 새로운 위치인식기술이 반드시 개발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논문은 신체에 부착된 WUSB over WBAN 디바이스들의 개수를 4개 이상으로 하는 TDoA/FDoA/AoA 복합 방식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에서는 제안하는 TDoA/FDoA/AoA의 복합 방식 알고리즘이 TDoA/FDoA 복합 알고리즘 보다 위치 추정 오차를 10mm 감소시킨다. 이 값은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시할 수 있는 작은 값이나, 신체 영역 내 통신에서는 위치 추정 성능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나타낸다.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pO2 Wearable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in PPG Signals

  • Kim, Woo-Chan;Chang, Jin-Wook;Kwon, Hoon;Lee, Won Joo;Kwak, Ho-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1호
    • /
    • pp.191-198
    • /
    • 2022
  • 반려동물의 상태 측정에서 가장 기본적인 사항은 호흡과 맥박의 체크이다. 반려동물의 호흡과 맥박을 측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반려동물에게서 산소포화도(SpO2)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PPG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그러나 입력되는 PPG 신호는 산소포화도뿐만 아니라 여러 정보가 섞여서 입력되기 때문에 산소포화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PPG 신호로부터 산소포화도 정보를 분리하여 추출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PPG 방식을 적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웨어러블 측정 장치를 설계하고 구현하였으며, 이 웨어러블 측정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PPG 신호에서 산소포화도 정보를 분리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인체신호전달 섬유제품

  • 정기수
    • 섬유기술과 산업
    • /
    • 제8권1호
    • /
    • pp.19-23
    • /
    • 2004
  • Wearable computer는 1980년대 중반부터 개발되기 시작하면서 1990년대에 들어서 본격적으로 개발이 진행되었다. 초기에는 컴퓨터의 각 부품을 분해하여 편리하게 배치하거나 신체의 됫부분으로 옮겨 조립함으로써 앞에서 보기에 보이지 않게 하는 정도의 매우 투박한 수준이었지만, 전자제품 생산기술의 발전이 가속화되면서 부품이 소형화되고 성능이 향상되면서 wearable computer의 기능이 크게 업그레이드되었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2001년도부터는 일상생활에서 착용이 가능한 수준의 디지털 의류의 형태로까지 개발되면서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시대를 향하여 나아가고 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