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yland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7초

리눅스에 사용되는 X 윈도 동향 분석 (Trend analysis of X Window used in Linux)

  • 성경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393-1401
    • /
    • 2017
  • 리눅스 운영체제는 데스크톱이나 서버뿐만 아니라 모바일 기기, 자동차, 임베디드 기기 등 다양한 분야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고, 자유롭게 사용가능한 공개 소프트웨어라는 특징으로 인해 운영체제 부문에서 대부분 선두권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데스크톱 분야는 마이크로소프사의 윈도우가 장악하고 있고, 애플사의 Mac OS도 매니아층을 중심으로 점유율을 높이고 있으나 리눅스의 성장세는 답보 상태이다. 이러한 열세를 만회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는 X 윈도 시스템을 손꼽을 수 있다. 아직까지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이 전통적인 구조의 X.org 서버를 X 윈도 시스템으로 사용하는데, 무겁고 처리 속도도 느린 단점이 있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 Wayland라는 새로운 구조의 X 윈도 시스템이 등장하였다. Wayland는 임베디드나 모바일 기기에서 적합할 만큼 작고 가벼워서 데스크톱 분야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 관련 기기에도 탑재할 수 있다. Wayland의 등장과 더불어 시작된 X 윈도의 변화는 리눅스 대중화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Wayland window system과 X window system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Wayland window system and X window system for Smart Device)

  • 김민정;이광림;최진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5-18
    • /
    • 2015
  • Wayland는 open source community에서 30년 가까이 사용 되어 온 X window system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새로운 window system이다. X window system은 network transparent한 특성을 기반으로 여러 영역에서 사용되어 왔지만 단일 기기에서의 UX에 필수적은 rendering, event processing, 그리고 compositing 등의 특성에 구조적으로 최적화 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Tizen에 적용된 case를 통해 X window system과 Wayland의 구조적인 장단점을 비교하여 실측 데이터를 통해 구조적 차이로 인한 성능 차이를 설명한다.

Tizen IVI OS의 빠른 부팅을 위한 systemd와 wayland사용 (Tizen IVI OS's fast booting by using systemd and wayland)

  • 양태희;조금산;추현승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39-141
    • /
    • 2012
  • 인텔과 삼성이 손을 잡고 개발한 Tizen IVI(In-vehicle Infotainment) OS는 임베디드 기기의 환경에 맞추어 사용자에게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특히 Automobile 산업을 겨냥하여 개발한 Tizen IVI OS는 운전자에게 빠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systemd와 wayland를 활용하여 빠른 운영체제 부팅을 제공하고 있다. 최대 7초 이내의 부팅 속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존의 init process를 대체하는 systemd를 사용한다. 또한 기존의 x-window를 대체하는 wayland를 사용하여 부팅과정의 오버헤드를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스마트폰의 보편화와 함께 임베디드 기기 상에서 더욱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운영체제의 빠른 부팅에 대한연구를 소개한다. 특히 Tizen IVI OS에서 빠른 부팅을 위해 사용하는 두 가지 방식에 대해 연구하고, 기존 방식들과의 차이점을 분석한다.

차세대 대형 멀티 터치 디스플레이를 위한 멀티 가상 키보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ulti Virtual Keyboards for the Large Multi Touch Display)

  • 김정한;김인혁;엄영익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년도 제48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1권2호
    • /
    • pp.73-74
    • /
    • 2013
  • 터치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를 이용한 스마트 폰을 비롯한 스마트 테이블, 스마트 월 등 다양한 HW 플랫폼들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터치 디스플레이의 대형화가 가능해짐에 따라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이용하는 서비스들은 멀티 터치를 기반으로 한명 이상의 사용자 입력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디스플레이의 주요 입력 도구인 가상 키보드 역시 마찬가지의 요구사항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리눅스 환경에서 차세대 윈도우즈 매니저(Wayland/Weston)을 기반으로 가상 키보드 등록, 생성 및 사용 과정에 대해 분석하고, 멀티 가상 키보드를 지원하는 윈도우 매니저를 설계 및 구현한다.

  • PDF

용매성 유기분자와 니트로벤젠 및 그의 유도체와의 전하전이 착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rge-Transfer Complexes Formed between the Derivatives of Nitrobenzene and Some Organic Solvent Molecules)

  • 신두순;김시중
    • 대한화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5-94
    • /
    • 1973
  • 니트로 벤젠의 세가지 유도체, 즉 1.3.5-트리니트로벤젠(1.3.5-TNB), m-디니트로벤젠(m-DNB) 및 니트로벤젠(NB)등이 11종의 염기성 유기 용매 즉, ${\alpha}$-피콜린, 피리딘, 디메틸술포옥시드(DMSO), NN′-디메틸초산아미드(NN′-DMA), 테트라히드로퓨란(THF), 1,4-디옥산, 디에틸에테르, 시안화메틸, 프로필렌옥시드, 에피클로로히드린, 초산메틸등과 사염화탄소용액중에서 전하전이착물을 형성함을 자외선분광광도법에 의해 확인하고, 이들 전하전이착물의 안정도 상수를 결정하였다. Drago 와 Wayland 의 이중척도엔탈피식(double-scale-enthalpy)을 수정하여 $logK = E_AC_A+E_DC_D$식을 얻고, 이것을 써서 정전기적효과 $E_D$와 공유성효과 $C_D$값을 11종의 유기 용매에 대해 얻었다. 이 두 효과는 전하전이착물의 안정도 상수 K와 그리고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의 신축진동수변화 ${\Delta}{\nu}_C=O$에 영향을 주며, 특히 $C_D$ sms 안정도 상수에 비례하였고, 신축진동수변화 ${\Delta}{\nu}_{C=O}= 37.4-5.47E_D+12.1C_D$의 실험식을 얻었다. ${\pi}$결합을 가진 분자들이 전이착물을 이룰 때 정전기적효과와 공유성효과와 공유성효과가 모두 관여하며, 그밖에 결합하는 분자의 ${\pi}$궤도함수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