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x

검색결과 856건 처리시간 0.026초

가로수 수종별 잎의 미세먼지 축적량 및 금속 원소 함량 평가 (Evaluation of accumulated particulate matter on roadside tree leaves and its metal content)

  • 권선주;차승주;이주경;박진희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2호
    • /
    • pp.161-168
    • /
    • 2020
  • 식물 종마다 잎에 미세먼지(PM)를 흡착하는 정도가 서로 다르며 잎을 통해 PM을 흡수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M에 포함된 중금속은 인체 및 식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입자 크기에 따라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충북대학교 내 도로변에 위치한 회양목 (Buxus koreana), 주목 (Taxus cuspidate), 철쭉 (Rhododendron yedoense), 이팝나무 (Chionanthus retusa)와 같은 가로수 잎에 축적된 PM을 입자 크기(PM>10 및 PM2.5-10)에 따라 분획 및 정량화하였다. 잎에 축적된 크기 별 PM의 금속 농도는 유도 결합 플라스마 질량 분석법(ICP-MS)으로 분석하였다. 나무 잎 표면에 축적된 PM>10의 질량은 6.11-32.7 ㎍/㎠, PM2.5-10의 질량은 0-14.8 ㎍/㎠이었다. 잎 표면에 홈이 있고 털을 갖고 있는 철쭉이 작은 PM 입자를 잘 유지하고 있었으며 광택이 있는 잎 표면을 가진 주목과 회양목은 많은 PM을 축적하고 있었다. PM은 Al, Ca, Mg, Fe와 같은 지각 구성 원소와 Cu, Pb, Zn와 같은 중금속을 포함하고 있었다. 지각 구성 원소의 농도는 PM>10 입자에서 더 높았고, 중금속 농도는 PM2.5-10 입자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잎에 흡수된 Mn, Cd, Cu, Ni, Pb, Zn과 PM2.5-10의 중금속 농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나무 잎을 통해 PM이 흡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에 의한 애호박 세균점무늬병 (Bacterial Spot Disease of Green Pumpkin by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 박경수;김영탁;김혜성;이지혜;이혁인;차재순
    • 식물병연구
    • /
    • 제22권3호
    • /
    • pp.158-167
    • /
    • 2016
  • 육묘장과 재배포장의 애호박에서 새롭게 발생한 병원균의 특성을 분석하여 동정하였다. 병징은 잎에 수침상의 병반과 강한 노란색의 둘레무리를 가진 점무늬, 꽃에서 갈색 병반, 열매에 노란색의 점무늬였다. 잎의 점무늬로부터 분리된 세균은 박과작물 8개의 식물체, 흑종호박, 애호박, 쥬키니호박, 풋호박, 참박, 참외, 멜론, 오이에 병원성이 있었지만 수박과 밤호박에서는 병을 일으키지 못했다. 분리세균은 다발모를 가진 막대형으로 그람음성이며 King's B 배지에서 형광성이었으며, LOPAT 1a 그룹에 속했다. 그들의 Biolog 기질이용성은 Biolog database의 P. syringae pv. syringae 이용성과 유사하였다.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이용한 계통수와 4개의 항존유전자(gapA, gltA, gyrB, rpoD)의 염기서열과 PAMDB에 있는 P. syringae균주들의 염기서열을 이용한 MLST는 애호박 분리균주들이 P. syringae pv. syringae 균주들과 동일한 그룹(clade)으로 그룹화되었고, MLST 계통수에서 애호박 분리균주들의 그룹(clade)은 genomospecies 1에 속하였다. 표현형적, 유전적 특성은 애호박 분리균이 P. syringae pv. syringae임을 제시하였다.

Oxyfluorfen에 대한 내성(耐性) 및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의 생리활성(生理活性) 기구(機構) - II. 잎 표면(表面), 해부(解剖) 및 미세구조(微細構造) 반응(反應) (Different Physiological Activity of Selected Rice Cultivars to Diphenylether Herbicide, Oxyfluorfen - II. Different Anatomical and Ultrastructural Responses)

  • 국용인;구자옥;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4-63
    • /
    • 1996
  • Oxyfluorfen 내성(耐性) 및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들과 감수성(感受性)인 피에 대하여 oxyfluorfen 처리에 따른 잎 표면구조(表面構造) 및 해부(解剖) 특성(特性)과 미세구조(微細構造) 반응(反應)을 관찰하였으며, 유이제초제(類似除草劑)에 대한 해부학적(解剖學的) 변화를 비교 관찰하였다. 1. 내성(耐性) 벼품종(品種)들은 oxyfluorfen 처리에 따른 잎 면적(表面)의 구조적(構造的)인 피해를 볼 수 없었으나, 감수성(感受性)인 벼품종(品種)은 납질(蠟質)의 손상이 크고, 감수성(感受性)인 피는 조직이 불규칙하게 붕괴되는 현상까지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들과 피에서는 엽신(葉身)의 두께 감소도 컸다. 2. 내성(耐性) 벼품종(品種)들은 oxyfluorfen 처리에 따른 해부학적(解剖學的)인 변화가 적었으나,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들과 피에서는 표피세포(表皮細包), 엽육세포(葉肉細包) 및 유관속초세포의 파괴가 컸으며 특히, 처리 후 24시간의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에서는 조직이 완전히 붕괴되었다. 3. Oxyfluorfen 처리에 의해 chloroplast 모양의 불규칙성과 chloroplast envelope의 distortion이 전반적으로 관찰되었고, 전분(澱粉)도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며 이와 같은 구조적(構造的) 손상은 내성(耐性) 벼품종(品種)보다는 감수성(感受性)인 벼품종(品種)과 피에서 더 심했다. 4. Oxyfluorfen과 유사한 제초제(除草劑) 처리에 의하여서도 엽신(葉身)의 두께 감소는 oxyfluorfen > acifluorfen > bifenox > oxadiazon 순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내성(耐性) 벼품종(品種)보다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에서 더 커지는 경향이었다. 특히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은 oxyfluorfen과 bifenox 처리 후 24시간에 이미 표피세포(表皮細包) 및 유관속초세포 손실 등으로 조직이 상하게 붕괴되는 현상을 보였다.

  • PDF

헤어 패션 감각(感覺)에 관(關)한 연구(硏究) - 수도권(首都圈) 대학(大學) 여학생(女學生)을 대상(對象)으로 - (A Study on the hair fashion feeling - Objecting to capital area university women students -)

  • 안현경;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9권4호
    • /
    • pp.59-78
    • /
    • 2005
  • This study aims to know the deferences of hair fashion feeling group in accordance with hair styling activities, general characteristics, life styles objecting to capital area university women students and aid to hair fashion design. So the results are as belows. 1. Frequency Analysis of Categories A. Hair fashion feeling - Natural, sexy, romantic pretty, sophisticate, ethnic are 90% in total hair fashion feeling variables in sequence of frequency, so it can be said these are in vogue. B. Hair styling activities - The objections visit the hair salon once 1-2months, spend about 42,000 won a month, perform cut & wave perm to sentimental reasens & hair style changes, determine the hair style well coordinated in her image and managed easily. In her home, they manage her hair style 12 minutes a day, spend 17,000 won to buy hair aids, do hair blow dry or pin or pony tail mainly in the morning, scarcely use the hair styling aids but if use, essence or wax mainly. And the degree of interest to hair style is high. C. General Characteristics - The objections's average age is 21.1, residence is seoul kangnam 23.3%, seoul kangbook 18.4%, other capital areas 58.4%, the degree of education is university students 94.9%, graduated student 5.1%, marriage is married 96%, unmarried 2.8%, family who live with is married are mainly man & woman and living with father & mother in low in man's, unmarried are mainly live alone & nuclear family, personal expenses a month is 300,000 won in average, income of home is 4,000,000 won a month. D. Life style - The objections are not in interest of physical exercises but if are, do yoga & health, like drama & comedies program, watch TV or meet friend in leisure time, like balad & dance music, fashion magazine, meet friend in cafe or college. 2. Relationship of hair fashion feeling & other variables Using the $x^2$-test, level p<0.05, Hair styling activities(frequency of hair salon coming in and out, ordinary time representing hair style, preferred hair styling aids, the amount of hair style interest), General Characteristics(age), Life style(leisure time) variables are meaningful.

갑상선 결절에서 PCNA 측정의 의의 (A Significance of Estimation of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in Thyroid Nodule)

  • 김정철;윤정한;제갈영종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00-205
    • /
    • 1994
  •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gen(PCNA) plays an important role in DNA synthesis in nucleoli and is highly conserved non-histone nuclear protein composed of 261 amino acid. and is considered to correlated with the cells proliferative state, because it is synthesized particulary during the proliferative period of late Gland S-phase. Therefore, PCNA index meaningfully increases in the active or proliferative kinetic cells. By the use of recently developed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PCNA,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ethods can make possible. These staining methods are the useful and productive one for ascertaining the cell's proliferating abillity. Moreover,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ethod with a antiPCNA antibody has particulrar advantages as follows. By means of these methods, we can stain the tissue that was already fixed in formalin or paraffin wax. We can see with naked eye that which cell is, where is differentiated through a microscope. Lastly, it maintains the whole tissue architecture and makes a search for the correlation. As we have seen above,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ethods for PCNA have been studied as an impotant factor that can find the cell proliferative kinetics in malignancy and biologic behavior of tumors. To investigate of the proliferative activity in thyroid nodule, Authors evaluated cell proliferative activity by immunostaing for PNCA in 45 pathologically confirmed solitary thyroid nodu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benign nodules were 25 cases(Adenomatous Goiter: 20 cases, Follicular adenoma: 5 cases) and malignant nodules were 20 cases(Papillary Ca : 14 cases, Follicular Ca : 4 cases, Anaplastic Ca : 2 cases). 2) The Most prevalent age groups were 4th decade(11 cases), and the next group was 5th decade. 3) The average PCNA labelling indices were as follows. Adenomatous goiter(I6.9%), Follicular adenoma(37.6%), papillary Ca(26.3%), Follicular Ca(8.8%) and Anaplastic Ca(86.7%).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nign(20.4) and malignant nodules (28.8%) except anaplastic Ca(p=0.3226). 4) When the average tumor size 2cm in papillary Ca, the PCNA indices were 26.0% (below 2cm) : 26.6% (above 2cm) (p=0.9642). The PCNA incidies were 23.9% (with lymphatic spread) : 28.7% (without lymphatic spread) (p=0.7056). There were no signlficant differences in the above cases. In conclu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ell proliferative activity by staining for PCNA between benign and malignat nodules except anaplastic Ca.

  • PDF

녹차추출물이 함유된 천연 자외선차단 크림의 제조: CCD-RSM을 이용한 최적화 (Emulsification of Natural Sunscreen with Green Tea Extract : Optimization Using CCD-RSM)

  • 이승범;줘청량;쉬양;홍인권
    • 공업화학
    • /
    • 제31권5호
    • /
    • pp.532-53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천연 자외선 차단크림을 제조하기 위해 shea butter, 올리브 유화왁스, 녹차추출물 등을 원료로 유화과정을 수행하였다. 유화과정의 최적화는 CCD-RSM을 이용하여 진행하였으며, 반응치로는 유화액의 7 days 경과 후 평균액적크기(MDS), 유화안정도지수(ESI), 300 nm에서의 자외선 흡광도 등을 설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독립변수로는 유화제의 첨가량, 녹차추출물의 첨가량 및 유화시간을 설정하였다. CCD-RSM에 의해 최적화과정을 수행한 결과 자외선 차단크림 O/W 유화공정의 최적조건은 유화제의 첨가량(3.70 wt.%), 녹차추출물의 첨가량(2.47 wt.%) 및 유화시간(15.4 min)이었으며, 이때 예측된 반응치는 7 days 경과 후 유화액의 MDS (1173.8 nm), ESI (99.56%), 그리고 300 nm에서의 자외선 흡광도(2.47)로 나타났다. 이 조건에서의 실제실험 결과 오차율은 3.0 ± 1.5%로 낮게 나타나 본 연구에서 적용된 CCD-RSM 최적화 과정이 비교적 높은 유의수준으로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수복 공간이 부족한 환자에서의 완전구강회복 (Full Mouth Rehabilitation in a Patient with Limited Restorable Space)

  • 임광길;김대곤;조리라;박찬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2호
    • /
    • pp.145-156
    • /
    • 2010
  • 치아 우식, 치주 질환, 치아 파절 등으로 다수의 구치가 상실된 환자의 경우 대합치의 정출, 잔존 치아의 과도한 교합 하중으로 인한 교합 외상의 문제가 발생된다. 대합치 정출이 발생된 경우 인접 조직의 성장도 이와 동시에 발생되고 보철을 위한 악간 공간의 상실을 동반하게 되며 교합 외상으로 인한 치아에 동요도 증가 및 교모에 의한 마모도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구치의 다수 상실, 대합치 정출 및 잔존치의 교모 증가를 동반한 환자에 있어서는 적절한 치주 수술(치관 연장술, 골 절제술 등) 및 수직 교합 고경의 회복을 통한 잔존 치아와 상실된 치아의 수복이 필요하게 된다. 본 증례의 환자는 상실된 구치의 수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로 구치부 상실 및 잔존치의 마모된 치열을 지녀보철 수복을 위한 공간을 위해 수직고경을 증가시켜 치료한 치험예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Myristic acid를 사용한 축열장판의 열성능 연구 (Thermal Performance of a Heating Board with a Microencapsulated Myristic Acid)

  • 곽희열;강용혁;전명석;이태규;이동규;한귀영
    • 태양에너지
    • /
    • 제18권3호
    • /
    • pp.177-183
    • /
    • 1998
  • 본 논문은 미세캡슐을 함유한 축열장판의 열성능에 관해서 조사하였고 기존 시판되고 있는 장판과 비교를 하였다. 상변화물질로는 Myristic Acid($CH_3(CH_2)_{12}COOH$)를 사용했고 이 물질을 PMMA와 왁스로 3중 코팅을 하였고 $1{\sim}1.5mm$인 캡슐로 제조를 하였다. ANSI/ASHRAE를 토대로 하여 열전달 매체로 공기를 사용한 밀폐형 실험장치를 구성하였으며, 공기유량은 오리피스를 통해서 측정된다. 실험에 사용된 두 개의 서로다른 장판(미세캡슐 함유율 중량비 10% 장판, 0% 장판)의 열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서로다른 공기유량에 대해서 방열시 열전달 특성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를 보면 방열과정시 미세캡슐 함유율이 10%인 장판의 표면온도는 미세캡슐을 함유하지 않은 장판보다 더 높은 온도를 유지했다. 그리고 장판표면에서의 열전달계수는 미세캡슐을 함유하지 않은 장판과 비교해 볼 때 미세캡슐을 함유한 장판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 PDF

Morphological and Genetic Characteristics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solated from Newly Emerging Static-Symptom Anthracnose in Apple

  • Jeon, Yongho;Cheon, Wonsu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34-34
    • /
    • 2014
  • Filamentous fungi of the genus Colletotrichum (teleomorph, Glomerella) are considered major plant pathogens worldwide. Cereals, legumes, vegetables, and fruit trees may be seriously affected by this pathogen (1). Colletotrichum species cause typical disease symptoms known as anthracnoses, characterized by sunken necrotic tissue, where orange conidial masses are produced. Anthracnose appears in both developing and mature plant tissues (2). We investigated disease occurrence in apple orchards from 2013 to 2014 in northern Gyeongbuk province, Korea. Typical anthracnose with advanced symptoms was observed in all apple orchards studied. Of late, static fruit spot symptoms are being observed in apple orchards. A small lesion, which does not expand further and remains static until the harvesting season, is observed at the beginning of fruit growth period. In our study, static symptoms, together with the typical symptoms, were observed on apples. The isolated fungus was tested for pathogenicity on cv. 'Fuji apple' (fully ripe fruits, unripe fruits, and cross-section of fruits) by inoculating the fruits with a conidial suspension ($10^5$ conidia/ml). In apple inoculated with typical anthracnose fungus, the anthracnose symptoms progressed, and dark lesions with salmon-colored masses of conidia were observed on fruit, which were also soft and sunken. However, in apple inoculated with fungi causing static symptoms, the size of the spots did not increase. Interestingly, the shape and size of the conidia and the shape of the appressoria of both types of fungi were found to be similar. The conidia of the two types of fungi were straight and cylindrical, with an obtuse apex. The culture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nidia were similar to those of C. gloeosporioides (5). The conidia of C. gloeosporioides germinate and form appressoria in response to chemical signals such as host surface wax and the fruitripening hormone ethylene (3). In this study, the spores started to germinate 4 h after incubation with an ethephon suspension. Then, the germ tubes began to swell, and subsequently, differentiation into appressoria with dark thick walls was completed by 8 h. In advanced symptoms, fungal spores of virtually all the appressoria formed primary hyphae within 16 h. However, in the static-symptom fungus spores, no primary hyphae formed by 16 h. The two types of isolates exhibited different growth rates on medium containing apple pectin, Na polypectate, or glucose as the sole carbon. Static-symptom fungi had a >10% reduction in growth (apple pectin, 14.9%; Na polypectate, 27.7%; glucose, 10.4%). The fungal isolates were also genetically characterized by sequencing. ITS regions of rDNA, chitin synthase 1 (CHS1), actin (ACT), and ${\beta}$-tubulin (${\beta}t$) were amplified from isolates using primer pairs ITS 1 and ITS 4 (4), CHS-79F and CHS-354R, ACT-512F and ACT-783R, and T1 and ${\beta}t2$ (5), respectively. The resulting sequences showed 100% identity with sequences of C. gloeosporioides at KC493156, and the sequence of the ${\beta}$t gene showed 100% identity with C. gloeosporioides at JX009557.1. Therefore, sequence data from the four loci studied proves that the isolated pathogen is C. gloeosporioides. We also performe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PCR, which showed clearly differentiated subgroups of C. gloeosporioides genotypes. The clustering of these groups was highly related to the symptom types of the individual strains.

  • PDF

코팅물질과 유화제가 나노입자 제조 및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ating Materials and Emulsifiers on Nanoparticles in Manufacturing Process)

  • 김병철;천지연;박영미;홍근표;이시경;최미정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20-227
    • /
    • 2012
  • 본 실험은 emulsion-diffusion 방법을 이용한 코팅물질과 유화제를 혼합하여 균질하여 유화액을 만든 후 증류수를 첨가하여 확산시킴으로써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유화공정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균질기 종류와 균질 속도, 균질 시간을 달리하여 그에 따른 입자크기의 변화를 살펴보고, 나노유화액이 가장 잘 제조되는 조건에서 여러 종류의 코팅물질과 유화제를 이용하여 나노입자의 크기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저장 온도와 저장 기간에 따른 나노입자 크기를 관찰 하고 그에 따른 활성에너지를 산출하였다. 유화 공정에 따른 나노입자 크기의 변화를 살펴보면 NEO II의 경우가 가장 작고 고른 나노입자을 형성하였다. 또한 균질 속도가 증가할 수록 입자가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균질 시간이 증가될수록 입자크기가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PF68은 유화 능력이 가장 좋은 유화제로 관찰되었고 코팅물질은 PCL이 가장 우수한 능력을 나타내어 나노입자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가장 적당하다고 사료되었다. 저장 기간에 따른 입자크기를 살펴보면 저장 기간이 증가할수록 크기가 증가하며, 저장 온도가 낮을수록 변화의 폭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균질기 종류, 균질시간, 균질 속도, 코팅물질 그리고 유화제등은 유화액을 제조할 때 중요한 공정 조건이며 다양한 나노캡슐화 공정으로 원하는 크기의 나노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