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shed Characteristics Data

검색결과 436건 처리시간 0.025초

수문학적 유역특성자료 자동화 추출 및 분석시스템 개발 (I) (System Development for Automatic Extraction and Analysis of Hydrology-Related Watershed Characteristic Data)

  • 황의호;권형중;이근상;유병혁;고덕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1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수문 모형에 적용을 위한 입력자료 도출 기반을 마련하고자 보다 편리하고 체계적인 유역특성자료 분석시스템을 개발하였다. PRMS 모형을 이용하여 유출분석 수행시 입력자료 생성을 위해 사용되는 USGS WEASEL을 참고하여 시스템 개발항목을 도출하고,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 개발 및 유지관리를 위하여 UML을 이용한 객체지향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및 다양한 수질 수문 모형에 적용하기 위하여 GIS 컴포넌트 기반인 ArcGIS ArcObjects를 이용하여 유역특성자료 분석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수계별 주요 유량 지점에 대한 강수량과 기저유출 기여도 분석 (Analysis of Baseflow Contribution to Streamflow at Several Flow Stations)

  • 최윤호;박윤식;류지철;이동준;김용석;최중대;임경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41-451
    • /
    • 2014
  • Streamflow is typically divided into two components that are direct runoff and baseflow, it is required to analyze and estimate behaviors of those two flow components to understand watershed characteristics so that watershed management plan can be effective in pollutant reductions. Since pollutant load behaviors in a stream or river are variable by flow component behaviors, best management practices need to be applied in a watershed based on the pollutant load behaviors varying with flow components. Thus, baseflow behaviors were analyzed separating baseflow from streamflow data collected from fifteen streamflow gaging stations in the 4 major river watersheds which are the Han river, Nakdong river, Guem river, and Yeongsan Somjin river watersheds. Moreover, precipitation trends throughout the 4 River Systems were investigated, thus daily precipit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sixty-five locations. The Hank river watershed displayed the largest precipitation (925.2 mm) in summer but the lowest precipitation (71.8 mm) in winter, indicating the watershed has the most fluctuating precipitation characteristic. While the precipitation trends in the Four River Systems varied, a distinct feature in baseflow trends was not found, moreover baseflow percentages to streamflow were typically greater than 50% in the Four River Systems. As shown in this study, it would be expected significant amount of pollutants could be contributed to the stream in the form of baseflow at the watershed.

SWAT 모형을 이용한 두 인접 하천유역간의 비점오염 유출특성 비교연구 (Runoff Characteristics Comparis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for Two Adjacent Stream Watersheds using SWAT Model)

  • 정충길;조형경;박종윤;김성준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4권3호
    • /
    • pp.91-101
    • /
    • 2012
  • This study is to assess the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s for Jecheon and Jangpyeong stream watersheds located in the upstream of Chungju lake. The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a physically based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 was calibrated and verified using 5 years (2006 to 2010) streamflow and water quality data. The Nash-Sutcliffe model efficiency for streamflow was 0.60~0.92 and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s for sediment,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ous (T-P) were 0.53~0.71, 0.51~0.91 and 0.38~0.85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diment, T-N, and T-P of Jangpyeong stream were 40.0~60.9 %, 34.8~64.1 % and 76.5~83.9 % higher than Jecheon stream watershed during wet days. The results evaluated high NPS loads at Jangpyeong stream because the percentage of urban and upland crop cultivation area Jangpyeong stream watershed was higher than Jecheon stream watershed.

자연하천의 무차원 유황곡선 (Dimensionless flow Duration Curve in Natural River)

  • 박상덕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6권1호
    • /
    • pp.33-44
    • /
    • 2003
  • 유황곡선은 하천유량의 변동성을 함축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인위적인 유량조절이 없는 자연하천의 무차원 유황곡선을 조사하여 보았다. 유황분석은 IHP대표유역과 대하천 주요 수위관측 지점의 수문자료를 토대로 수행하였다. 유황은 유역면적에 의존하나 유황계수는 판수계수를 제외하면 유역면적의 변화에 민감하지 않았으며 특히 풍수계수는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평수량에 대한 갈수량 및 저수량의 비로 정의한 유황변동계수는 유역면적이 증가하면 작아지고 하천 경사의 증가에 따라 커진다. 저수유황변동에 비하여 갈수유황 변동이 유역면적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여진다.

농업 소유역 격자단위 오염부하량 평가 (Assessment of Cell Based Pollutant Loadings in an Intensive Agricultural Watershed)

  • 강문성;조재필;전종안;박승우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1권5호
    • /
    • pp.87-94
    • /
    • 2009
  •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were to estimate cell based pollutant loadings for total maximum daily load (TMDL) programs an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AGNPS) model for an intensive agricultural watershed in Korea. The model was calibrated and validated at a watershed of 384.8 ha of drainage area using the observed data from 1996 through 2000 in terms of runoff, suspended solid, total nitrogen, and total phosphorus on a hourly basis. Analysis of spatial variations of pollutant loadings for rainfall frequencies of various intensities and durations were conducted. In addition, the validated model was applied to estimated the TMDL removal efficiency for best management practices (BMPs) scenarios which were select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pollutant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watershed. The model can help to understand the problems and to find solutions through landuse changes and BMPs. Thus, the method used for this study was able to identify TMDL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for various sources pollution that are spatially dispersed. Also it provides an assessment of the impact of BMPs on the water bodies studied, allowing the TMDL programs to be complemented more effectively.

수문모형(HMS)과 GIS자료를 이용한 오원천 유역의 유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lculation of Runoff Discharge in the Ohown river Basin Using the GIS Data and Hydrology Model)

  • 김운중;정남선;김경수
    • 지질공학
    • /
    • 제10권3호
    • /
    • pp.263-272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GlS와 수문모형(HIS)을 이용하여 오원천 유역에서 강우와 유출량의 관계를 산정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유역인자와 지형인자는 GIS를 이용하여 DEM으로부터 추출하였으며, 그 외의 자료들은 1:50,000 지형도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수문모형에서 이용되는 변수인 유역면적(A), 유로연장, SCS CN 값 등은 대상유역에서 GIS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변수들을 수문모형에 적용하여 강우-유출량의 관계를 모의하는데 이용하였다. 그리고 계산된 유출량과 관측 유량을 이용하여 매개변수를 최적화하였다. 그리고 모의된 매개변수를 토대로 수문모형에 적용하여 강우-유출량 관계를 확정하였다. 그 결과 수문모형은 강우-유출량의 관계를 성공적으로 모의하였다.

  • PDF

수리학적 추적 방법을 이용한 자연하천의 강우유출 해석 (An Analysis of the Rainfall-Runoff of Natural Watershed Using the Hydraulic Routing Method)

  • 권현한;문영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7호
    • /
    • pp.555-564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매개변수의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수리학적 모형으로 강우-유출 모형을 구성하였다. 미계측 유역에 대해서 지형도나 유역 특성 자료로부터 매개변수를 추정하고 지표류는 운동파 방법을 하도추적은 Dynamic Wave 추적기법을 적용하여 대표적인 자연하천 유역인 소양강 유역과 위천 유역에 대해서 적용성을 검토해 보았다. 모형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소양강댐 유역을 대상으로 HEC-1 모형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을 비교한 결과 HEC-1 모형에 부합되는 유출해석이 가능하였으며 모형의 효율성 및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낙동강 위천 유역에서도 도시적 해석 및 통계적 지표에서 모두 실측치와 근접한 해석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기존에 많이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론을 이용한 간단한 모형이지만 자연하천에 적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그러나 여전히 조도계수의 추정 및 유역폭의 산정 등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으며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하겠다.

유역특성에 따른 한강하구 습지의 공간분포 및 변화분석 (Spatio-Temporal Dynamics of Estuarine Wetlands Related to Watershed Characteristics in the Han River Estuary)

  • 노백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44-354
    • /
    • 2007
  • 본 연구는 한강하구역에 위치한 33개 표준유역을 대상으로 1910년대, 1970년대, 2000년대 지형도를 이용하여 하구습지를 추출하여 공간적 분포특성과 시기별 변동추이를 분석한 것이다. 또한 하계밀도, 유역의 위치 및 크기, 경사도, 평균표고 등 유역특성이 하구습지 분포와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지 살펴보고, 개발사업 등 인위적 교란이 하구습지 훼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지형도 분석결과, 하구습지는 191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완만하게 감소하였으며, 수도권이 팽창하기 시작한 1970년대 이후 한강하구의 습지는 급속하게 훼손되었다. 표준유역의 위치에 따라 하구습지를 구성하는 퇴적물 구성비율도 다르게 나타났는데, 해안에 인접한 유역에서는 갯벌(펄)의 구성비율이 높고 한강본류 및 지류에 인접한 유역에서는 사구나 습지(식생군락)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역면적이 넓고 경사가 급하며 평균표고가 낮은 지역에서 하구습지는 광범위하게 분포하였다. 1970년대 이후 하구습지는 인위적 교란이 높은 한강서울, 한강서해, 한강고양 권역에서 크게 훼손된 반면 군사적 이유로 민간인의 출입이 제한된 임진강하류 및 한강하류 권역에서는 감소폭이 낮았다. 특히 지난 30여년 동안 인구증가율이 높으며 인공적인 토지피복 구성비율이 높아진 유역에서 하구습지의 훼손이 높게 나타났다.

강우-유출모형의 매개변수 보정을 위한 최적화 기법의 비교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Optimization Methods for the Parameter Calibration of Rainfall-Runoff Models)

  • 김선주;지용근;김필식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7권3호
    • /
    • pp.3-13
    • /
    • 2005
  • The conceptual rainfall-runoff models are used to predict complex hydrological effects of a basin. However, to obtain reliable results, there are some difficulties and problems in choosing optimum model, calibrating, and verifying the chosen model suitable for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basin. In this study, Genetic Algorithm and SCE-UA method as global optimization methods were applied to compare the each optimization technique and to analyze the application for the rainfall-runoff models. Modified TANK model that is used to calculate outflow for watershed management and reservoir operation etc. was optimized as a long term rainfall-runoff model. And storage-function model that is used to predict real-time flood using historical data was optimized as a short term rainfall-runoff model. The optimized models were applied to simulate runoff on Pyeongchang-river watershed and Bocheong-stream watershed in 2001 and 2002. In the historical data study, the Genetic Algorithm and the SCE-UA method showed consistently good results considering statistical values compared with observed data.

논문 - AnnAGNPS를 이용한 대전천 유역의 불투수면 변화에 따른 배출부하량 평가 (Impacts of Impevious Cove Change on Pollutant Loads from the Daejeon-Stream Watershed Using AnnAGNPS)

  • 장승우;강문성;송인홍;정세웅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3-14
    • /
    • 2011
  • Increased impervious surfaces alter stream hydrology resulting in lower flows during droughts and higher peak flows during floods. Not only urban area but also rural area has been expanded impervious surfaces because of increasing of greenhouse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AnnAGNPS (Annualized Non-Point Source Pollution Model) on the surface runoff characteristics of the Daejeon-Stream watershed, and to predict the hydrological effects due to increasing of impervious surfaces. The model parameters were obtained from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databases, and additional parameters calibrated with the observed data. The model was calibrated by using 2004 of the runoff data and validated by using 2002 data obtained from WAMIS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to compare the simulated results for the study watershed. R2 values and efficiency index (EI) between observed and simulated runoff were 0.78 and 0.80, respectively at the calibration period. In this study, expanding of impervious surfaces such as greenhouses caused increasing of surface runoff, but caused decreasing of total nitrogen and total phosphorus loa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