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quality patterns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27초

수질자료 결측구간의 오염부하 추정기법 비교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Pollutant Load Estimation Method in the Water Quality Data Missing Intervals)

  • 조범준;조홍연;강성현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5-56
    • /
    • 2007
  • 수량 및 수질자료, 특히 수질자료가 없는 구간에서의 직접계산에 의한 오염부하 산정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적절한 방법을 이용하여 결측구간의 자료를 보완(data filling)하여 계산하는 추정과정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질자료가 없는 구간, 즉 수질 결측구간에서 오염부하량을 산정하기 위한 다양한 농도 추정방법을 제시하고, 제시된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된 농도변화 양상 분석 및 오염부하 변동양상을 비교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추정방법을 최종 제안하였다. 또한, 오염부하에 영향을 미치는 수량 및 수질인자의 상대적인 중요성과 연안 하천의 오염부하 특성을 구분할 수 있는 영향인자를 제시하였다. 수질자료 결측구간의 다양한 농도 추정방법을 이용하여 한강하구의 오염부하를 산정한 결과, 결측구간을 제외하고 추정한 오염부하는 매우 낮은 비현실적인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가용자료의 변동성을 고려한 선형내삽법이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한강하구의 오염부하양상은 수량주도형으로 판단되었으며, 결측구간의 농도추정은 불가피한 과정으로 적절한 추정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 부하량 정량화를 위한 수질 유량 모니터링 개선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and Streamflow Monitoring to Quantify Point and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 장주형;이형진;김현구;박지형;김지호;류덕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860-870
    • /
    • 2010
  • Long term monthly monitoring data showed that the water quality of streams flowing into Lake Paldang has been improved by various strategy for water. However, the effect of quality on Lake Paldang is still insufficient because of nonpoint source from watershed. In order to evaluate quantifying methods for pollution source and make a suggestion on improvements,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 was constructed by using data set from the water quality and streamflow monitoring network in the Kyoungan watershed for Total Maximum Daily Loads (TMDLs). Load duration curve (LDC) based on the result of the Kyoungan watershed SWMM indicated that the water quality criterion on $BOD_5$ was often exceeded in up-stream than down-stream. From flowrate-load correlation curve, SS load significantly increased as streamflow increases. 75.3% of streamflow and 62.1% of $BOD_5$ loads is discharged especially in the zone of high flows, but monitoring data set didn't provide proper information about the conditions and the patterns associated with storm ev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quire representative data set for comparing hydrograph and pollutograph through monitoring experimental watershed and to establish methods for quantifying point and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A Post-Implementation Assessment of the Effectiveness of a Separate Sewer System in Improving River Water Quality

  • Reyes, Nash Jett;Geronimo, Franz Kevin;Guerra, Heidi;Choi, Hyeseon;Jeon, Minsu;Kim, Lee-Hyung;Ku, Jin Hye;Jun, Kyung Soo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241-241
    • /
    • 2021
  • Recent developments recommend the use of SSS to prevent combined sewer overflows and reduce excessive pollutant deposition in the receiving waters; however, other studies also suggest that SSS have minimal or no advantage over CSS in terms of reducing the pollutant loads being discharged in natural waterway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employing SSS in improving the water quality of the rivers in Okcheon-gun, South Korea. The former combined sewer outfalls (CSOs) were monitored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illicit connections or leaks in the newly-established SSS. Dry and wet-day monitoring was conducted alongside the collection of water samples on 14 points along the reach of the rivers and four former CSOs to determine water quality changes and patterns of pollutant loading. Among the 34 former CSOs in the study area, eight former CSOs exhibited dry-day discharges, implying the possibility of having illicit connections, leaks, or illegal wastewater discharge in the system. Moreover, relatively high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chemical oxygen demand (COD) concentrations, ranging from 4.8 mg/L to 24.9 mg/L and 6.4 mg/L to 10.1 mg/L, respectively were observed on three out of the four monitored CSOs. Fluctuations in the pollutant concentrations in the different monitored points along the river was also observed due to the presence of pipes discharging polluted water. Ultimately,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identify the sources of dry-day discharges in the CSOs to successfully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the rivers in the area.

  • PDF

도심하천유역의 PCBs 농도 분포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Polychlorinated Biphenyls(PCBs) in Urban Watershed)

  • 김현승;김일규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57-766
    • /
    • 2012
  • In this study, we have examined concentration distribution and patterns of PCBs in waters, sediments and soils in an agricultural area of South Korea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CBs sources and concentration levels. The concentration of PCBs in water samples were ranged from lower values below detection limit to 8.25 ug/L and the concentration of PCBs in sediment samples were ranged from lower values below detection limit to 76.67 ug/Kg. The concentration of PCBs in soil samples were ranged from lower values below detection limit to 23.51 ug/Kg. These contamination levels were far below the guideline values suggested for environmental quality assessment. The homologue patterns in samples varied from sample to sample, but isomer patterns were very similar with each other. PCB-138 and PCB-153 were predominant congeners in the soil and sediment, which were similar to the results obtained from previous studies. With these results, the assessment of potential sources of PCBs contamination in the sediments of the Nakdong river basin was performed. The principal components were extract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As the result of PCA, it could be expected that PCBs in samples of this study were more affected by PCB products than combustion processes and mostly affected by already-known sources. The PCBs in the soil and sediment samples were related with commercial PCB products.

AI기반 스마트 수질환경관리 서비스 플랫폼 개발 (AI-based smart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service platform development)

  • 김남호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1권9호
    • /
    • pp.56-63
    • /
    • 2022
  • 최근 기후변화에 의한 수온상승, 과다한 영양염류의 유입 및 하천환경의 변화로 인한 주요하천 및 호소에 대한 조류발생 빈도 및 범위가 증가하고 있다. 이상조류에는 녹조와 적조가 있다. 녹조현상은 물속의 클로로필(Chl-a) 등의 남조류가 과다 성장하여 물의 색이 짙은 녹색으로 변하는 현상으로, 미량의 냄새물질과 독소를 생성하여 수질악화와 식수안전에 대한 우려가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생활주변 환경의 생태하천과 호소에서 측정된 수질정보를 원격지에서 1:1 실시간모니터링 및 제어하기 위하여 디지털트윈의 3D 가상세계를 구축하고, 사물인터넷(IOT) 센서기반의 수질정보 센서측정기를 개발하며, AI의 머신러닝 기반 수집데이터 분석을 토대로 녹조 등 수질오염의 발생원인과 확산패턴을 예측하여 조류경보와 수질예보를 할 수 있는 스마트 수질환경 서비스 플랫폼 구축을 제안하고자 한다.

삽교천유역의 용존산소 추세 (Dissolved Oxygen Trend in Sapgyo Stream Watershed)

  • 임창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6호
    • /
    • pp.667-68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삽교천유역에 위치한 19개 수질관측지점의 16년간(1995~2010) 월별 용존산소(dissolved oxygen: DO)자료를 이용하여 월별 및 계절별 용존산소 추세를 분석하였다. 추세분석을 위해 Mann-Kendall 추세분석과 Sen's slope 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삽교천 유역을 4개 구역(삽교호, 삽교천본류, 무한천 및 곡교천)으로 구분하여 카이스퀘어 동질성 검정(chi-square homogeneity test)을 실시하여 각 구역의 월별, 그리고 계절별 용존산소추세의 동질성 유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 수질관측지점의 월별, 계절별 용존산소는 증가추세를 보이거나 혹은 유의한 추세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삽교천 유역 수질관측지점들의 계절별 용존산소추세는 서로 동질성을 보인 반면에 월별 용존산소추세는 수질관측지점이 저수지에 위치한 지점의 경우 동질성을 보이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삽교천 유역 수질관측지점의 용존산소 추세는 각 수질관측지점의 위치와 계절에 따라서 다른 양상을 보였다.

빅데이터 토픽모델링과 감성분석을 활용한 물공급과정에서의 수질사고 기사 분석 (Analysis of articles on water quality accidents in the water distribution networks using big data topic modelling and sentiment analysis)

  • 홍성진;유도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spc1호
    • /
    • pp.1235-124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웹 크롤링 방법을 이용한 자료수집,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과 같은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국내 상수도 수질사고에 대한 전개양상 분석을 수행하였다. 상수도 시스템의 수질사고 빅데이터 뉴스의 추출을 위한 웹크롤링 기법을 적용하고 정확한 수질사고 뉴스를 획득하고자 알고리즘을 절차화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대규모 수질사고의 경우 사고발생에 따른 사고인지, 사고확산, 사고대응, 사고해결 등과 같은 전개양상이 나타나므로, 각 단계에 따른 적절한 뉴스기사를 추출하고, 이에 따른 정보분석을 실시하였다. 즉, 각 단계 별 주요 키워드, 감성분석을 통한 수질사고 전개양상분석을 사례기반으로 상세히 실시하고 그 의미를 분석, 도출하였다. 제안된 방법론을 2020년 발생한 인천광역시 유충사고기간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질사고와 같은 소비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보의 공개가 제한된 상황에서 사고발생시 장기간의 피해 지속성이 있는 수질사고에 대한 뉴스 기사 언론보도의 논조 및 소비자의 긍부정도가 시간에 따라 명확히 변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공급자 입장에서의 수질사고의 전개양상은 시설물의 빠른 복구도 매우 중요하지만 소비자의 긍정도를 높이기 위한 소비자 중심의 정책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금호강 유역관리를 위한 수변구역의 토지이용패턴분석 (An Analysis of Land Use Patterns in Riparian Zones for the Geumho River Watershed Management)

  • 박경훈;오정학;정성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57-165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금호강 유역을 대상으로 수변구역의 토지이용패턴과 하천 수질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GIS 자료는 수치토지이용도(1:25,000), 수치지형도(1:5,000)에서 추출된 하천망도, 그리고 다중버퍼링 기법에 의한 수변구역도로 구성되었다. Pearson의 상관분석은 하천 양안 30m 수변구역의 토지이용패턴과 수질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하였다. 수변구역의 토지이용패턴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대구광역시가 위치하고 있는 금호강 하류의 소유역들은 대부분이 주거, 상업, 공업의 도시지역으로 개발된 반면, 금호강 중류와 낙동강 본류에 분포하는 소유역들은 논, 밭 그리고 과수원 등의 농업지역으로 주로 이용되었다. 유역에서 발생되는 질소, 인, 퇴적물 등의 여과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 산림지역의 면적률은 16%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변구역의 토지이용패턴과 하천 수질지표간의 상관분석결과에 따르면, 수변구역의 도시면적률은 하천 수질과 음(-)의 관계를 가지며, 산림지역 면적률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에는 지가 등의 경제적인 측면을 비롯한 현재의 토지이용패턴, 그리고 하천 제방의 특성, 지형, 토양 등의 물리적 인자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조사 및 연구와 이를 바탕으로 한 종합적인 수변구역 정비 및 관리계획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기후변화 대응 물 효율성 증대를 위한 스마트 관개기술 연구 (Smart irrigation technique for agricultural water efficiency against climate change)

  • 김민영;전종길;김영진;최용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198-198
    • /
    • 2017
  • Climate change causes unpredictable and erratic climatic patterns which affects crop production in agriculture and threatens public health. To cope with the challenges of climate change, sustainable and sound growth environment for crop production should be secured. Recent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development of smart irrigation system using sensors and wireless network as a solution to achieve water conservation as well as improvement in crop yield and quality with less water and labor. This study developed the smart irrigation technique for farmlands by monitoring the soil moisture contents and real-time climate condition for decision-making support. Central to this design is micro-controller which monitors the farm condition and controls the distribution of water on the farm. In addition, a series of laboratory studi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irrigation pattern, one time versus plug time. This smart technique allows farmers to reduce water use, improve the efficiency of irrigation systems, produce more yields and better quality of crops, reduce fertilizer and pesticide application, improve crop uniformity, and prevent soil erosion which eventually reduce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discharge into aquatic-environment.

  • PDF

청주지역의 도심하천인 미호천에서 시공간적 수질변이 특성 및 유입지천의 영향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an Urban Miho Stream and Some Influences of the Tributaries on the Water Quality)

  • 김지일;최지웅;안광국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33-445
    • /
    • 2014
  • The objective of study was to analyze seasonal and inter-annual patterns of water chemistry of Miho Stream watershed during 2004 - 2007 along with some influences of tributaries and summer monsoon on the stream water quality. For the study, eight physico-chemical parameters such as nitrogen, phosphorus, BOD, COD and chlorophyll-a (CHL) etc.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seven sampling sites of the mainstream and some tributaries in the watershed. In the upstream reach, Mean of BOD, COD and TP averaged 3.2 mg/L, 6.5 mg/L and $186{\mu}g/L$, respectively, indicating an eutrophic conditions as a III-rank in the stream water quality criteria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MEK). The eutrophic water was due to a combined effect of Chiljang tributary with high nutrients ($TP=844{\mu}g/L$, TN=8.087 mg/L) and the point sources from some wastewater treatment plants. In the meantime, BOD, TN, and TP in the downstream reach were about > 1.2-1.5 folds than the values of the midstream reaches. This was mainly attributed to effluents of nutrient rich-water (mean TN: 11.980 mg/L) from two tributaries of Musim Stream and Suknam Stream, which is directly influenced by nearby wastewater disposal plants. Seasonal analysis of water chemistry showed that summer monsoon rainfall w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water quality, and water quality had a large spatial heterogeneity during the rainfall period. In the premonsoon, BOD in the downstream averaged $6.0{\pm}2.47mg/L$, which was 1.4-fold greater than the mean of upstream reach. Mean of CHL-a as an indicator of primary productivity in the water body, was > 2.2 - 2.9 fold in the downstream than in the upstream, and this was a result of the high phosphorus loading from the watershed. Overall, our data suggest that some nutrient controls in point-source tributary streams are required for efficient water quality management of Miho Stre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