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budget

검색결과 383건 처리시간 0.023초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에서 수립된 삭감계획의 평가 (Evaluation of the Established Reduction Scheme in Implementation Plan of Total Maximum Daily Loads)

  • 박재홍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97-305
    • /
    • 2008
  • It is necessary to select proper reduction methods and to calculate reasonably reduction amount for making good practice of the reduction scheme. Moreover, it is suggested that the reduction amount have to be distributed properly during the planning period. In other words, it has not to be concentrated on the specific year (especially final year of the planning period). The reason why, if the reduction amount concentrate on the final year of the planning period, allotment loading amount could not be achieved in some cases (e.g., insufficiency of budget, extension of construction duration). Even though much of the budget have been supported from national treasury (about 50%), it is thought the role of the local government must be strengthened gradually.

하수처리수 재이용을 통한 도시하천 물순환 및 수질 개선 (Urban Instream Flow Augmentation Using Reclaimed Water in Korea)

  • 지용근;안종호;이진희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85-294
    • /
    • 2012
  • Current urban stream conditions and their restoration projects were investigated by surveying the urban stream management experts in 29 cities with high population density (more than 1,000person/$km^{2}$).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ratio of covered urban streams decreased by 1.4% (from 14% to 12.6%) in the last 5 years through steady river restoration projects promoted by governments. Nonetheless, 36.3% of 369 urban streams surveyed still report stream depletion problems; therefore, more efforts to alleviate the problems caused by distorted water circulation of urban streams are still necessary. Water depletion in many local urban streams, unlike national rivers, is accelerated due to negligence in stream management, budget shortage, and other reasons. To prevent stream depletion, the use of reclaimed water is suggested as one of the prevention plans. When available amounts of reused sewage are estimated through actual available nationwide sewage discharges of each watershed and instream flow of stream, annual instream flow supply of 780 million $m^{3}$ is expected; 4.8% reduction in the pollution load of public sewer treatment facilities is expected; and the creation of new value through water reuse service is expected. Thus, it is important for the reviews of feasibility and alternatives of water reuse projects for flow augmentation to consider not only investment budget reductions, but also environmental aspects. Also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financial support of unified government with strict water quality management policy.

에디 공분산으로 관측된 설마천 산림 유역의 증발산 (Evapotranspiration Measurements using an Eddy Covariance Technique in the Seolmacheon Catchment)

  • 권효정;김준;이정훈;정성원;이진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112-1116
    • /
    • 2009
  • 설마천 유역에서 에디 공분산 방법을 사용하여 2007년 9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증발산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bullet}$ 설마천 유역의 일 증발산은 0.1 - 5.7 mm $d-^1$의 변동폭을 가지며 연평균 1.2${\pm}$ 1.2 mm $d^{-1}$였다. ${\bullet}$ 설마천 유역의 연 증발산은 총 581 mm $yr^{-1}$로 연 강수량 (1997 mm $yr^{-1}$)의 약 1/3을 차지한다. 그러나 설마천 내에서 관측된 강수량의 공간 분포가 약 20%의 차이를 보이며, 주변 강수 자료를 사용할 경우 증발산은 연 강수량의 35%를 차지하였다. ${\bullet}$ 설마천 유역의 증발산의 경우, 지표와 대기간의 접합정도를 나타내는 오메가인자(${\Omega}$)오메가는 여름에 0.5로 평형증발산과 부과증발산이 전체 증발산에 기여하는 정도가 거의 같음을 보였다.

  • PDF

영산강 하구해역에서의 단순 박스모델에 의한 물질수지 (Material Budgets in the Youngsan River Estuary with Simple Box Model)

  • 이경식;전수경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48-254
    • /
    • 2009
  • 영산강 하구해역에서 계절별로 물질순환과 영양염 플럭스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단순 박스모델을 이용하여 담수수지, 염분수지, 영양염 물질수지를 산정하였다. 외해, 시스템영역으로 유입되는 계절적 평균담수의 양은 $36.481{\times}10^6{\sim}663.634{\times}10^6m^3/month$로 나타났다. 염분수지에 의해 계산된 담수존재량은 $2.515{\times}10^6{\sim}5.812{\times}10^6m^3$이었고 평균 체류시간은 0.26~2.03일로 계산되었다. 평균체류시간은 계절별로 큰 차이를 보였는데 강우가 집중된 하계 풍수기에는 0.26일의 짧은 체류시간을 보인 반면 추계 갈수기에는 2.03일의 평균체류시간을 나타내었다. 해수교환량은 $1,248{\times}10^6{\sim}9,489{\times}10^6m^3/month$으로 하계 풍수기에 해수교환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영양염의 부하량은 DIP과 DIN가 각각 2.9~61.22 ton/month, 76.63~1,149.91 ton/month로 계산되었다. 영양염의 체류시간은 DIP의 경우 0.45~1.10일의 범위를, DIN의 경우 0.28~1.92일의 범위를 보였고, 담수체류시간과 비교하면 DIP과 DIN는 하계를 제외한 전 계절에서 담수 체류시간 보다 짧은 체류시간을 보여 영양염이 빠르게 순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DIP는 동계에 외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이고 같은 시기에 해수교환에 의한 플럭스가 시스템 영역내로 유입되는 결과를 보여 외부 유입원 존재를 추정하게 하였다.

  • PDF

공업용수 배수관망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설계 대안의 수리해석 (Hydraulic analysis of design alternatives to improve an industrial water distribution system)

  • 임성린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7-106
    • /
    • 2015
  • A CCTV inspection method has been widely used to assess sewer condition and performance, but Korea lacks a proper decision support system for prioritizing sewer repair and rehabilitation (R&R).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results that we have developed in the Sewer Condition Assessment and Rehabilitation Decision-making (SCARD) Program using MS-EXCEL. The SCARD-Program is based on a standardized defect score for sewer structural and hydraulic assessment. Priorities are ranked based on risk scores, which ar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sewer severity scores by the environmental impacts. This program is composed of three parts, which are decision-making for sewer condition and performance assessment, decision-making for sewer R&R priority assessment, and decision-making for optimal budget allocation. The SCARD-Program is useful for decision-makers, as it enables them to assess the sewer condition and to prioritize sewer R&R within the limited annual budget. In the future, this program logic will applied to the GIS-based sewer asset management system in local governments.

Development of a Drought Detection Indicator using MODIS Thermal Infrared Data

  • Park, Sun-Yurp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1
    • /
    • 2004
  • Based on surface energy balance climatology, surface temperatures should respond to drying conditions well before plant response. To test this hypothesis, land surface temperatures (LST) derived from MODIS data were analyzed to determine how the data were correlated with climatic water balance variables and NDVI anomalies during a growing season in Western and Central Kansas. Daily MODIS data were integrated into weekly composites so that each composite data set included the maximum temperature recorded at each pixel during each composite period. Time-integrated, or cumulative values of the LST deviation standardized with mean air temperatures had significantly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SM, AE/PE, and MD/PE, ranging from 0.65 to 0.89. The Standardized Thermal Index (STI) is proposed in this study to accomplish the objective. The STI, based on surface temperatures standardized with observed mean air temperatures, had significant temporal relationships with the hydroclimatological factors. STI classes in all the composite periods also had a strong correlation with NDVI declines during a drought episode. Results showed that, based on LST, air temperature observations, and water budget analysis, NDVI declines below normal could be predicted as early as 8 weeks in advance in this study area.

북한 임남댐 운영에 따른 북한강 하천유지유량 평가 (Evaluation of instream flow in Han river according to the Imnam dam operation in North Korea)

  • 이재경;장석환;임남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1호
    • /
    • pp.71-8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공유하천인 북한강 유역을 대상으로 북한 임남댐 운영에 따라 북한강 댐들의 하천유지유량 확보여부에 대해 평가하였다. WAMIS 자료 기준 1991. 01~2018. 12 기간 동안의 시자료, 일자료, 월자료의 댐 유입·유출량 자료를 기준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시평균 자료를 이용한 물수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평화의댐-화천댐과 춘천댐-소양강댐-의암댐의 댐 방류량 기준 상류유역 유입량이 (-)값으로 산정되었으나 일평균이나 월평균에서는 합리적으로 추정되어 자료의 시간단위에 따라 댐유입량·방류량 물수지분석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임남댐 운영 후에 화천댐 월평균 유입량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임남댐 운영이 북한강 수계 댐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임남댐 운영으로 인한 북한강 수계 댐들의 유입량과 총방류량의 감소에 따른 하천유지유량 총부족량과 부족시간의 증가비율이 최대 +330%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임남댐 운영이 하천유지유량 부족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중요성이 커지는 하천유지유량을 확보하는 다양한 방안 마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하천형 저수지의 단순 물질수지 모델링 (Simple Material Budget Modeling for a River-Type Reservoir)

  • 윤성규;공동수;배우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20-431
    • /
    • 2010
  • 하천형 저수지인 팔당호의 건기시 수질을 모의하기 위하여 단순 물질수지 모델을 개발하였다. 대상 물질은 총인 (TP), 클로로필${\alpha}$ ($Chl.{\alpha}$), 5일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 (BOD) 화학적 산소요구량 (COD)이었다. 모델은 지난 20년간의 실측치를 잘 재현하였으며 유기물질의 성인을 밝히는데 이용될 수 있었다. 모델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팔당호에서 인에 대한 조류의 이용성을 결정하는 임계 수리부하는 약 $1.5m\;d^{-1}$로 나타났다. 팔당호의 $Chl.{\alpha}$, COD, BOD 농도는 임계부하보다 작은 수리부하의 조건에서 생산과 호흡 및 침전과 같은 조류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최근 유기오염 저감을 위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강도 높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팔당호의 수질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COD 농도는 증가하였다. 모델 해석을 통하여 이는 조류 생산량의 증가와 아울러 비점오염원 등에서 외래성 부하가 증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00~2007년 기간의 조류 기원성 유기물 농도는 전체 유기물 농도의 절반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이는 1988~1994년 기간에 비하여 2.5배, 1995~1999년 기간에 비하여 1.3배에 달하는 수준이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팔당호의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조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었다.

WASP5 모형에 의한 새만금호의 수질 매개변수 추정 (Estimation on Parameters of Water Quality in the Saemanguem Lake by WASP5 Model)

  • 박영기;최문술;이장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43-754
    • /
    • 2000
  • WASP5 모형을 새만금호에 적용하여 모형의 매개변수 추정을 수행하였다. 추정방법으로는 수질항목 및 매개변수들을 몇 개의 군으로 나누어, 각 군의 매개변수들을 시행착오법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추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모의 수질항목으로서 엽록소 a, 질소 순환요소들, 인순환요소들, BOD 및 DO 등을 포함하였으며, 복잡도 4에서 수질을 모의하였다. 새만금 담수호의 전체유역을 수 개의 물수지 단위 소유역으로 구분하여 물수지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물수지 분석모형에 의한 1975년부터 1996년까지 22년간 월별 평균유입량을 산정하여 모형의 상류경계단에서의 유량 입력자료로 이용하였다. 1997 및 1998년의 수질측정자료는 계절별 평균치와 함께 계절별 매개변수의 보정 및 검증에 각각 사용하였다. 수질항목 및 관련 매개변수들을 계열별로 분류하여 추정하는 것이 많은 수의 매개변수 추정에 있어서 효율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모형의 보정 및 검증 결과, 유기물의 비점오염원에 대한 정량적 평가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Box Model을 이용한 가막만의 물질체류시간과 Net Ecosystem Metabolism (Dissolved Nutrient Balance and Net Ecosystem Metabolism Using a Simple Box Model in Gamak Bay, Korea)

  • 엄기혁;이원찬;박성은;홍석진;김형철;조윤식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57-263
    • /
    • 2011
  • SBM을 이용하여 2006년 가막만의 담수, 염분, 영양염 등 물질 수지를 산정하였다. 담수유출량은 $-174.2{\sim}72.5{\times}10^3m^3/day$로 나타났으며 개방경계에서의 해수 교환에 의한 mixing volume은 $-2.4{\times}10^7\sim4.9{\times}10^7m^3/day$로 만 내외의 염분차이에 의해 크게 좌우 받았다. 육상기인 DIP와 DIN의 유입 flux의 범위는 397.0~1158 mole/day 및 1750~8328 mole/day의 범위로 다른 지역에 비해 낮았다. DIP의 소실 또는 생성은 물수지의 변동에 의해 크게 좌우 되는 특징을 보였으며, 또한, 물질체류시간에 의해 물질수지가 크게 좌우되어 NEM도 크게 달라지는 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