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Supply Facilities

검색결과 414건 처리시간 0.024초

농업용수 수요량 예측기법 고찰 (Consideration of Techniques for Agricultural Water Demands Estimation)

  • 박재홍;이용직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2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37-40
    • /
    • 2002
  • It is to show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techniques to estimate agricultural water demand and to suggest the new methods considering the water demand for non-irrigated area and decrease of water loss in canal. It is to suggest the methods to improve the techniques for estimating agricultural water demand and to analyze the water demand and supply according to the facilities capacity. Until now, the concept of per the unit used to estimate agriculture water demand is useful to estimate demand, but is insufficient to cope with the variations of conditions in future. And the paddy area of government is not realistic against a trend of decrease. Water demand decrease is caused by constructions of irrigation facilities as constructing of irrigation canal, but application loss ratio is fixed. Increase of the water demand owing to the increase of the yield per the unit area is also the actual condition which is not considered. The guide-line must contain these contents for a demand estimate.

  • PDF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Water Source Protection Areas for Indirect Intakes

  • Choi, Ji-Yong;Hwang, Dae-Ho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5권4호
    • /
    • pp.231-237
    • /
    • 2010
  • With increased chemical and economic development activities in upstream areas, the amounts of pollutants released have increased, and as such, so has the need for positive management of water supply source areas. Although more than 90% of the water supply sources in Korea depend on direct intake from surface water, the interest in indirect intake, such as riverbank filtration water, has recently risen, with some local governments currently undertaking indirect intake. Even in cases of indirect intake, water supply source protection zones need to be assigned for the comprehensive control of pollutants. To establish water quality protection zones for indirect intake, the scope of the protection zones needed to reflect the hydrological features of the water-bearing deposits of each site. Water source protection areas were estimated and presented as the 1st (within a 100 m radius from an intake well) and 2nd (within a 2 km radius from an intake well) zones. The 1st zone was more sensitive; hence, the installation of various facilities should be prohibited, and the area should be regarded as off-limits. For the 2nd zone, appropriate management should prohibit and restrict activities already present in the water source protection zone.

SWAT 모형을 이용한 상수도 취수원의 가뭄 예측 및 확산 연구 (A Study on Drought Prediction and Diffusion of Water Supply Intake Source Using SWAT Model)

  • 최정렬;조현재;라다혜;김지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6호
    • /
    • pp.743-750
    • /
    • 2019
  • 하천을 수원으로 하는 상수도 시설은 강수량 및 하천 유량과 같은 모니터링 설비가 없는 곳이 대부분이며, 갈수기 등 하천 유량 감소기에도 취수량 조절과 같은 가뭄대응을 위한 판단 기준이 없어 사전 대응이 곤란한 실정이다. 또한, 실제 가뭄 업무를 일선에서 처리하는 지자체 공무원 등이 지금까지 제시된 가뭄지수(SPI, PDSI 등) 및 확산 모델 등을 사전 대응에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장기유출모형(SWAT)의 매개변수 검·보정을 통해 장기간의 일단위 유출량을 추정하였으며, 감수곡선식을 도출하였다. 또한, 일단위 취수량과 감수곡선식의 관계분석을 통해 취수가능일수를 정량적으로 산정하였으며, 이를 용수공급 네트워크에 대입하여 읍면동 단위 적용 가능 범위를 제시하였다.

정수시설 자산관리 LoS분석 벤치마크지수 개발 (Development of Benchmark Index of LoS for Asset Management of Water Treatment Facilities)

  • 남영욱;현인환;이철성;천민규;김민철;김두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67-683
    • /
    • 2015
  • Since aged water treatment facilities could threaten the sustainable water supply, asset management system has been adopted for their systematic management. Level of Service(LoS) is one of critical components of asset management and could be quantified through benchmark index(BMI). Water supplier could estimate consumer's satisfaction and their performance through BMI to improve the LoS. We developed BMI for water treatment facilities from customer's satisfaction survey. BMI, represented with the Total Service Score(TSS), was assessed with water quality, water pressure, taste and odor, water rate, and service quality with weighing factors. BMI could, further, be used to assist the analysis of the life cycle cost to increase the unit of LoS.

AHP기법에 의한 관개용수로 조직의 평가 (Evaluation of Irrigation Canal Systems by the AHP(Analysis Hierarchy Process) Method)

  • 박재흥;김선주;김필식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96-108
    • /
    • 2003
  • Agricultural water occupies the largest portion of total water use in Korea, and generally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water have been stressed on the demand of agricultural water itself. But it is unavoidable to change a policy from the development of water resources to cope with the increase of water demand to the effective management of existing water resources. Evaluation of the decrepitude of irrigation facilities and their reasonable maintenance are important for the effective supply and use of agricultural wat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evaluation technique that diagnoses the current condition of irrigation canals and suggest a countermeasure to improve the found problems. 25 items in 6 classes were selected for the evaluation of irrigation canal systems, and the weighted value between the items was calculated using AHP (Analysis Hierarchy Process) method.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irrigation facilities was evaluated from the class evaluation marks, and ranking was decided from the total marks between the projects, and finally the priority of the project for the improvement was given.

GIS를 이용한 상수도(上水道) 계획(計劃) 의사결정(意思決定) 지원(支援)시스템 연구(硏究) (Decision Making Support System for Water Supply Facilities Planning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하성룡;김주환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01-113
    • /
    • 1995
  • 상수도 계획 시 계획에 필요한 지형 및 공간특성이 갖는 정보들의 상호 유기적인 결합과 분석의 활용 가치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정보관리체계가 필요하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한 데이타베이스 관리시스템(Data Base Management System : DBMS) 및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의 구축이 불가피하다. 또한 관로상의 수리학적 특성에 관련된 통과경로는 대상경로가 갖는 지리적 특성에 큰 영향을 받으므로 수리학적 안정성과 용수공급 대상지역까지 도수 및 송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다 경제적인 노선의 선정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수도의 신규개발이나 기존시설 확장 시, 계획의 적정성이나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각종기술 및 사회적 경제적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계획 대안을 제공할 수 있는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을 도입한 상수도 계획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특히 상수도 관로계획 수립은 대상지역의 지형 및 토지이용특성에 따른 영향이 지배적인 인자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만으로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GIS)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용수공급계통계획의 주된 요인인 지형적 공간적 특성을 GIS가 지니는 각종 분석기능과 관로 수리해석 프로그램 SAPID, 경제분석 프로그램인 ECOVEL을 개발하여 결합하고, 지형적인 공간특성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관로의 적정노선을 보다 합리적으로 선정할 수 있는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개발시스템의 현장 적용성 평가를 실시하여 그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PDF

현실적 가뭄대응력 평가를 위한 공급가능일수 기반의 평가지표 개발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index based on supply capacity for practical evaluation of drought resilience)

  • 김기주;김지흔;서승범;김영오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1호
    • /
    • pp.11-21
    • /
    • 2023
  • 최근 발생하는 극한가뭄에 대비하고자 본 연구는 실제 운영에서 수자원 시설물의 가뭄 취약도 및 가뭄대책별 우선순위를 파악할 수 있는 가뭄대응력 지표로 S-day를 제안하였다. 여기서 가뭄대책이란 용수공급 조정, 시설간 연계운영, 비상용량 고려 등이 대표적이며, 각 댐별로 그 구성에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15개 다목적댐 및 용수댐에 대하여 가뭄대응력을 산정하였으며, 그 결과 20년 빈도의 가뭄이 지속될 시 15개 댐 모두 전반적으로 용수공급 조정이라는 가뭄대책을 통해 안정적인 가뭄대응력을 보였다. 하지만 다른 대책에서는 2년 이상 지속되는 다년 가뭄을 대비하지 못하였으며, 횡성댐과 안동·임하댐은 100년 빈도 가뭄 발생 시 대부분의 대책에서 S-day가 1년을 넘기지 못하였다. 특히, 횡성댐, 안동·임하댐, 군위댐, 운문댐, 대청댐, 주암댐은 20년 빈도 가뭄 발생 시, 가뭄대책을 적용하지 않으면 1년 내로 정상적인 용수공급이 불가능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day를 통해 가뭄대책별 최적 공급 용량을 제안하고 대책별 가뭄단계에 따른 가동시기를 변경해 가뭄대응 효과를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미래 사회·경제적 변동에 따른 수요변화를 반영하고자 현행 공급 계약량에 대해 10%씩 증감하여 전체 15개 댐의 가뭄대응력을 재평가하였다. 그 결과 공급계약량이 10% 감소할 경우, 대부분의 댐에서 용수공급 조정만으로도 심각한 가뭄에 대한 대비가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미래 시나리오 기반 낙동강 유역의 용수공급 안정성 평가 (Evaluation on the water supply stability of nakdong river basin based on future scenarios)

  • 최시중;강성규;이동률;강신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spc1호
    • /
    • pp.1105-1115
    • /
    • 2018
  • 최근 국내에서는 기후변화가 용수공급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한 사례가 많지 않으며 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미래의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위해 미래 다양한 상황에 대한 분석을 통한 수자원 계획이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미래 다양한 상황을 시나리오로 구성하고 각 시나리오 경로에 대한 물 수급 전망을 통해 용수공급의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용수공급의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물 공급 취약지역을 선정하여 제시하였으며 지역별, 용도별 물 부족 시나리오를 전망하였다. 또한 용수공급시설물의 최적연계 운영을 통해 용수공급 능력 증대 효과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향후 낙동강 유역에는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용수공급의 어려움이 예상됨에 따라 이를 완화 또는 해소하기 위해서 보다 다양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규모 농업용저수지 수혜면적 변화에 따른 효율적 용수재분배 모의 (Simulation of Water Redistribution for the Resized Beneficiary Area of a Large Scale Agricultural Reservoir)

  • 성무홍;정민혁;범진아;박태선;이재남;정형모;김영주;유승환;윤광식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3권3호
    • /
    • pp.1-12
    • /
    • 2021
  • Optimal water management is to efficiently and equally supply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by using irrigation facil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valuate water supply capacity through distribution simulation between the designed distribution rate and re-distributed rate according to the changed farming conditions. In this study, we recalculated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amount of Geumcheon main canal, which beneficiary area was reduced due to the development of Gwangju-Jeonnam innovation city, and we constructed a canal network using the SWMM model to simulate the change in supply rate of each main canal according to the re-distributed rate. Even though the supply amount of the Geumcheon main canal was reduced from 1.20 m3/s to 0.90 m3/s, it showed a similar supply rate to the current, and the reduced quantity could be supplied to the rest of the main canal. As a result, the arrival time at the ends of all main canal, except for the Geumcheon main canal, decreased from 1 to 3 hours, and the supply rate increased from 4 to 17.0% at the main canal located at the end of the beneficiary area of Naju reservo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