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Resources Information

검색결과 1,345건 처리시간 0.03초

Strengthen the Construction of Water Resources Monitoring Ability, Support the Strictest System of Water Resources management

  • Jiang, Yun-Zhong;Yi, Wan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27-33
    • /
    • 2012
  • At present, the overall water resources monitoring ability in China is weak since there is an absence of a sound monitoring system and comprehensive monitoring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problem of weak management ability in monitoring, measurement and information, it can hardly meet the need of implementing the strictest management system of water resource and also restricts the practice of the system to some extent. The production states the necessity of further development of water resources monitoring ability and points out the concept of "One Country, One Account" for constructing water resources information. There is an analysis on the demand on further development of water resources monitoring ability and profound discussion about the strategies for supporting "three red-line" management.

  • PDF

빅 데이터와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수자원 정보 관리 방안에 관한 검토 (A Review on the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Information based on Big Data and Cloud Computing)

  • 김연수;강나래;정재원;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0-112
    • /
    • 2016
  • 최근 국내 외 수자원 정책의 방향은 전통적인 이 치수 부문과 함께 삶의 질을 향상을 위해 지속가능한 물 관리에 대한 필요가 강조되면서 수자원 정보의 수집, 관리 및 제공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과거 수자원 정보는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이미 정하고 거기에 맞도록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기술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정형 데이터뿐만 아니라 비정형 데이터를 연계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도출할 수 있는 빅 데이터와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면서 수자원 정보에도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수자원 정보 관리의 패러다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수자원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 및 이용을 위해 수자원 분야에서 빅 데이터와 클라우드 컴퓨팅의 적용 방안을 검토 및 제언하고자 하였다. 국내외 수자원 정보 관리의 현황과 방향을 살펴보고, 빅 데이터의 3대 요소인 크기(Volume), 속도(Velocity), 다양성(Variety)과 함께 추가적으로 언급되고 있는 정확성(Veracity), 가치(Value)개념을 연계하였다. 그리고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증가하는 수자원 관련 빅 데이터와 수요자의 변화에 대해 신속하고 유연한 대처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앞으로의 수자원 정보 관리는 정보의 크기(Volume), 속도(Velocity), 다양성(Variety) 등의 빅 데이터와 클라우드 컴퓨팅 적용을 통한 인명과 재산의 보호 등 공공의 목적, 물 관리 및 재난의 예방과 대응에 필요한 정확한(Veracity) 정보의 생산, 그리고 다른 분야와의 융합 등에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수자원 정보의 가치(Value)를 높이는 방행으로 나아가야 한다.

공간정보를 이용한 유역 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Management System for a Drainage Basin using Spatial Information)

  • 신사철;김성준;채효석;권기량;이윤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33-44
    • /
    • 2002
  • 한정된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유역단위의 수자원관리를 위해서는 유역의 특징과 여건을 반영하여 적절한 물관리 계획이 추진될 수 있도록 유역단위의 수자원정보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각기 다른 기관에서 추진되고 있는 각종 정보화 자료를 수집하고, 이들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각종 주제도를 통합 관리하여 수자원 및 수질분야에 있어서 운영되어야 할 시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범시스템은 PC기반의 윈도우즈 환경에서 ArcView 및 Visual Basic을 이용하여 GUI 시스템으로 구축되었다. 이러한 시범연구를 통하여 수자원분야의 GIS 및 원격탐사 활용에 따른 수치지도의 정확도 검증 및 향상방안, 문제점의 파악 및 해결방안, 효율적인 이용 및 각종 수문 모형과의 연계방안 등이 확보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수재해 정보 플랫폼 통합관리를 위한 표준기술 적용방안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tandard Technology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Water Hazard Information Platform)

  • 김동영;이정주;채효석;황의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19-130
    • /
    • 2015
  • 최근 정보기술 기반의 물 관련 분야에서 국가 또는 국제 표준에 대한 실무 적용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공간정보 기반의 콘텐츠 개발과 수신, 처리, 배포 등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기본 핵심이 되는 표준의 중요성 또한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공간정보 분야의 필요성에 비하여 표준에 대한 관심과 개발 및 적용을 위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주요 국제 표준 기구인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SO)와 Open Geospatial Consortium(OGC)에서 개발, 제정된 정보제공 국제표준 및 관련 표준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수재해 정보 플랫폼 구축을 위해 적용 가능한 통합관리 표준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측자료 제공을 위한 빅데이터, NoSQL, 클라우드 기술, 공간정보웹서비스를 위한 OGC WxS 표준기술들, 공간정보 표준포맷에 관한 ISO 기술 등 표준화된 정보제공 기술들의 특징을 조사하고, 해당 기술의 도입 전략 및 적용방안을 검토하였다.

풍수해 피해예측지도 연계·활용을 위한 표준 메타데이터 설계 (Standard Metadata Design for Linkage and Utilization of Damage Prediction Maps)

  • 서강현;황의호;백승협;임소망;채효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52-66
    • /
    • 2017
  • 본 연구는 풍수해 피해예측지도 활용 고도화에 필요한 표준 메타데이터를 시범 설계하고, 이를 기반으로 표준메타정보관리 프로토타입 시스템 구축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외 메타데이터 표준 현황 조사를 통해 가장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된 ISO/TC211 19115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표준 메타데이터 설계 방향을 설정하였으며, 식별정보, 기준계정보, 배포정보 등 9개의 클래스로 구분하여 메타데이터를 시범 설계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설계한 표준 메타데이터를 바탕으로 메타속성정보를 확인 및 다운로드할 수 있는 표준메타정보관리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HTML 기반 JAVASCRIPT 언어로 구축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활용한다면, 표준화된 통합 풍수해 피해예측지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해 향후 구축되는 피해예측지도의 품질유지가 가능해지며, 풍수해 피해예측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 관리 및 제공 등을 통해 효율적인 재난대응에 활용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SENSITIVITY ANALYSIS ABOUT THE METHODS OF UTILIZING THE HIGH RESOLUTION CLIMATE MODEL SIMULATION FOR KOREAN WATER RESOURCES PLANNING (I) : THEORETICAL METHODS AND FORMULATIONS

  • Jeong, Chang-Sam;Lee, Sang-Jin;Ko, Ick-Hwan;Heo, Jun-Haeng;Bae, Deg-Hyo
    • Water Engineering Research
    • /
    • 제6권2호
    • /
    • pp.63-71
    • /
    • 2005
  • Nowadays Climate disasters are frequently happening due to occasional occurrences of EI Nino and La Nina events and among them, water shortage is one of the serious problems. To cope with this problem, climate model simulations can give very helpful information. To utilize the climate model for enhancing the water resources planning techniques, probabilistic measures of the effectiveness of global climate model (GCM) simulations of an indicator variable for discriminating high versus low regional observations of a target variable are proposed in this stud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various analysis methods to find the suitable application methods of GCM information for Korean water resources planning. The basic formulation uses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of the Kolmogorov-Smirnov test for detecting differences between two variables. The various methods for adopting correct association, changing the window size, discrimination condition, and the use of temporally down scaled data were proposed to find out the suitable way for Korean water resources plann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