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H_2O$)

검색결과 3,110건 처리시간 0.031초

18FDG 생산용 타겟("사용 후 H218O")의 방사화 분석 (An Activation Analysis of Target("used H218O") for 18FDG Synthesis)

  • 강보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213-219
    • /
    • 2013
  • 현재 국내에서 가동 중인 싸이클로트론센터는 약 35개소에 이르며, 대부분의 싸이클로트론 센터는 주로 핵의학검사용 악성종양 추적자인 $^{18}FDG$ 등과 같은 방사성의약품을 생산하고 있다. 18F을 생산하기 위한 타겟으로서 산소동위원소비($^{18}O/O$)가 98%정도인 고농축 $H_2{^{18}}O$를 사용하고 있다. 고농축 $H_2{^{18}}O$는 1 gram당 가격이 약 60~70 USD 정도로 매우 고가이나 100%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양성자 빔 조사 전의 타겟(고농축 $H_2{^{18}}O$)은 비방사성이다. 하지만, "사용후 $H_2{^{18}}O$"는 불순물들의 방사화에 의해 방사능을 띄게 되므로 방사선안전 법규에 따라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최근의 핵의학검사 건수의 증가에 따라 사용 후 O-18의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현재까지 이에 대한 방사화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8}F$생산을 위해 양성자조사를 하고 난 타겟, 이른바 "사용후 O-18 water"의 방사화 분석을 실시하여 핵종별 방사능농도(Bq/g)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세 곳의 서로 다른 싸이클로트론 센터에서 보관 중인 "used $H_2{^{18}}O$" 중 20g 씩을 채취한 3개의 시료에 대해 방사화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사용후 O-18 water는 감마선 방출 방사성핵종인 $^{56}Co$, $^{57}Co$, $^{58}Co$, $^{54}Mn$ 등과 베타선 방출핵종인 $^3H$을 상당량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모든 시료에서 3H은 규제면제 농도 이하인 반면, 한 개 시료는 핵종별 규제면제농도 이상의 감마선 방출핵종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료에 포함된 감마선 방출핵종의 방사능 농도(Bq/g)는 조사 후 보관기간의 차이에 따라 달랐으며, 향후의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판단되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사용후 O-18 water"의 합리적인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취반 가수율에 따른 품종별 쌀밥의 텍스쳐 특성 (Water Addition Ratio Affected Texture Properties of Cooked Rice)

  • 이수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810-816
    • /
    • 1996
  • 침지온도 $20^{\circ}C$에서 침지 후 30분에서 35분 사이에 대부분의 품종이 평형에 도달했으며, 평형수분 함량은 0.3247~0.3577(g $H_2O/g$ dry matter)로 나타났다. 초기 수분흡수 속도에서는 품종간에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낙동벼의 경우 0.123g $H_2O$/$min^{1/2}$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취반 후 밥의 수분 함량은 가수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가수율이 1.3에서 1.6(v/w)으로 증가함에 따라서 밥의 수분 함량은 품종에 따라 약 6.0~7.0%증가하였다 가수율에 따른 취반 후 밥의 경도는 가수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끈기와 끈기대 경도의 비는 대체적으로 증가하였다.

  • PDF

테라헤르츠 분광학을 이용한 중수(D2O)와 경수(H2O) 혼합물의 특성연구 (Terahertz Characteristics of D2O and H2O Mixtures)

  • 정중건;손주혁
    • 한국광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435-438
    • /
    • 2008
  • 중수($D_2O$, 산화중수소)는 수소원자(H)보다 중성자 한 개가 더 많은 수소원자 동위원소(D)로 이루어진 물이다. 중수는 자연 상태의 물 가운데 5만분의 1정도 존재하며 경수($H_2O$)와 매우 비슷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나 경수보다 11%정도 무겁고, 특이점은 235 K로 228 K인 경수와 약간의 차이를 가진다. 중수는 중성자를 흡수하여 원자로의 중성자 감속재로 쓰이고 최근 중수 농도에 따라 세포에 미치는 독성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이 발견 되어 암 치료에 사용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는 테라헤르츠 시간축 분광학을 이용하여 경수와 중수 혼합물의 농도별 굴절률과 흡수율 변화를 거대 분자간 결합에너지 영역을 포함하는 테라헤르츠 영역 ($0{\sim}2.5\;THz$)에서 측정하여 중수의 비율이 높을수록 굴절률은 감소하고 흡수율 또한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다.

토양/퇴적물에 주입한 과산화물에서 발생되는 산소 배출 (Oxygen Release from Peroxide Injected into Soil/Sediment)

  • 한경민;김건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56-159
    • /
    • 2010
  • Peroxide is used frequently to provide electron acceptors to aerobes for the purpose of in situ bio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sediment. In this study, oxygen release rate of peroxides and factors affecting on dissolution and diffusion of oxygen into pore water were evaluated. Peroxides studied in this study were magnesium peroxide ($MgO_2$), calcium peroxide ($CaO_2$), and sodium percarbonate ($Na_2CO_3{\cdot}1.5H_2O_2$). $Na_2CO_3{\cdot}1.5H_2O_2$ showed the highest oxygen release rate per unit mass and the shortest release duration time among three peroxides. A simple first-order decay model for predicting the release rate of oxygen from peroxide into pore water was presented and used to fit the experimental data. The first order oxygen release rate constants k for $MgO_2$, $CaO_2$ and $Na_2CO_3{\cdot}1.5H_2O_2$ were 0.45 /hr, 3.22 /hr and 134 /hr, respectively. If $MgO_2$ was mixed with clay, oxygen release rate was lowered significantly mainly due to limitation of contact area and diffusion, implying that oxygen can be provided to the indigenous aerobes for the extended period of time.

Hydrogen Production from Photo Splitting of Water Using the Ga-incorporated TiO2s Prepared by a Solvothermal Method and Their Characteristics

  • Chae, Jin-Ho;Lee, Ju-Hyun;Jeong, Jong-Hwa;Kang, Mi-Soo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0권2호
    • /
    • pp.302-308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duction of hydrogen over Ga (1.0, 2.0, and 5.0 mol%)-$TiO_2$ photocatalysts prepared by a solvothermal method. The absorption band was slightly blue-shifted upon the incorporation of the gallium ions, but the intensity of the photoluminescence (PL) curves of Ga-incorporated $TiO_2$s was distinguishably smaller, with the smallest case being the 2.0 mol% Ga-$TiO_2$, which was related to the recombination between the excited electrons and holes. $H_2$ evolution from photo splitting of water over Ga-incorporated $TiO_2$ in the liquid system was enhanced, compared to that over pure $TiO_2$; particularly, the production of 5.6 mL of $H_2$ gas after 8 h when 1.5 g of the 2.0 mol% Ga-incorporated $TiO_2$ was used.

A Newly Designed a TiO2-Loaded Spherical ZnS Nano/Micro-Composites for High Hydrogen Production from Methanol/Water Solution Photo-Splitting

  • Kim, Ji-Eun;Kang, Mi-Soo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7호
    • /
    • pp.2133-2139
    • /
    • 2012
  • A new system using $TiO_2$ (nano-sized, band-gap 3.14 eV)-impregnated spherical ZnS (micro-sized, band-gap 2.73 eV) nano/micro-composites (Ti 0.001, 0.005, 0.01, and 0.05 mol %/ZnS) was developed to enhance the production of hydrogen from methanol/water splitting. The ZnS particles in a spherical morphology with a diameter of about 2-4 mm which can absorb around 455 nm were prepared by hydrothermal method. This material was used as a photocatalyst with loading by nano-sized $TiO_2$ (20-30 nm) for hydrogen production. The evolution of $H_2$ from methanol/water (1:1) photo splitting over the $TiO_2$/ZnS composite in the liquid system was enhanced, compared with that over pure $TiO_2$ and ZnS. In particular, 1.2 mmol of $H_2$ gas was produced after 12 h when 0.005 mol % $TiO_2$/ZnS nano/micro-composite was used. On the basis of cyclic voltammeter (CV) and UV-visible spectrums results, the high photoactivity was attributed to the larger band gap and the lower LUMO in the $TiO_2$/ZnS composite, due to the decreased recombination between the excited electrons and holes.

정수슬러지를 이용한 제올라이트의 합성 및 특성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Zeolite Using Water Treatment Sludge)

  • 고현진;고용식
    • 청정기술
    • /
    • 제26권4호
    • /
    • pp.263-269
    • /
    • 2020
  • 정수슬러지를 이용하여 제올라이트(zeolite)를 수열합성하고, 제올라이트의 결정화에 대한 반응온도, 반응시간, Na2O/SiO2 몰비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제조한 제올라이트의 결정구조, 물성 및 열적 특성은 각각 X-선 회절분석, FTIR, BET 질소흡착 및 TGA로 분석하였다. 제올라이트의 흡착성능을 조사하기 위해 암모니아성 질소, 중금속이온 및 TOC 제거효율을 측정하였다. 정수슬러지의 주성분은 Al2O3와 SiO2로서 각각 28.79%와 27.06%을 나타내었으며, 제올라이트 합성을 위한 실리카 및 알루미나 원료는 정수슬러지 이외에 어떠한 화학원료도 추가로 첨가하지 않고 합성을 진행하였다. 정수슬러지를 이용하여 제조한 제올라이트는 A형 제올라이트의 구조를 나타내었으며, 반응기질의 조성을 2.1Na2O-Al2O3-1.6SiO2-65H2O으로 하고, 반응온도 90 ℃, 반응시간 5시간, Na2O/SiO2 몰비가 1.3인 경우에 가장 높은 결정성을 나타내었다. 합성 제올라이트의 비표면적은 55 ㎡ g-1로서 상업용 제올라이트 A 보다 높게 나타났다. 합성 제올라이트의 암모니아성 질소(NH4+) 제거율은 3시간 반응한 경우 68%를 나타내었으며, 제올라이트의 Pb2+ 및 Cd2+ 이온에 대한 흡착실험 결과 제거율은 각각 99.1% 및 99.3%를 나타내었다. 이는 제올라이트의 격자 내에 존재하는 Na+ 이온과 Pb2+ 및 Cd2+ 이온 간의 원활한 이온교환이 이루어졌음을 나타낸다. 300 ppm 부식산 용액에 제올라이트의 첨가량을 변화시켜 3시간 동안 흡착실험을 수행한 결과 제올라이트 5 g을 첨가한 경우 TOC 제거율이 83%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s of Water-adsorbed Imogolite Film

  • Park, Jae-Hong;Lee, Jung-Woo;Chang, Sun-Young;Park, Tae-Hee;Han, Bong-Woo;Han, Jin-Wook;Yi, Whi-K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9권5호
    • /
    • pp.1048-1050
    • /
    • 2008
  • Electric current flow was observed through imogolite film when imogolite ($(HO)_3Al_2O_3SiOH$) was exposed to water molecules and connected to external electrodes. Current flow was due to the bound water on the surface of imogolite. Current flow increased as the pH of the water decreased. The current-voltage (I-V) measurements from a field effective transistor (FET) using $H_2O$/imogolite film revealed that the current carrier in $H_2O$/ imogolite had p-type characteristics, i.e. the carrier was probably $H^+$. The possible mechanism for current transportation in imogolite/water was also suggested in this paper.

Experimental Study on the Interference of Water Vapor on the Chemical Ionization of OH by Sulfur Hexafluoride Ion

  • Park, Jong-Ho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5권4호
    • /
    • pp.120-123
    • /
    • 2014
  • The interference of water vapor on the chemical ionization (CI) of hydroxyl radicals (OH) by sulfur hexafluoride ion ($SF_6{^-}$) was investigated using a flow tube system coupled to a high-pressure CI mass spectrometer. Water vapor, which is required to study heterogeneous reactions of OH under real tropospheric conditions, transforms the reagent ion $SF_6{^-}$ into $SF_4O^-$ and $F^-(HF)_n$, resulting in a substantial loss in CI sensitivity. Therefore, under humid conditions, peaks corresponding to OH are drastically diminished, while those corresponding to OH-water complex ions ($[OH(H_2O)_n]^-$) are enhanced. $[OH(H_2O)_3]^-$ was observed as the major OH species. The obsercation of $[OH(H_2O)_n]^-$ by isolating humid conditions to the CI region and preliminary ab initio calculations suggested that $[OH(H_2O)_n]^-$ ions were produced from reactions between OH ions ($OH^-$) and water molecules. An additional helium buffer flow introduced into the CI region reduced loss of the reagent ion and resulted in a partial recovery of OH peak intensities under humid conditions.

Acidic Water Monolayer on Ru(0001)

  • Kim, Youngsoon;Moon, Eui-Seong;Shin, Sunghwan;Yi, Seung-Hoon;Kang, Heon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68-268
    • /
    • 2013
  • Water molecules on a Ru(0001) surface are anomalously acidic compared to bulk water. The observation was made by conducting reactive ion scattering, reflection absorption infrared spectroscopy, and temperature-programmed desorption measurements for the adsorption of ammonia onto a water layer formed on Ru(0001). The study shows that the water molecules in the first intact $H_2O$ bilayer spontaneously release a proton to NH3 adsorbates to produce $NH_4{^+}$. However, such proton transfer does not occur for $H_2O$, OH, and H in a mixed adsorption layer or for $H_2O$ in a thick ice film surfa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