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ste Solidification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3초

하수슬러지와 생활폐기물 혼합소각시 열부하 변화 및 대기오염물질 부하 변화를 통한 혼합소각 가능성에 관한 연구 (The Feasibility of Co-Incineration for Municipal Solid Waste and Sewage Sludge through the Change of Heat Loading and Atmospheric Pollutants Loading)

  • 조재범;김우구;연경호;신정훈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9호
    • /
    • pp.583-589
    • /
    • 2012
  • 하수슬러지의 처분 방안으로서 하수슬러지를 생활폐기물과 혼합소각시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전체폐기물 중 하수슬러지를 20%까지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열부하 및 대기오염물질(질소산화물, 황산화물)부하에 영향을 크게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하수슬러지(함수율 78.8%) 및 건조하수슬러지(함수율 60%)를 혼합소각한 결과, 건조하수슬러지를 혼합한 경우에는 열부하변동이 거의 없었으나 생하수슬러지를 혼합소각한 경우는 열부하가 다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전처리를 한슬러지 혼합소각이 평상시와 같은 운전조건으로 소각로 연소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고발열 생활폐기물 발열에 의한 소각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비용 및 슬러지 경화현상에 의한 국부소각 방지 등을 고려하여 생하수슬러지에 수분을 공급하여 소각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만 하다고 판단된다.

흙도로포장용 재료로서 폐콘크리트 미분말의 활용성 연구 (Utilizability of Waste Concrete Powder as a Material for Soil Pavement)

  • 김용직;최연왕;김영진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권3호
    • /
    • pp.277-282
    • /
    • 2015
  • 본 연구는 고품질의 재생골재 제조시 발생하는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콘크리트용 혼화재료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이며, 분말도는 $928cm^2/g$인 폐콘크리트 미분말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폐콘크리트 분말의 주요 특징은 시멘트와 유사한 각진 입형을 나타내고 있었으나 입자 표면에 수화생성물들이 부착되어 있었다. 또한 시멘트와 비교하여 폐콘크리트 분말의 입자 크기는 크게 나타났으며, 화학성분은 $SiO_2$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도로포장은 대부분이 표층에 불투수층인 아스팔트 및 시멘트 콘크리트를 사용한 포장으로 노상과 표층이 차단됨에 따라 노상의 흙은 점진적으로 산성화가 진행되어 영양물질이 부족하여 미생물이 서식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토양의 건조화가 진행되어 여러 가지 환경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연구 결과 개발된 Road Compound 및 New Road Compound로써 표층흙을 고화시킬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압축강도를 5MPa에서 최대 29MPa정도까지 발현시킬 수 있으므로 흙포장 도로의 사용목적에 따라 즉 압축강도가 12~15MPa 범위에서는 보도 및 자전거도로용, 15~18MPa 범위에서는 경교통로 및 주차장용, 18~25MPa 범위에서는 일반도로용으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Road Compound 및 New Road Compound의 혼합률을 조정하면 지반개량공사에 있어 연약지반 개량 및 안정처리용 등으로 폭 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슬러지의 물리적 특성을 이용한 매립복토재 생산과 악취저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Landfill-Cover Material Us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ludge and the Reduction of Odor)

  • 박정현;여운호
    • 유기물자원화
    • /
    • 제28권2호
    • /
    • pp.15-29
    • /
    • 2020
  • 본 연구는 하수슬러지와 침출수 공정슬러지를 건조연료와 혼합하여 물리적 특성을 개선하고 악취를 저감하는 중성고화제를 개발하여 매립 복토재로 재활용하기 위한 연구이다. 슬러지와 건조연료의 배합비율(W/W)은 1:1이 적정하며 기계 혼합시험에서도 균질하게 혼합되었다. 슬러지는 건조연료와 혼합되면서 함수율과 점성은 저감되고, 입자와 입자사이에 공극이 생겨 통기성을 가지게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양한 혼합시험과 악취시험 결과, 중성고화제는 악취저감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주 원료는 하수슬러지 소각재로 폐기물의 재활용과 생산비용에 있어 경쟁력이 있다. 중성고화제를 적용하여 고화복토재를 생산하면 압축강도 등 물리적인 특성이 향상되고 복토재 사용 품질기준도 만족하다. 또한, 알칼리성 고화복토제 대비 복합악취는 1/3 (3,000 → 1,000), 고화제 사용량은 1/8 (50% → 6%)로 낮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그리고 이것은 토사와 혼합하여 식물재배를 위한 토지개량제로 활용이 가능함을 입증하기 위해 추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유리화공정 고온영역에서의 방사성 배기체 유동해석 (Numerical Analysis of Off-Gas Flow in Hot Area of the Vitrification Plant)

  • 박승철;강원구;황태원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13-220
    • /
    • 2007
  • 유리화공정 고온영역에서의 방사성 배기체 유동해석을 해석하기 위하여 상용 수치해석 범용 툴인 FLUENT를 이용하여 적용성을 검토하여 보았다. 수치해석을 통하여 유리화공정 원형설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파악하였는데, 저온용응로, 배관냉각기 및 고온필터 등의 세 단계로 나누어 해석을 수행하였다. 저온용융로의 경우 폐기물 처리용량에 따른 해석과 저온용융로 내부 과잉산소 공급 비에 따른 연소지연 가능성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배관냉각기의 경우에는 각종 수치 모델 및 외벽 열전달계수를 확보하였으며 또한 방사성 핵종의 거동을 모사할 수 있는 수치적 기업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핵종의 열교환기 내부에서의 응고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수평 유입형식의 인입관이 있는 일반적인 형상과 유입구가 필터 내부에 수직으로 있는 고온필터의 수치해석을 통하여 인입관의 위치에 따른 고온필터의 작동 특성을 비교하였다.

  • PDF

유리화공정 고온영역에서의 방사성 배기체 유동해석 (Numerical Analysis of Off-Gas Flow in Hot Area of the Vitrification Plant)

  • 박승철;김병렬;신상운;이진욱;강원구;홍석진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69-78
    • /
    • 2005
  • 유리화공정 고온영역에서의 방사성 배기체 유동해석을 통하여 해석에 적합한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을 이용한 수치해석을 통하며 유리화공정 원형설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파악하였는데, 저온용융로. 배관냉각기 및 고온필터 등의 세 단계로 나누어 해석을 수행하였다. 저온용융로의 경우 폐기물 처리용량에 따른 해석과 저온용융로 내부 과잉산소 공급 비에 따른 연소지연 가능성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배관냉각기의 경우에는 각종 수치 모델 및 외벽 열전달계수를 확보하였으며 또한 방사성 핵종의 거동을 모사할 수 있는 수치적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핵종의 열교환기 내부에서의 응고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수평 유입형식의 인입관이 있는 일반적인 형상과 유입구가 필터 내부에 수직으로 있는 고온필터의 수치해석을 통하여 인입관의 위치에 따른 고온필터의 작동 특성을 비교하였다.

  • PDF

Study on Water Resistance of Environmentally Friendly Magnesium Oxychloride Cement for Waste Wood Solidification

  • Zhang, Feng-Jun;Sun, Xian-Yang;Li, Xuan;Zhang, Dan;Xie, Wen- Jie;Liu, Jin;Oh, Won-Chun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446-451
    • /
    • 2018
  • In this study, different formulations of magnesium oxide and various modifiers (phosphoric acid, ferrous sulfate, pure acrylic emulsion, silicone acrylic emulsion, glass fiber, and polypropylene fiber) were used to prepare magnesium oxychloride cement composite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magnesium oxychloride cement was tested, and the softening coefficients of the composites after soaking in water were also calculated. The results showed that a magnesium oxychloride cement sample could not be coagulated when the MgO activity was 24.3%, but the coagulation effect of the magnesium oxide cement sample was excellent when the MgO activity was 69.5%. While pure acrylic emulsion, silicon-acrylic emulsion, and glass fiber showed insignificant modification effects on the magnesium oxychloride cement, ferrous sulfate heptahydrate, phosphoric acid, and polypropylene fiber could effectively improve its water resistance and compressive strength. When the phosphoric acid, ferrous sulfate heptahydrate, and polypropylene fiber contents were 0.47%, 0.73%, and 0.25%, respectively, the softening coefficient of a composite soaked in water reached 0.93 after 7 days,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reached 64.3 MPa.

우리나라 重金屬 함유 汚泥의 發生과 處理 (On the Generation and Processing of the Sludge Containing Heavy Metals in Korea)

  • 오재현;김미성;신희덕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3권5호
    • /
    • pp.3-16
    • /
    • 2004
  • 2002년도 지정폐기물 중 오니의 발생량은 190천통으로 이 중에 중금속 함유 오니(주로 도금폐수처리오니)가 포함되어 있고, 대부분 매립 처리하고 있다. 즉 매년 190천톤의 중금속 오니가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키지 않을까 우려스럽다. 본고에서는 먼저 폐수 및 오니처리에 관련되는 법규를 정리하고, 다음에는 1차적으로 중금속 함유오니의 발생과 처리현황을 조사 검토하였다. 또한 필자 주위의 연구자 중에서, 이와 관련되어서 행한 대형 연구를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이러한 조사내용이 우리나라 중금속 함유 폐수 및 오니의 발생과 처리실태를 파악하고, 리싸이클링과 같이 더욱 앞선 처리대핵을 강구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석유화학공장 폐수슬러지를 이용한 벽돌제조 연구 (The Study of Preparation of Block Using Wastewater Sludge of Petrochemical Factory)

  • 허관;류적용;왕승호
    • 유기물자원화
    • /
    • 제11권2호
    • /
    • pp.66-73
    • /
    • 2003
  • 석유화학공장폐수 슬러지를 폐석고와 시멘트, fly ash 및 고화제 등을 배합하여 성형하면 시멘트벽돌 및 보통시멘트의 압축강도 기준을 초과함으로 제조된 고화체는 벽돌, 블록, 경량골재, 노반재 등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 결과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시멘트량을 전체 중량비의 20%인 1.29kg에서 fly ash/슬러지의 배합비의 모든 조건과 시멘트량을 전체 중량비의 15%인 0.9kg에서 fly ash/슬러지의 배합비가 0.31~0.45일 때, 시멘트벽돌 및 보통시멘트의 압축강도 기준을 초과하였다. 제조된 고화체(제품)의 유해성 평가를 위해서 침출수 중의 $Cr^{+6}$, Cu, Zn, Cd, Pb의 용출농도를 실시한 결과 모든 대상시료의 중금속 농도는 배출허용기준치 이내를 유지하여 유해물질로 인한 문제는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고화체를 시멘트벽돌 및 보통시멘트에 준해서 활용이 가능한 제조조건에서 제조원가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자원화시설의 고화체 제조능력을 연간 약 18,000톤을 기준으로 할 때, 총괄원가 및 톤당제조원가는 각각 678,664천원 및 37,704원으로 조사되었다.

  • PDF

시멘트고화에 의한 카드뮴슬러지의 안정성 및 용출실험방법 비교 검토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Leaching Methods and Stability of Cement Mortar Solidified Cadmium sludge)

  • 주소영;김광렬
    • 환경위생공학
    • /
    • 제17권3호
    • /
    • pp.21-30
    • /
    • 200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ive solidification of Cd sludge using cement and power plant fly ash as cement admixture, to identify the leaching characteristics of the heavy metal Cd sludge solidified, and to develope proper KLT(Korean Leaching Test) of hazardous waste. KLT was compared with EPT(Extraction Procedure Toxicity) and TCLP(Toxicity Characteristics Leaching Procedure). Fly ash contents ranged from 0% to 30% of cement weight.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optimum amount of fly ash replaced was 10% to 15% and KLT was less appropriate than EPA and TCLP. Also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uggest the modification factors on the leaching test currently used,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aspects. The effects of pH, leaching time, leaching for agitating intensity, and leaching solvent were investigated. As the result of test, the leaching potential was relatively high when the pH and agitation intensity of leaching solution were 5 and 150rpm, respectively. Leaching time of six hours was found to be sufficient and the use of acetic acid as a leaching solvent is more useful in landfill site particularly.

정체성 수역 퇴적물 재활용을 위한 고형화 평가 (The Evaluation on Solidification of Dredged Sediment for Recycle from Stagnant Water Area)

  • 김상현;안태웅;최이송;오종민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1호
    • /
    • pp.63-69
    • /
    • 2012
  • Sediment has been increasingly acknowledged as a carrier in water system and an available contamination. For this reason, dredging of sediment in reservoir to remediate water quality and secure storage capacity is conducted annually. However, disposal of numerous dredged sediment is necessary as a secondary problem. Currently, in Korea, dredged sediment is classified as waste to be reclamated or recycled into sandy soil, however, they are still in trouble because of spa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 Therefore, rather than simple disposal or reuse into sandy soil, it is necessary to research on method to manage main cause of pollution and increase the value as a resource. In this study, we intend to develop a recycle technology for numerous dredged sediment produced by dredging in deteriorated reservoirs using solidificator (stabilizer). To achieve this, we will consider utilization of dredged sediment and evaluation of use possibility as natural recycle by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soil-solidificator mixture in term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he mixing ratio between sediment and solidific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