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sps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7초

밤나무혹벌의 천적종류와 발생소장 (Natural Enemies of Dryocosmus kuriphilus Yasumatsu (Hymenoptera: Cynipidae) and Their Seasonal Prevalence of Adult Emergence in Korea)

  • 김종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85-290
    • /
    • 1993
  • 밤나무혹벌의 천적종류와 발생소장을 조사하였다. 국내 천적종류는 Torymus sinensis, Torymus geranii(남색 긴꼬리좀벌), Eurytoma brunniventris(상수리좀벌), Eurytoma setigera, Megastigmus maculipennis(배잘룩꼬리좀벌), Megastigmus nipponicus(노란꼬리좀벌), Ormyrus flavitibialis(노란다리남색좀벌), Ormyrus punctiger(큰다리 남색좀벌), Eupelmus urozonus(노란꼬리벼룩좀벌), Eupelmus sp., Sycophila variegata, Diptera sp.(파리 1종)로 동정 되었다. 이들 천적 가운데 Torymus sinensis, Eurytoma setigera, Eupelmus sp.는 국내에 분포하는 것이 최초로 확인되었다. 천적의 계절별 발생소장을 경기지방에서 조사한 결과, Torymus sinensis의 성충은 전년의 형성된 벌레혹으로부터 이듬해 4월~5월에 우화하였으며 각조사지역에서 최우점종이었다. Torymus geranii, Sycophila variegata, Eupelmus urozonus(노란꼬리벼룩좀벌), Eupelmus sp.의 성충은 전년 및 당년에 형성된 벌레혹 모두에서 각각 4~5월과 6~8월에 우화하였으며, 이외의 기생벌 성충은 당년에 형성된 벌레혹으로부터 6~8월에 우화하였다.

  • PDF

거세미나방류의 생태 및 방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Bionomics and Control of Cutworms)

  • 김홍선;김석환;최궤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43-248
    • /
    • 1980
  • 가, 숯검은밤나방은 1회 발생으로 9월하순이 최성기였고 짐거세미나방 및 거세미나방은 년 $2\~3$회 발생으로 1화 6월중순, 2화기 8월중순, 3화기 9월하순에 최성기를 보였다. 나, 거세미나방류의 각태별 기간은 숯검은나방은 난기간 6.3일 유충기간 327.1, 용기간 25.1, 성충기간 6.5로 유충기간이 길었고 검거세미나방은 난기간 4.2일, 유충기간 29.6일, 용기간 17.5일, 성충기간 5.2일 이었고 거세미나방은 난기간 5.6일, 유충기간 38.2일, 용기간 27.3일, 성충기간 5.7일이었다. 다, 거세미나방류는 배추의 잎이 축 늘어진 잎 뒷면에 산란하였다. 라. 거세미나방 유충의 토중 잠토 시기는 3령이후였다. 마, 거세미나방류의 천적으로는 고치별 1종과 맵시벌 2종이 발견되었다. 바, 거세미나방류의 방제약제로는 모캡 및 보라톤이 효과적이었으나 보라톤은 작물체에 직접 닿으면 약해가 유발되므로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 PDF

흰등멸구에서 약충기생벌(Pseudogonatopus nudas Perkins)의 발육기간과 산란수 조사 (Development Period and Oviposition of Pseudogonatopus nudas Perkins (Hymenoptera : Dryinidae), a Nymphal Parasitoid of th Whitebacked Planthoppe, Sogatela furcifera Horvath (Homoptera : Delphacidae))

  • 김정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65-169
    • /
    • 1990
  • 흰등멸구 약충에 기싱햐는 Pseudogonatopus nudas벌의 생태를 실내(26~$28^{\circ}C$)에서 조사하여 앞으로 약충기생벌의 인공사육 및 벼 해충의 생물적 방제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평균 난기간, 유충기간, 전용기간 및 용기간은 2.5일, 7.8일, 2.7일 및 14.2일 이었으며, 난에서 성충기까지 발육기간은 27.2일이었다. 성충의 우화는 83.5%가 아침인 6~10시 사이에 이루어 졌으며, 오후에는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성충의 평균수명은 꿀벌과 흰등멸구 약충을 먹이로 함게 넣어 주었을 경우 수컷은 3.4일, 암컷은 11.8일이었고, 암컷의 평균산란수는 25.3개 였다. 성충의 산란기간은 5.4일 이었다. P. nudas는 기주인 흰등멸구 약충 1령과 성충에는 산란을 하지않았으며 3령층에 68.8%, 2령충 19.6%, 4령충 11.0% 및 5령충에 0.6%로 각각 나타났다.

  • PDF

Biological Control of Pests of Non-Mulberry Silkworms and Its Host Plants in India

  • Singh, R.N.;Maheshwari, M.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권2호
    • /
    • pp.83-91
    • /
    • 2002
  • The protection of silkworm and its host plants from various kinds of pests parasite and predator is a chronic problem in sericulture. Silkworms and its primary food plants are heavily damaged by large number of pest. The major pests of primary tasar food plants (Terminalia arjuna and Terminalia tomentosa) are the gall insect (Trioza fletcheri minor). Various species of aphids (Eutrichosiphum sp.) have been recorded to damage oak tasar food plants whereas muga silkworm host plants (Machilus bombycina and Litsaea polyantha) are generally attacked by stem bores (Zeuzera multistrigata). Castor (Ricinus communis) is one of the primary host plant of eri silkworm and extensive damage is caused by the castor white fly (Trialeurodes ricini). Insects pests are major enemies of silkworms. Parasites (Blepharipa zebina, Exorista bombycis, Apateles glomeratus), predators (Canthecona furcellata, Sycanus collaris, Hierodulla bipapilla), wasps (Vespa orientalix) and ants (Oecophylla smargdina) continues to cause damage to silk industry. It is estimated that the losses due to parasites and predators are to an extent of 15-20 percent and varies from crop to crop. The complexities in the behaviour and life cycle of pest population existing in semi ecosystem warrant a special attention for their effective management specially in changing scenario for our modern sericulture. Though use of synthetic insecticides has provided us with effective control of almost all major pests and predators, yet their undesirable side effects limit their continued use. Biological contro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thod which can be used to control the pests, parasites and predators population in sericulture. Various potential parasitoids, which can be utilized as an agent of biological control in sericulture have been screened. The natural enemies of the uzi fly (E. bombycis and B. zebina ) are already present in the nature. Nesolynx thymus, Trichria sp., Splangia endius, Dirhinus sp., Trichopria sp., Trichomalopsis apanteloctena and Pediobius sp. are the major parasitoids effective against uzi fly pupa. The scelionid Psix striaticeps and Trissolcus sp. are the Potential egg Parasitoids against stink bug (Canthecona furcellata). Various other native natural potential parasitoids have been screened and suitable strategies have been developed to check the population of pest insect in sericulture.

WASP5 & WASP Builder을 이용한 농업용저수지 유역의 수질관리 (Water Quality Management using WASPS & WASP Builder for a Basin of an Agricultural Reservoir)

  • 정팔진;고홍석;현미희;이은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22-431
    • /
    • 2004
  • Water quality modeling wa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diagnosis and prediction of water quality in Gyoung Choen reservoir, using EUTR05/WASP Build model. WASP Builder is capable of visual display in window and it has an advantage of updating and modification for data. Field data of 1992, Spring, Summer, and Fall, were used to calibrate model and these results were validated using data of 2000, Spring, Summer, and Fall. The reservoir was divided into 4 epilimnion segments. Water quality system for modeling were consist of BOD, Chlorophyll-a, DO, $NH_3-N$, $NO_3-N$, T-N, $PO_4-P$, T-P. The results of water quality modelling using EUTR05/WASP Builder, a range of the Correlation for calibration of BOD, T-N, T-P, and Chlorophyll-a according to three seasons are 0.63~0.90, 0.81~0.97, 0.75~0.98, and 0.77~0.98 respectively.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imulated and observed values for verification of BOD, T-N, T-P, and Chlorophyll-a according to three seasons are 0.93, 0.94, 0.81, and 0.80 respectively. Among the pollutant sources for a basin of the Gyoung Choen reservoir, generated amount of livestock is the highest and BOD, T-N, T-P of generated loading percentage are 94%, 81%, and 95%. So, we suppose that inflow load amount will decrease 50% and increase 50% only livestock about current load amount. If increasing load amount of livestock 50% in segment 2 and 3, BOD, T-N, and T-P simulated increasing to range of $0.02~0.15mg/{\ell}$, $0.029~0.08mg/{\ell}$, $0.011~0.029mg/{\ell}$ in comparison with current water quality

WASP5 모형을 적용한 복하천의 수질 예측 (Water Quality Modeling for Bokha Stream by WASP5 Model)

  • 신동석;권순국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3-238
    • /
    • 1997
  • 하천 수질예측 모형으로서 WASP5 모형을 선정하고, 복하천에 적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년평균 유달율을 적용한 결과, 실측치와 계산치 사이에 큰 차이가 나타내므로 시간을 고려한 동적모의발생을 위해서는 계절에 따른 유달율의 변화를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2. 월별 유달율을 고려한 부하량을 입력하여 계산한 결과, 실측치와 계산치가 거의 일치하므로 유역으로부터의 부하량을 이용한 하천수질 예측모형으로서 WASP5 모형의 활용이 기대된다. 3. GIS를 이용한 부하량 산정, 유역의 최적관리(BMP's)를 통한 발생량 저감, 처리장의 신${\cdot}$증설 등 경계조건이 변동된 경우, 본 WASP5모형에 시기별 유달율을 고려한 자료가 입력된다면 하천수질농도의 예측이나 수질개선효과의 파악이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스프링클러시스템을 이용한 밤나무흑벌 방제에 관한 연구 (Use of Sprinkler System for Control of Dryocosmus kuriphilus on Chestnut Orchards)

  • 정상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98-601
    • /
    • 2006
  • 밤나무림내에 sprinkler system을 고정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적정한 시기에 일시에 그리고, 간편하게 약제를 살포함으로써 밤나무의 주요해충인 밤나무흑벌(Dryocosmus kuriphilus)의 피해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목적으로 2003년부터 2년간 경남 산청군 신안면에서 본연구가 수행되었다. 공시약종은 carbaryl 50% WP, 1,500배액을 사용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밤나무흑벌 성충의 우화시기는 6월 중순부터 7월 중순까지 약35일간이며, 우화최성기는7월상순의 약 5일간이었다. 밤나무흑벌의 우화 및 산란시기에 Carbaryl 50% WP 1,500배액의 수관살포는 밤나무흑벌에 탁월한 방제효과가 있었다. 즉 매일살포구의 평균 충영형성율은 3.0%, 2일간격 살포구의 평균 충영형성율은 12.8%로서 이들은 무처리구의 평균충영형성율 82.9%와 비교하여 각각 96.4% 및 84.5%의 높은 방제효과가 인정되었으며 수관부위별로는 차이가 없었다.

딥러닝을 이용한 실시간 말벌 분류 시스템 (Real Time Hornet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Deep Learning)

  • 정윤주;이영학;이스라필 안사리;이철희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1141-1147
    • /
    • 2020
  • 말벌 종은 모양이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비전문가가 분류하기 어렵고, 객체의 크기가 작고 빠르게 움직이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탐지하여 종을 분류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바운딩 박스를 이용한 딥러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말벌 종을 실시간으로 분류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훈련 영상의 레이블링 작업 시 바운딩 박스 안에 포함되는 배경 영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말벌의 머리와 몸통 부분만을 선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실시간으로 말벌을 탐지하고 그 종을 분류할 수 있는 최선의 알고리즘을 찾기 위하여 기존의 바운딩 박스 기반 객체 인식 알고리즘들을 실험을 통하여 비교한다. 실험 결과 컨볼루션 레이어의 활성함수로 mish 함수를 적용하고, 객체 검출 블록 전에 공간집중모듈(Spatial Attention Module, SAM)을 적용한 YOLOv4 모델을 사용하여 말벌 영상을 테스트한 경우 평균 97.89%의 정밀도(Precision)와 98.69%의 재현율(Recall)을 나타내었다.

밤나무 품종별(品種別) 함유성분(含有成分)의 시기적(時期的) 변화(變化) (Seasonal Variation of Some Substances in Chestnut Shoots)

  • 위흡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1-28
    • /
    • 1976
  • 밤나무 1~2년(年) 지(枝)에 함유(含有)된 tannin, catechol tannin, pyrogallol tannin, 당(糖), 전분(澱粉), 및 조단백질등(粗蛋白質等)의 물질(物質)을 시기적(時期的)으로 추출(抽出) 분석(分析)하여 그 물질(物質)들의 시기적(時期的) 동향(動向) 그리고 밤나무 혹벌에 대(對)한 저항성(抵抗性) 품종(品種)과 감수성(感受性) 품종간(品種間)의 차이점(差異點)을 밝히고 밤나무 재배상(栽培上)의 문제점(問題點)으로 되어있는 밤나무 혹벌 저항성(抵抗性)과의 관계(關係)를 조사(調査)한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각품종별(各品種別) tannin의 평균적(平均的) 함율(含率)은 Tsuguba 0.730%, Ginyose 0.845%, Shimokatsugi 0.507%, Taisyo-wase 0.520%이었으며 년중(年中) tannin의 양적(量的) 변화(變化)는 6월(月)부터 9월(月)사이에 가장 낮은 함율(含率)을 보이나 9월이후(月以後) 상승(上昇)함을 알수있었고 6월(月)과 9월(月) 사이의 품종별(品種別) 함율(含率)은 Shimokatsugi와 Taisyo-wase에 비(比)하여 Tsuguba와 Ginyose가 높은 함율(含率)을 나타내었다. 2. 각품종별(各品種別) catechol tannin의 연평균(年平均) 함율(含率)은 상대적(相對的) 용량(容量)으로 비교(比較)할 때 Tsuguba 0.0069%, Ginyose 0.0075%, Shimokatsugi 0.0041%, Taisyo-wase 0.0038%이었고 2월이후(月以後) 10월(月)까지 양적(量的)으로 큰 변동(變動)은 없으나 10월이후(月以後)부터 상승(上昇)하였으며 연중(年中)을 통(通)하여 저항성(抵抗性) 품종(品種)인 Tsuguba와 Ginyose가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인 Shimokatsugi와 Taisyo-wase보다 2배(倍) 이상(以上)의 함율(含率)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catechol tannin의 양적(量的) 차(差)가 저항성(抵抗性)과 밀접(密接)한 관계(關係)에 있는 것 같다. 3. Pyrogallol tannin을 상대용량(相對容量)으로 비교(比較)하면 연평균(年平均) 함율(含率)이 Shimokatsugi 0.0260%, Taisyo-wase 0.0270%이고 Tsuguba 0.0196%, Ginyose 0.0194%이어서 오히려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인 Tsuguba와 Ginyose가 낮은 함율(含率)을 보였는데 pyrogallol tannin의 양적(量的) 저하(低下)와 catechol tannin의 양적(量的) 증가(增加)가 저항성(抵抗性)에 관계(關係)하지 않은가 생각한다. 4. 당(糖)의 연평균(年平均) 함율(含率)은 Tsuguba 1.061%, Ginyose 1.094%, Shimokatsugi 0.961%, Taisyo-wase 0.905%로서 저항성(抵抗性) 품종(品種)인 Tsuguba와 Ginyose가 타품종(他品種)에 비(比)하여 더 많이 함유(含有)하고 있었고 연중(年中) 양적(量的) 분포(分布)도 catecholl tannin과 비슷한 경향(傾向)이었다. 5. 전분(澱粉)은 연평균(年平均) 함율(含率)이 Shimokatsugi 2.175%, Taisyo-wase 2.131%, Tsuguba 1.998%, Ginyose 1.854%로서 당(糖)과는 달리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인 Shimokatsugi와 Taisyo-wase에 더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었으나 연중(年中) 함율(含率)의 변화(變化)는 당(糖)과 비슷하였다. 6. 조단백질(粗蛋白質)의 연평균(年平均) 함율(含率)도 Shimokatsugi 1.575%, Taisyo-wase 1.620%, Tsuguba 1.543%, Ginyose 1.446%로서 품종간(品種間) 차(差)는 심(甚)하지 않으나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이 약간(若干) 많은 경향(傾向)이었고 연중(年中) 함율(含率)의 변화(變化)는 전분(澱粉)과 비슷하였다. 7. 밤나무 혹벌 저항성(抵抗性) 품종(品種)인 Ginyose와 Tsuguba는 tannin, catechol tannin, 및 당(糖)이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보다 현저(顯著)하게 많았으며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인 Shimokatsugi와 Taisyo-wase는 pyrogallol tannin, 전분(澱粉), 및 조단백질(粗蛋白質)의 함율(含率)이 저항성(抵抗性) 품종(品種) 보다 대단(大端)히 많은 것으로 미루어 보아 이들 성분(成分)의 함유차(含有差)가 복합상승작용(複合相乘作用)하여 밤나무 혹벌 저항(抵抗)에 관여(關與)하지 않는가 생각되며 시기적(時期的)인 각성분(各成分)의 변화(變化)와 양적차(量的差) 또한 저항성(抵抗性)에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는 것 같다.

  • PDF

전국 야생 벌목 분포에 대한 기후요인 영향 연구 (Effects of Climatic Factors on the Nationwide Distribution of Wild Aculeata (Insecta: Hymenoptera))

  • 유동수;권오창;신만석;김정규;이상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03-317
    • /
    • 2022
  • 온실가스 배출 증가에 의한 기후변화는 화분매개곤충과 식물과의 생태적 상호작용인 수분생태계와 농업생태계를 포함한 자연생태계를 변화시킬 수 있다. 특히 수분생태계에서 중요한 야생벌(wild bee)은 기후변화에 의해 감소되고 있어서 결국 농업경제, 현화식물의 생태활동, 나아가 전체 생물종 다양성에 악 영향을 끼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지구온난화에 의해 한반도(남한)에서도 매년 기온이 상승하고 있고, 그에 따른 기후변화 발생으로 한반도 내 야생벌의 생태활동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남한)에서 출현하는 야생벌(꿀벌상과, 말벌상과, 청벌상과)의 분포와 기후요인과의 관계를 검정하기 위하여, 2017년(37 조사지점)에서 2018년 (14 조사지점)까지 총 51개 조사지점을 대상으로 말레이즈 트랩을 이용하여 야생벌류의 출현현황을 파악하였다. 형태 및 문헌을 통해 동정한 야생벌류와 산림기후대에 따른 분포는 평균기온, 적산온도와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통사회 경제경로(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SSP) 시나리오의 2-4.5와 5-8.5버전으로 BIOMOD 종분포 모형에 따라 남한 전역에서 출현한 야생벌과 기후대별로 특이적으로 출현한 종의 서식지 분포 변화를 예측하여 현재의 종 서식지 분포에서, 2050년과 2100년에 북쪽으로 서식지가 이동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지구온난화가 지속될 경우 국내 야생벌의 분포 변화가 일어 날 수 있고, 그로 인한 한반도의 생태계 변화가 야기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기후변화에 따른 수분생태계 및 그와 관련된 영향에 대한 연구와 야생벌 관리를 위한 정책수립을 위해 참조할 수 있는 연구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