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rehouse Fire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3초

방탈출카페의 성능위주설계에 의한 피난안전성 확대 방안 (Measures to Increase Evacuation Safety through Performance-Based Design of Escape Room Cafes)

  • 이홍상;이재영;공하성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95-104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measures to increase evacuation safety by calculating the habitable time using a fire and evacuation simulation program for the Room-escape cafe currently in operation, and comparing and analyzing it with the evacuation required time. Assuming a fire due to overheating of electric heaters in use in front of the warehouse, the habitable time was calculated through fire simulation, and the occupant's evacuation time calculated through evacuation simulation according installation of safety facilities, etc.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habitable time. In the case of escape room cafes with safety facilities installed, evacuation safety was satisfied, but in escape room cafes without safety facilities, the evacuation safety was not secure. As a result of analyzing evacuation safety for each scenario based on the ASET analyzed in the fire simulation, it was found that in scenario 1, evacuation safety was secured and everyone successfully evacuated, while in scenario 2, no one succeeded in evacuation. These results can be said to confirm that the installation of safety facilities is very important in business establishments such as escape room cafes, which become enclosed structures when games are started.

과학적 방법을 적용한 화재조사와 결함수 분석을 이용한 정온전선의 발화원인 추론 (Fire Cause Reasoning of Self-regulating Heating Cable by a Fire Investigation Applying the Scientific Method and Fault Tree Analysis)

  • 김두현;이흥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4호
    • /
    • pp.73-81
    • /
    • 2016
  • 정온전선은 평형 도체 사이에 반도전성 폴리머를 연속 압출 방식으로 충전시킨 후 양 도체 사이에 전기를 흐르게 함으로써 고분자에 의한 전열을 이용한 전기 발열체이다. 정온전선은 가격이 저렴하고 시공이 편리하기 때문에 겨울철 수배관의 동파방지용 열선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유용함에도 불구하고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두 평형 도체의 절연이 파괴되는 경우에는 화재로 이어질 수도 있는 위험성이 존재하고 있다. 본 논문은 정온전선에 의한 화재현장을 조사하여 원인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직접적인 원인을 추론하고자 하였으며, 결함수 분석을 통해 근본적인 문제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실제 냉동창고 화재현장을 조사하여 정온전선에 의한 화재원인을 추론한 결과 전선 말단 절연처리 결함에 의한 절연파괴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이 결과는 안전활동 및 유사 화재원인조사 시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적층식 대형창고 스프링클러헤드 개발 및 성능실험 (A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xperiment on In-rack Sprinkler Head for Rack Type Warehouse)

  • 김운형;이준;홍성호;김종훈;양소진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214-222
    • /
    • 2019
  • 연구목적: 적층형 물류창고의 랙크 내에 설치하여 화세제어 및 초기 진압이 가능한 스프링클러 헤드를 개발하고 이에 따른 성능확인 실험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살수반경과 살수패턴을 고려하여 여러가지 디플렉터를 설계하고 살수각도 및 방사 시험 및 방호성능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적재물 전체 및 전면부 방호가 가능하고 최소방수량 115L/min을 가지는 최적의 헤드를 개발하였다. 결론: 개발된 헤드는 방수량 K-115, 방수압 1Bar 조건에서 1단 소화실험 결과, 적용된 화재시나리오에서 적재물품을 전부 연소시키지 않고 화재를 제어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적재물 상단에서 디플렉터까지의 수직거리는 450mm 이격하여 가연물 외곽부분으로도 충분히 방사되도록 설치해야 한다.

샌드위치패널 건축물 플래시오버 지연을 위한 화재확산방지플레이트 시공방법 연구 (A Study on Flash Over Delay Effects on Applied Plate-Fire Spread Prevention Method at Sandwich Panels Structure)

  • 김도현;조남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3호
    • /
    • pp.79-87
    • /
    • 2017
  • 샌드위치패널은 양면이 철판이며 단열재로 접착된 특징을 갖는 건축자재로서 시공의 간편성, 자재비용의 경제성 등의 장점으로 공장 및 창고 구조물 등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샌드위치패널의 연속적 결합으로 시공되는 패널구조물은 패널과 패널이 연결되는 조인트 부위가 발생하게 된다 조인트부위는 화재시 철판의 용융과 변형으로 화염이 쉽게 유입되며 화재에 취약한 부위이다. 패널 내에 유입된 화염은 급속한 연소로 인해 화재확산을 유발하며 인명 및 재산피해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샌드위치패널의 화재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확산방지플레이트를 개발하였다. 이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4면의 패널 접합면을 화재확산방지 재료로 시공하는 방법에서 접합면에 개발 플레이트를 끼우는 방식으로 시공이 용이하게 개선된 것으로서 패널과 패널이 결합되는 연결부에 자립하여 적용 가능하며 화염의 유입 및 화재확산을 방지하도록 고안하였다. 샌드위치패널 시험체에 대해 KS F ISO 13784-1 시험방법의 실물화재시험을 수행하였으며, 패널 연결부에 화재확산방지플레이트의 적용 유무에 따른 연소거동을 파악하고 그 효과를 측정하였다. 시험결과 패널 연결부에 화재확산방지플레이트를 삽입하는 것은 플래시오버의 지연, 시험체의 붕괴방지, 개구부의 온도상승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효과적으로 패널구조물이 화재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확인되었다. 화재에 취약한 패널 연결부에 시공성과 경제성이 확보된 다양한 방식의 화재확산방지용 시공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구조물의 화재안전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상기반 딥러닝을 이용한 창고 화재 진압 로봇 (Warehouse Fire Suppression Robot with Image-based Deep learning)

  • 이완기;조범연;이한세;이강주;김형훈;심현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87-889
    • /
    • 2022
  • 화재로 발생하는 산업시설의 인명·재산 피해를 줄이고 기존 소방 설비의 단점을 보완하는 소방 로봇을 제안한다. 소방 로봇은 무인 시스템으로 설계되었으며 6개의 핵심 기능인 화재 감지, 화재 진압, 현장 이동, 화재 알림, 소방서 신고, 현장 모니터링으로 구성된다. 로봇의 구성은 구동부, 제어부, 소화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구성 중 일부를 선정하고 테스트 통하여 화재 진압에 유효함을 증명하였다.

고성산불로 인한 시설물피해특성 연구 (A Study on Facilities Damage Characteristics Caused by Forest Fire in Goseong-Gun)

  • 염찬호;이시영;박흥석;권춘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469-478
    • /
    • 2019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산불에 의한 시설물피해 특성연구를 위하여 2018년 3월 28일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탑동리 산16(야산)에서 발생한 산불(피해면적 40ha)을 대상으로 시설물피해 현황을 조사 하였다. 고성산불은 산림 및 농작물 피해는 물론이고, 사람이 거주하는 주택, 공공시설, 창고, 군사시설 등 17건의 시설물에 피해를 주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피해 시설물들의 세부적인 피해원인을 분석하여, 산림인접 시설물들에 대한 산불피해 방지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고성산불발생시 기상을 분석하기 위해 산불발생과 진화완료시(2018.3.28 06:19 ~ 22:00)의 기상상황(기온, 풍속, 풍향, 습도)을 1분단위로 분석하였고, 시설물 피해 사례조사를 위해 고성산불로 인해 발생한 17건의 시설물 중 군사시설 등을 제외한 10건의 피해 시설물 주변의 경사도, 사면향, 지세특성, 산림과의 이격거리, 주요수종, 수관화발생 유무, 주택방위, 주택재질 등 9개 항목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산불피해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고성산불 발생과 진화완료시(2018.3.28 06:19 ~ 22:00)의 기상상황(간성 517AWS)은 기온 및 습도가 고온 건조한 상태였으며, 풍속은 평균 4.1m/s, 최대 11.6m/s의 강한 바람이 불었다. 주풍향은 W(225~315°)방향이었으며, 산불의 확산 방향과 일치하였다. 또한 산불피해 시설물들은 급경사지와 능선의 산정부에 위치하였고, 시설물주변 산림은 수관화 발생지역의 소나무 밀임분 지역이었다. 산림과 시설물과의 이격거리는 평균 13.5m이었으며, 시설물의 재질이 불에 강한 콘크리트였을 경우 경미한 피해를 입었지만, 샌드위치판넬 등 산불에 약한 재질은 모두 전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인 주택주변의 숲 가꾸기 실시와 이격거리 확보, 시설물들의 불연재 재질로의 개선 등을 통해 산림인접 시설물들에 대한 산불방지 대책수립에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어포던스 기반 FSA모델을 이용한 대피자 행동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Modeling and Simulation of Emergent Evacuation Using Affordance-based FSA Models)

  • 주재구;김남훈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96-104
    • /
    • 2011
  • Modeling and simulation of human-involved complex systems pose challenges to representing human decision makings into logical systems because of the nondeterministic and dynamic nature of human behaviors. In modeling perspectives, human's activities in systems can increase uncertainty and complexity, because he or she can potentially access all other resources within the system and change the system states. To address all of these human involvements in the system, this research suggests applying the Finite State Automata (FSA)-based formal modeling of human-involved systems that incorporates the ecological concept of affordances to an evacuation simulation, so that human behavioral patterns under urgent and dynamic emergency situations can be considered in the real-time simulation. The proposed simulation methodologies were interpreted using the warehouse fire evacuation simulation to clarify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ology.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merge system engineering technologies and human factors, and come out to the new predictive modeling methodology for disaster simulations. This research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applications such as building layout designs and building access control systems for emergency situations.

당종해(唐宗海)의 중서회통(中西匯通)에 의한 비위관(脾胃觀) (Dang jonghae's outlook on Bi-Stomach combined the Oriental with the Western medicine)

  • 허종찬;조원준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3권1호통권19호
    • /
    • pp.1-17
    • /
    • 2007
  • Dang jonghae had written five books on chinese medicine, ${\ulcorner}$Hyeoljeungron${\lrcorner}$ is his most important work. He wanted to correct the fallacies of the theory of Jang and Bu by comparing with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He distinguished Bi from Cheomyuk by comparing the spleen with the pancreas. He recognized Stomach as the warehouse of foods, and explained that Bi took charge of digestion actually. Bi charged the function of Transportation and Blood-govering in addition to plain digestion, he wrote. Dang jonghae regarded the metabolism of the human body as the interaction of Gi, Blood, Water and Fire. And he explained that Bi adjusted them. He classified Syndrome of Blood into five sorts of syndrome and presented four kinds of treatment. Especially he took a serious view of the treatment connected with Bi and Stomach. He set up the theory of Bi and Stomach practically on basis of anatomy, but he didn ' t assorted the physiology and pathology of each organ clearly. However he proved the importance of Bi and Stomach by treating Syndrome of Blood and provided with the foundation of merging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 PDF

조선후기 전라좌수영 동헌 고찰 (A Study on Jeollajwasuyeong Donghe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 신웅주;천열홍
    • 건축역사연구
    • /
    • 제25권2호
    • /
    • pp.57-68
    • /
    • 2016
  • This study explored the Jeollajwasuyeong Donghe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ts findings are as follows. Buildings in Jeollajwasuyeong were completed since the mid-18th century. They formed areas based on functions and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two areas. The buildings within Yeongseong included Gaeksa (guesthouse), Dongheon(government office), Hyangcheong(advisory organ), Jungyeong(military camp), Guncheong (county office), Gongbang(workroom), and Changgo(warehouse). There were also buildings for low-ranking government officials. The central part of Jeollajwasuyeong was the areas of Gaeksa and Dongheon. Gaeksa was iconic area where local governors served King and had 75 Jinnamgwan Guesthouses and 3 inner gates. Those were measured off by separate walls. The Dongheon area was located in the northeast of Gaeksa. There were three gates such as Wanyeongru, Gongsamun, and Jeongbyeonmun at the entry area, which were also divided by walls like Gaeksa. Unjuheon (Dongheon) was at the center of the area where Gyeolseungdang, Mugwonjae, Naea, Chaekbang, and Gongsu were built. Outside the area, Baekwadang(used as Bijangcheong), Jinhyulgo, and Byeonggo were composed of part of the Dongheon area. Most of the buildings in Dongheon seemed to be repaired since 1664. It was difficult to locate the area of previous Dongheon. In particular, Jinnamgwan was first built in 1599 and destroyed by fire in 1716. In 1718, the building was reconstructed and shared historic denominator with Unjuheon before 1858 and reconstructed Unjuheon in 1869. It was found that Unjuheon was reconstructed more than at least three times, which was the central building in Dongheon. The buildings including Gyeolseungdang, Mugwonjae, and Baekwadang in the area were not existed within Jeollajwasuyeong and were reconstructed more than once and maintained until the early 1900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