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ll facing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5초

전면판의 연속성이 보강토체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The Role of Wall Facing on the Stability of Reinforced Soil Wall)

  • 임유진;정종홍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65-472
    • /
    • 1999
  • A small scale model reinforced soil wall was constructed in a laboratory to investigate role of the wall facing and the effect of construction sequence on the wall. A panel type facing system and a block facing system are introduced for test. These two different types of facing adapt different construction procedure. The model wall is built with geogrid reinforcement, sand, and the facings on rigid surface. The model wall is instrumented with earth pressure gauges, LVDTs, and strain gauges. It is found in this study that the reinforced soil wall system built with geogrids and panel type facing system be the safest reinforced soil wall ever compared to the block type facing. Thus, it is recommended that study for the wall system be necessary for further wide usage in the future.

  • PDF

전면벽 및 축조순서가 보강토옹벽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acing Types and Construction Procedures on the Stability of Reinforced Earth Wall)

  • 임유진;정종홍;박영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7호
    • /
    • pp.119-126
    • /
    • 2004
  • 모형 보강토 옹벽을 실내에 축조하여 벽체의 연속성과 강성이 벽체의 거동 및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완전 연속 전면판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블록식 비연속 전면판을 설계하여 모형실험에 적용하였다. 따라서 각각의 전면판에 따라 서로 다른 축조방법과 축조순서가 채택되었다. 모형 보강토옹벽은 상용의 지오그리드 보강재와, 주문진 표준사를 사용하여 강성지반 상에 축조하였으며 토압계, 변위계 및 보강재 상에 부착된 변형율계 등을 사용하여 거동을 추적하였다. 두 벽체에 대한 시험으로부터 연속 강성 벽체를 가진 보강토 옹벽이 일반적인 블록식 전면판 보강토 옹벽에 비해 안정적인 거동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전면벽체 강성에 따른 그린월 시스템의 안정성 평가 (Stability Evaluation of Green Wall System due to Facing Rigidity)

  • 박시삼;김홍택;김승욱;김용언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9-15
    • /
    • 2006
  • 그린월 공법은 독립식 콘크리트 보형식의 옹벽으로, 전, 후면 가로보와 세로 방향으로 버팀보를 연속적으로 쌓아 올려 내부에 다짐성토를 시행함으로써 구조체가 일체 거동하도록 강성벽체(rigid body)를 형성시키는 옹벽 구조물이다. 최근의 그린월공사는 원지반 절취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절토 공사현장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주로 앵커 및 쏘일네일 등과 함께 시공하는 추세이다. 이처럼 그린월과 함께 쏘일네일이 시공되는 경우에는 전면벽체의 강성이 크기 때문에 연성전면벽체의 경우 보다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 증대가 예상되나 실제 설계에서는 이를 반영하지 않고 쏘일네일만 설계하므로 비경제적인 요소가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린월과 같은 강성전면벽체와 쏘일네일 공법이 함께 시공되는 경우에 대하여 강성전면벽체로 인한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 증대효과를 평가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전면벽체의 강성변화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 증대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내모형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한계평형해석을 시행하여 그린월과 같은 전면벽체의 강성이 전체 활동에 대한 안전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 PDF

강재틀 보강토옹벽에 대한 현장 시험시공 (Field Performance of Reinforced Earth Wall with Steel Framed-Facing)

  • 이광우;조삼덕;김주형;서창원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39-4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강재틀 보강토옹벽을 개발하였다. 강재틀 보강토옹벽은 현장조립식 강재틀 전면벽체와 보강재(지오그리드 혹은 띠형 강보강재)로 구성되어 있는데, 강재틀 전면벽체의 전면부는 이중구조로 설계되어 있어 다양한 경관연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강재틀 전면벽체를 사용한 보강토옹벽의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일련의 현장시험시공을 실시하였다. 또한 벽체 전면변위와 보강재 인장변형을 측정하여 강재틀 보강토옹벽의 현장 거동특성을 평가하였다.

  • PDF

현장시험을 이용한 강재틀 보강토옹벽의 안정성 평가 (Behaviour of Reinforced Earth Wall with Steel Framed-Facing based on Field Test)

  • 이광우;조삼덕;한중근;홍기권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37-4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현장시험 및 계측결과를 바탕으로 지지저항 효과가 고려된 강재스트립 보강재를 적용한 강재틀 보강토옹벽의 안정성 및 거동특성을 평가하였다. 강재틀 보강토옹벽은 강재틀 전면벽체, 보강재 및 뒤채움 흙으로 구성되며, 전면벽체에는 골재를 이용하여 속채움을 하며, 보강재는 지지저항 효과를 고려한 강재스트립 보강재를 적용한다. 현장시험은 2개의 계측구간으로 나누어 수행하였으며, 토압, 전면벽체의 수평변위 및 보강재 인장변형률에 대한 계측을 수행하였다. 현장시험 결과, 전면벽체에 작용하는 토압은 적용된 보강재의 토압분산 효과에 기인하여 이론토압에 비하여 낮은 토압이 발생하였다. 또한 전면벽체의 수평변위는 경험적 변위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보강재에 유발된 인장력은 구조물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적용된 강재틀 보강토옹벽은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하였으며, 공용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A 12-year long-term study on the external deformation behavior of Geosynthetic Reinforced Soil (GRS) walls

  • Won, Myoung-Soo;Lee, O-Hyeon;Kim, You-Seong;Choi, Se-Kyung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0권5호
    • /
    • pp.565-575
    • /
    • 2016
  • Geosynthetics reinforced soil (GRS) walls constructed on weak grounds may change in both the horizontal earth pressure and deformation on wall facing. However, only few studies were done in the literature to measure and analyze the horizontal external deformation behavior of GRS walls constructed on soft grounds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esent study describes the external deformation behavior of GRS walls observed for 12-year long-term performance. The horizontal deformation of the geosynthetics-wrapped-facing GRS walls shows a passive behavior along one third of the wall height, from top going downwards, and active behavior for the rest of the wall height. Even if the geogrid and nonwoven geotextiles are exposed directly to sunlight and rainfalls in a span of 12 years, they have functioned well as wall facing. Therefore, the geosynthetic reinforcement material is strong enough to resist ultraviolet rays.

Settlement Reduction Effect of Advanced Back-to-Back Reinforced Retaining Wall

  • Koh, Taehoon;Hwang, Seonkeun;Jung, Hunchul;Jung, Hyuks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Railway
    • /
    • 제6권3호
    • /
    • pp.107-111
    • /
    • 2013
  • In order to constrain the railway roadbed settlement which causes track irregularity, and thus threats running stability and ride quality, advanced Back-to-Back (BTB) reinforced retaining wall was numerically analyzed as railway roadbed structure. This study is intended to improve conventional Back-to-Back reinforced retaining wall as the technology which would reduce the roadbed settlement in a way of constraining the lateral displacement of its prestressed vertical facing and inducing arching effects in roadbed (backfill) placed between masonry diaphragm wall and vertical facing. As a result of nume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roadbed settlement was reduced by 10% due to the prestressed vertical facing and embedded masonry diaphragm wall of the advanced Back-to-Back reinforced retaining wall system.

전면 식생형 보강토 옹벽의 표면온도 저감 효과 (Reduction Effect on Surface Temperature of Reinforced Soil Wall with Vegetated Facing)

  • 정성규;이광우;조삼덕;김주형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12호
    • /
    • pp.53-6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장기식생이 가능한 전면 식생형 보강토 옹벽의 식생 환경 적합성을 모니터링하고, 전면벽체 표면온도 측정을 통해 한여름철의 콘크리트 옹벽 전면벽체의 온도 변화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장기식생이 가능하도록 식생 포대를 삽입한 특수 블록 벽체를 시공하여 구절초, 맥문동을 포함한 20여 종의 종자 식재 후 2년간 식생 환경을 관찰하였을 뿐만 아니라, 실제 크기의 식생 옹벽을 건설하여 한여름철 식생 및 무식생 옹벽의 전면벽체 표면온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식생 환경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 장기 식생이 가능한 블록 내에 식재된 대부분의 식물 생장 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생 포대를 삽입한 블록 벽체가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여름철의 식생 옹벽과 무식생 옹벽의 콘크리트 블록 표면의 온도 변화량을 측정한 결과, 식생 옹벽에 비해 무식생 옹벽의 표면온도가 높게 나타났다. 식생 옹벽의 전면벽체의 경우, 무식생 옹벽의 전면벽체에 비해 표면온도 증가율이 작게 나타난 반면, 냉각율은 더 크게 나타나 장기식생이 가능한 전면 식생형 보강토 옹벽은 식생을 통해 열섬효과를 완화하는데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보강토옹벽에서 단계시공과 일체형 강성벽체의 이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vantage with Staged Construction Procedures and Full-Height Rigid Facing of Geosynthetic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s)

  • 원명수;김유성;타츠오카 후미오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17-23
    • /
    • 2007
  • 이상적인 보강토옹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시공중 벽체는 지반의 변형을 수용하고, 보강재의 인장력 발달을 도모하기 위해 안정성이 허용하는 한 연성이어야 하나 구축 후 공용중에는 안전성과 내구성 및 미관 등을 위해 충분한 강성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시공중과 구축 후 공용중 벽체의 조건이 상반되므로 국내에서 주로 시공되고 있는 현행 시공방법으로는 이 두 가지 조건을 충족시키기는 미흡한 점이 많다.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단계시공에 의해 일체형 강성벽체를 갖는 보강토옹벽 시스템이 필요하다. 사례 분석과 문헌조사 결과에 의하면, 단계시공에 의해 보강토옹벽을 구축하는 방법을 통해 기초지반 및 뒤채움재에서 발생하는 큰 변형을 벽체의 안정성과 관계없이 수용할 수 있고, 또한 보강토체의 변형유도로 보강재의 인장력 발달을 도모하여 보강효과의 극대화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일체형 강성벽체를 갖게 될 경우 주동영역에서의 구속압이 커져 국부전단파괴의 가능성이 적고, 보강재의 인발파괴의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단계시공에 의한 방법으로 일체형 강성벽체를 갖는 보강토옹벽은 보강토 이론에 충실하고, 안정성과 내구성이 탁월하므로, 향후 국내에서 철도 및 교대 분야 등에도 활용될 수 있다.

  • PDF

실내모형실험에 의한 녹화보강토벽의 거동분석 (Analysis for Behavior of Green Geosynthetic Reinforced Soil Walls by Laboratory Model Tests)

  • 조용성;김유성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11-17
    • /
    • 2003
  • 기존의 지오텍스타일 보강토벽 공법은 대부분 콘크리트 판넬 또는 블록형식의 벽면을 사용하고 있어 미관상의 단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보강토 사면 또는 보강토벽의 단점을 보완하여 녹화벽면의 형성이 가능할 경우 기존 보강토 공법의 장점이 극대화되어 이 공법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보강토벽 전면에 녹화가 가능한 연성벽면을 형성, 안정성 측면에서도 강성벽면과 거의 동등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공법을 고안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실내모형 시험을 실시하여 그 거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러한 녹화벽면 공법은 그 안정성측면에서도 충분히 새로운 공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