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lking speed

검색결과 604건 처리시간 0.025초

보행 가능 높이에 따른 재실자의 보행속력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Walking Speed and Available Walking Height)

  • 손종영;배영훈;전규엽;홍원화;신영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2호
    • /
    • pp.41-48
    • /
    • 2020
  • 건물화재 시 발생한 연기는 천장에서부터 내려오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화재상황에 따라 연기가 존재하는 공간을 지나는 사람들의 보행 가능 높이는 낮아지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행 가능 높이에 따라 사람들의 보행속력을 분석하기 위해 보행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남녀 총 23명의 참가자가 참여하였다. 실험에 대한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보행 가능 높이가 낮아질수록 실험참가자들의 평균 보행속도는 낮아졌다. 하지만 보행가능 높이가 1.2 m일 때의 보행속도만이 자유보행속도와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실험참가자들의 BMI 지수 등급(저체중, 정상, 과체중, 비만)에 따라 분석한 결과 각 BMI 지수 등급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다. 하지만 정상 등급은 경우 보행 가능 높이가 1.2 m에서의 보행속도가 정상 등급의 자유보행속도와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저하되었고, 과체중 등급의 경우 1.8 m, 1.7 m에서의 보행속도가 과체중 등급의 자유보행속도와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기계학습을 이용한 스마트폰 이용이 보행속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Effects of Smartphone Usage on Walking Speed using Machine Learning Method)

  • 진혜련;도명식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93-10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 내의 보행로 2개소를 대상으로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이 보행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스마트폰 사용실태에 대한 영상자료를 취득하고 도로용량편람에서 제시한 보행자 서비스수준의 보행밀도를 기준으로 보행속도를 산정하였다. 보행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기계학습을 통한 다중회귀분석과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를 활용하였으며, 설명변수로는 성별, 스마트폰 미사용, 청각을 이용한 스마트폰 사용, 시각을 이용한 스마트폰 사용, 서비스수준A, 서비스수준B, 서비스수준C가 선정되었다. 분석결과 서비스수준C가 보행속도 변화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수준C에서 시각을 활용해 스마트폰을 이용한 여성그룹이 가장 낮은 속도로 보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음악 감상이나 통화와 같은 청각을 이용한 유형보다 시각을 이용하는 경우 대부분의 경우에서 보행속도가 크게 저하되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보행속도가 비만인의 하지관절각과 지면반발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lking Speed on Angles of Lower Extremity and Ground Reaction Force in the Obese)

  • 김태완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83-9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how walking speed influences on change of angles of lower extremity and ground reaction force in normal and obese people. One group with normal body weight who were experimented at a standard speed of 1.5m/s and the other obese group were experimented at two different walking speeds (standard speed of 1.5m/s and self-selected speed of 1.3m/s). We calculated angles of lower extremity and ground reaction force during stance phase through video recording and platform force measuring. When the obese group walked at the standard speed, dorsi-flexion angle of ankle got bigger and plantar-flexion angle of ankle got smaller, which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knee joint angles between normal and obese group at the same speed walking but significant post hoc only for the first flexion of knee joint in obese group. $F_z1$ was bigger than $F_z3$ in vertical axis for ground reaction force in both groups at the standard speed walking and the same force value at self-selected speed in obese group. $F_y3$ was always bigger than $F_y1$ in anterior-posterior axis in both groups.

정상 보행의 속도와 경사에 따른 족저압 분포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Foot Pressure Distribution According to Walking Speeds of Normal Gait and Ground Inclinations)

  • 홍완성;김기원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9-37
    • /
    • 2004
  • Measurements of plantar pressure provide an indication of foot and ankle function during gait and other functional activities because the foot and ankle provide necessary support and flexibility for weight bearing and weight shifting while people are performing these activities. Plantar pressure is being increasingly used in both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to measure the effects of various footwear and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The influence of walking speed and ground inclination on plantar pressure parameters However has not been evaluated in detail. So, in this study to determine the effect of changes in walking speed and ground inclination on plantar pressure treadmills with different walking speeds and inclination were used. Plantar pressure parameters were measured with the Parotec system using the walking and running in 20 healthy participants(10 male, 10 female) aged $20{\sim}28$(mean 22.22, S.D.2.26 years) when slow walking and running. The result of this study with increased die walking speed, the peak pressure of 1st, 5th metatarsal head and total contact time and impulse total at the forefoot was affected by walking speed; however, die peak pressure, contact time and impulse total at the forefoot was not affected by ground inclination.

  • PDF

성인 남.여의 보행속도와 하지 근육의 긴장도 비교 연구 (The Comparison Study Between the Walking Speed and Muscle Tone of the Lower Extremity muscle in Male and Female)

  • 김현숙;엄기매;임인혁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9-44
    • /
    • 2009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parison between the walking speed and muscle tone of the lower extremity in male and female. Method: The experimental group was that 22 female and 24 male that participated this study. Subjects were measured walking speed and muscle tone. Muscle tone measured using myotonometer. Measured muscle were rectus femoris, vastus medialis, vastus lateralis, biceps femoris, semitendinousus, tibialis anterior, gastrocnemius. Result: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that the walking speed were significantly significant(p<.01) in male and female. Muscle tone different in male and female that vastus medialis, vastus lateralis, tibialis anterior and gastrocnemius significantly significant(p<.05).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difference muscle tone and walking speed in male and female.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an interaction that plays a crucial roles in the walking speed and muscle tone.

  • PDF

가상현실-트레드밀 보행에서 시각적 속도감과 보행 속도감의 불일치가 가상현실 멀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consistency Between Visually Perceived Walking Speed and Physically Perceived Walking Speed on VR Sickness in VR-Treadmill Walking)

  • 최인범;박종진;김신우;이형철
    • 감성과학
    • /
    • 제23권3호
    • /
    • pp.79-90
    • /
    • 2020
  • 서로 다른 감각 정보의 불일치가 가상현실 멀미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트레드밀 기반의 가상현실 보행을 통해 감각 정보 일치의 멀미 완화 효과를 검증하고 나아가서 가상현실에서의 광학 흐름(optic flow) 단서에 의한 시각적 속도감과 트레드밀 보행을 통한 보행 속도감의 불일치가 멀미 완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실험1에서는 트레드밀 보행의 멀미 완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HMD를 통해 앞으로 이동하는 가상현실 체험을 하면서 가만히 서 있을 때와 트레드밀 보행을 할 때의 멀미 수준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가상현실 속에서 이동을 하며 트레드밀 보행을 할 때 더 적은 멀미를 느끼고 실재감과 몰입감은 증가하였다. 실험2와 실험3에서는 가상현실 속에서 이동하는 속도에 대한 시각적 속도감과 트레드밀 보행의 속도감을 조작해 두 속도감이 일치할 때와 불일치할 때의 멀미 수준을 비교하였다. 흥미롭게도 참가자들은 시각적 속도감이 보행속도감보다 빠르게 느껴지는 불일치 조건에서 일치조건보다 더 낮은 멀미를 경험하였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는 가상현실 속에서 이동할 때 시각적 정보와 일관되게 트레드밀 보행을 하게 하는 것이 가상현실 멀미를 완화시키지만 속도감의 일치가 필수적인 것이 아님을 시사한다.

정상인에서 보행 속도가 발바닥의 최대압력분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lking speed on peak plantar pressure in healthy subjects)

  • 하미숙;남건우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43-47
    • /
    • 2015
  • Background : Many factors affect foot and ankle biomechanics during walking, including gait speed and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walking speed on peak plantar pressure during the walking. Method : Thirty two normal healthy subjects (16 men, 16 women) were recruited. Peak plantar pressure was investigated using pressure distribution platforms (Pedoscan system) under the hallux head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metatarsal bones, and heel. Result :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slow walking speeds may decrease forefoot peak plantar pressure in patients with peripheral neuropathy who have a high risk of skin breakdown under the forefoot(p<0.05). Conclusion :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slow walking speeds may decrease forefoot peak plantar pressure in patients with restricted low extremity range of motion who have a high risk of skin breakdown under the forefoot.

  • PDF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에 보행보조기가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alking Aid on Chronic Hemiplegic Gait)

  • 김원호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67-7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alking aid on hemiplegic gait of chronic stroke patients. Twelve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hysiological cost index (PCI), gait speed, and climbing stairs with and without walking aid were measured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walking with walking aid significantly improved gait speed and reduced physiological cost index and time needed to climb stair (height 7 cm) in comparison with a walking without walking aid. In conclusion, walking aid may improve the speed and efficiency of hemiplegic gait in chronic stroke patients.

  • PDF

시공간 유동인구 변화와 보행속도에 따른 민방위 비상 대피시설 위치의 적절성 평가 (Evaluation of Civil Defense Evacuation Shelter Locations in Fitness according to the Walking Speed and Changing Floating Population in Time and Space)

  • 박재국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95-103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보행속도, 주야간 인구변화, 보행경로에 따른 서비스 권역 등을 고려하여 대피시설 위치에 대한 적절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보행속도는 선행연구사례를 통해서 1.6 m/s, 2.22 m/s를 정의하였고, 주야간 인구변화는 대시메트릭 매핑기법을 이용하여 인구를 추정하였다. 보행속도와 보행경도에 따른 대피시설 서비스 권역은 입지할당모형의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시공간 유동인구 변화와 보행속도에 따라 일부 대피시설의 경우 수용능력에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에 대한 대피시설 추가지정이 요구된다.

20대 남성의 낮은 조도의 평지 보행 시 보행 패턴 변화 (Changes of Walking Pattern for Young Adults dur ing Level Walking under Low Illumination)

  • 최진승;강동원;방윤환;탁계래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81-386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the walking pattern during level walking under low illumination conditions. Fourteen male subjects ($22.1{\pm}2.21$ years, $174{\pm}3.74\;cm$, $68.86{\pm}10.81\;kg$) with normal vision and no disabilitie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a level walkway with three conditions: normal walking (preferred & low speed) and walking with low illumination. 3D motion capturing system was used for acquisition and analysis of the walking motion data with a sampling frequency of 120Hz. The walking speed, normalized jerk(NJ) at the center of mass(COM), wrist and heel, knee and elbow joint angle, ratio of the knee joint angle to elbow joint angle and the toe clearance on stance phase were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walking pattern between the two illumination condi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alking speed and joint angles decreased in low illumination, whereas the NJ and toe minimum clearance increased. In low illumination, most variables were similar to effects of low speed walking, but toe clearance was different from the effects of low speed.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primary data for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level walking pattern of young adults under low illumination.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to compare these results in young adults with those in the eld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