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KB분산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guided fiel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the ion-exchange channel glass waveguide (이온 교환 채널 유리 도파로의 도파광 분포특성)

  • 박정일;박태성;천석표;정홍배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8 no.3
    • /
    • pp.332-339
    • /
    • 1995
  • In this paper, it was investigated the guided field intensity distribution of the channel in the silver & potassium ion-exchange glass-waveguide. The guided field intensity distribution analysis of ion-exchange glass-waveguide wa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he WKB dispersion relationship method with a Gaussian distribution function of refractive index profile and the Field Shadow method to the modeling of the channel waveguide. As the results of the channel waveguide modeling, it was represented 2-dimensional and 3-dimensional field distribution of ion-exchange glass waveguide.

  • PDF

Implementation of 3D+Temporal Object Components Using ATL/COM (ATL/COM을 이용한 3차원+Temporal 객체 컴포넌트 구현)

  • Lee, Hyun-Ah;Lim, Hun-Ki;Nam, Kwang-Woo;Ryu, Keun-Ho;Lee, J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69-72
    • /
    • 2001
  • CIS 기술 그룹과 데이터베이스 그룹간의 상호 연관된 연구의 필요성이 인식되면서, 시공간의 개념에 대한 동시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각 시스템간의 데이터 모델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지금까지 분산되어 있던 방대한 양의 공간 데이터에 대한 상호 운용성의 필요성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시스템의 통합 및 표준화의 진행이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분산된 공간 데이터의 상호 운용성을 제공하고 공간과 시간의 개념을 동시에 지원하기 위해 3차원 시공간 컴포넌트를 설계하고 이를 ATL/COM 을 사용하여 구현함으로써 COM 컴포넌트의 장점인 확장성과 재사용성을 그대로 수용하였다. 상호 운용성을 위한 통합 데이터 모델로써 OGC 의 2차원 표준 모델을 3차원과 시간 영역으로 확장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COM 컴포넌트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였다. 또한 공간 데이터를 WKB 구조로 정의하여 저장함으로써 시스템간의 이식성을 보장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Korean Spatial data Distribution Infrastructure for the interoperability of heterogeneous distributed spatial databases (이기종 분산 공간데이타베이스 상호운용을 위한 국가공간정보유통체계의 설계 및 구현)

  • 이득우;권준희;김윤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103-105
    • /
    • 2001
  • 국토정보화의 기반준비 단계인 ‘1차 국가 GIS 사업’기간 동안, 상당량의 수치화된 공간 정보가 축적되었고 이들을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지리정보시스템이 국가기관에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사용중인 지리정보시스템은 조직적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으며, 공간데이타베이스의 이질성 및 폐쇄성으로 인해, 공간정보의 상호운용 측면에서 한계성을 드러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만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분산 이기종 공간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공간정보를 표준화된 방법으로 통합검색하며, 상호운용 가능토록 하는 국가공간정보유통체계를 설계 및 구현한다. 본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단일 유통게이트웨이, 복수개의 유통노드, 지리정보공급기관을 국가통신망을 통하여 상호 연결하고, 컴퓨팅 부하를 분산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공간정보유통망을 검색망 및 전송망으로 분리 설계한다. 검색망에서는 메타데이타의 검색 및 전송을 위한 표준화된 방법으로서 OpenGIS OLE DB Provider 기반 데이터제공자 컴포넌트를 구현한다. 또한 데이터제공자 컴포넌트를 통해 전송된 이기종 공간데이타베이스로부터의 WKB 형태의 공간정보를 상호운용할 목적으로, 공간데이타 구조와 처리에 대한 인터페이스 표준화를 실시한 MapBase 컴포넌트를 활용하여 공간정보에 대한 통합검색, 분석 및 상호운용을 구현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Real Time P2P Framework for Spatial Data Sharing between Mobile Devices using SIP (모바일 기기 간의 SIP기반 실시간 공간정보 공유 프레임워크 구현)

  • Park, Key-Ho;Jung, Jae-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65-72
    • /
    • 2008
  • Mobile Collaboration is an enabling technology that makes users share information between mobile devices and various Mobile P2P platforms have been designed and implemented for it. There are, however, few research papers on application of SIP protocol to spatial data sharing on mobile devices. In this paper, SIP based real time sharing framework is proposed to compose a mobile P2P platform on which spatial data can be trans(erred. A new protocol based on WKT and WKB is defined to send and receive spatial objects with SIP MESSAGE method. Base maps such as digital maps and parcel maps can be provided by a map server that is integrated with SIP server after a new SIP session established and client agents are registered. The framework proposed based onSIP enables users to transfer spatial data such as maps and satellite images directly between mobile devices during VoIP based voice call and therefore, mobile applications can be applied in various domains such asforest management and national defense.

  • PDF